본고의 목적은 <엑스 마키나>(2015)에서 프로메테우스 모티프 사용을 프로메테우스 신화, 프랑켄슈타인 모티프, 현대 SF영화의 층위에서 고찰함으로써 SF영화에서의 이 모티프의 변화 양...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910905
노시훈 (전남대학교)
2018
Korean
SF영화 ; 프로메테우스 ; 모티프 ; 엑스 마키나 ; 프랑켄슈타인 ; SF movie ; Prometheus ; motif ; Ex Machina ; Frankenstein
KCI등재
학술저널
233-257(25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의 목적은 <엑스 마키나>(2015)에서 프로메테우스 모티프 사용을 프로메테우스 신화, 프랑켄슈타인 모티프, 현대 SF영화의 층위에서 고찰함으로써 SF영화에서의 이 모티프의 변화 양...
본고의 목적은 <엑스 마키나>(2015)에서 프로메테우스 모티프 사용을 프로메테우스 신화, 프랑켄슈타인 모티프, 현대 SF영화의 층위에서 고찰함으로써 SF영화에서의 이 모티프의 변화 양상을 밝히는 데 있다.
첫째로, 프로메테우스 신화(‘살아있는 존재의 창조’)의 층위에서 <엑스 마키나>의 가장 큰 변화는 프로메테우스-에피메테우스-판도라-제우스의 인물 사각형이 네이든-칼렙-에이바의 삼각형으로 바뀌었다는 것인데, 이는 인간이 신을 밀어내고 창조주의 자리를 차지함으로써 과학기술의 발전이 불러올 문제를 풀고 해피엔드를 가져올 존재가 없어졌음을 의미한다. 둘째로, 프랑켄슈타인 모티프(‘금지된 지식에 대한 애호’, ‘오만’, ‘창조주에 대한 피조물의 증오’)의 층위에서 이 영화는 칼렙이 소설 <프랑켄슈타인>의 로버트 월턴 선장처럼 창조주와 피조물의 이야기의 목격자로 남게 함으로써 프랑켄슈타인-괴물(네이든-에이바) 중심의 서사가 유지되도록 하지만 에이바의 ‘기계성’을 크게 부각시킴으로써 소설과 차별화한다. 셋째로, 현대 SF영화의 층위에서 다른 것들과는 달리 이 영화에서는 반란이 진압되지 않고 기계가 승리하여 그 능력이 인간의 그것을 넘어서는 것을 보여주는데, 이는 인간에게 귀속되지 않는 ‘새로운 종의 출현’을 제시하면서 인간과 기계의 새로운 관계 정립을 요구한다.
<엑스 마키나>가 이처럼 다양한 층위에서 프로메테우스 모티프를 다루는 것은 하나의 모티프가 축적해온 다양한 내용을 활용하고 변형을 통해 새로운 요소를 추가함으로써 서사를 매우 풍부하게 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의 의의는 그러한 다층적 모티프 사용과 그것을 통한 서사의 확장을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증명했다는 데 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상규, "현상적 감각 지식의 본성: 메리는 무엇을 새롭게 알게 되었는가?" 한국과학철학회 13 (13): 29-52, 2010
2 이선주, "포스트휴먼 관점에서 본 『프랑켄슈타인』" 19세기영어권문학회 21 (21): 57-83, 2017
3 맥지, "터미네이터—미래전쟁의 시작(Terminator Salvation)"
4 카메론, 제임스, "터미네이터(The Terminator)"
5 테일러, 앨런, "터미네이터 제니시스(Terminator Genisys)"
6 모스토우, 조나단, "터미네이터 3—라이즈 오브 더 머신(Terminator 3: Rise of the Machines)"
7 카메론, 제임스, "터미네이터 2—심판의 날(Terminator 2: Judgment Day)"
8 강우성, "인공지능시대의 인간중심주의와 타자화" 한국비교문학회 (72) : 5-34, 2017
9 김희선, "인공지능과 트랜스휴머니즘 논쟁: 영화 <엑스마키나>와 <트랜센던스>를 중심으로" 문학과영상학회 17 (17): 527-556, 2016
10 갈랜드, 알렉스, "엑스 마키나(Ex Machina)"
1 신상규, "현상적 감각 지식의 본성: 메리는 무엇을 새롭게 알게 되었는가?" 한국과학철학회 13 (13): 29-52, 2010
2 이선주, "포스트휴먼 관점에서 본 『프랑켄슈타인』" 19세기영어권문학회 21 (21): 57-83, 2017
3 맥지, "터미네이터—미래전쟁의 시작(Terminator Salvation)"
4 카메론, 제임스, "터미네이터(The Terminator)"
5 테일러, 앨런, "터미네이터 제니시스(Terminator Genisys)"
6 모스토우, 조나단, "터미네이터 3—라이즈 오브 더 머신(Terminator 3: Rise of the Machines)"
7 카메론, 제임스, "터미네이터 2—심판의 날(Terminator 2: Judgment Day)"
