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密陽 嶺南樓를 통해 본 韓國의 仙道文化 = Korean Sundo Culture Viewing through Youngnamlu in Mirya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209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密陽 嶺南樓의 문화 유적․유물을 통하여 한국의 전통 사상으로 내려오고 있는 仙․佛․儒 문화를 고찰하되, 그 근간이 되는 선도문화에 초점을 맞추었다. 한국에는 삼국시대 ...

      본 연구는 密陽 嶺南樓의 문화 유적․유물을 통하여 한국의 전통
      사상으로 내려오고 있는 仙․佛․儒 문화를 고찰하되, 그 근간이
      되는 선도문화에 초점을 맞추었다. 한국에는 삼국시대 중