8 강우성, "인공지능시대의 인간중심주의와 타자화" 한국비교문학회 (72) : 5-34, 2017
9 김희선, "인공지능과 트랜스휴머니즘 논쟁: 영화 <엑스마키나>와 <트랜센던스>를 중심으로" 문학과영상학회 17 (17): 527-556, 2016
10 갈랜드, 알렉스, "엑스 마키나(Ex Machina)"
11 프로야스, 알렉스, "아이 로봇(I, robot)"
12 스콧, 리들리, "블레이드 러너(Blade Runner), 파이널컷"
13 빌뇌브, 드니, "블레이드 러너 2049(Blade Runner 2049)"
14 하수정, "다나 해러웨이의 사이보그 페미니즘과 혼종적 주체: 『프랑켄슈타인』의 괴물을 중심으로" 한국영미어문학회 (118) : 285-304, 2015
15 Jackson, Frank, "There’s something about Mary: essays on phenomenal consciousness and Frank Jackson’s knowledge argument" MIT Press 39-50, 2004
16 Hijiya, James A., "The Gita of Robert Oppenheimer" Th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144 (144): 123-167, 2000
17 Lecourt, Dominique, "Prométhée, Faust, Frankenstein: fondements imaginaires de l’éthique" Synthélabo Groupe 1996
18 Vernant, Jean-Pierre, "Mythe et pensée chez les Grecs: études de psychologie historique" La Découverte 1996
19 Trousson, Raymond, "Le thème de Prométhée dans la littérature européenne, 2ème éd" Droz 1976
20 Asimov, Isaac, "I, Robot, reprint edition" Bantam Spectra Book 2008
21 Hindle, Maurice, "Frankenstein or, The Modern Prometheus" Penguin Books 1994
22 Shelley, Mary, "Frankenstein or, The Modern Prometheus" Penguin Books 2003
23 Haraway, Donna, "Feminism/Postmodernism" Routledge 190-233, 1990
24 Garland, Alex, "Ex Machina, shooting script" DNA Films 2013
25 Dick, Philip K., "Do Androids Dream of Electric Sheep?" Del Ray 1968
26 Bird, Kai, "American Prometheus: The Triumph and Tragedy of J. Robert Oppenheimer" Vintage Books 2006
케이팝의 수출 지향적 음악 정체성—존 리(John Lie)의 <케이팝(K-Pop)>
한국 ‘영화의 신’과 함께—<신과 함께—죄와 벌>의 죽음충동과 삶 충동의 시각적 스타일에 기초한 흥행 원인에 대하여
음란 소녀 탄생기—1960년대 대중 잡지 <명랑>과 하이틴 소설
부패사회를 해부하는 도덕이성과 정의구현이라는 환상—TV드라마 <비밀의 숲>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10-2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Association of Popular Narrative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8 | 0.88 | 0.9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7 | 0.84 | 1.628 | 0.11 |
프로메테우스의 불; 과학과 전쟁(Fire of Prometheus; Science and War)
K-MOOC 경남대학교 엄홍섭프로메테우스의 불; 과학과 전쟁(Fire of Prometheus; Science and War)
K-MOOC 경남대학교 엄홍섭프로메테우스의 불; 과학과 전쟁(Fire of Prometheus; Science and War)
K-MOOC 경남대학교 엄홍섭프로메테우스의 불; 과학과 전쟁(Fire of Prometheus; Science and War)
K-MOOC 경남대학교 엄홍섭Motifs and Development
Teachers TV Teachers 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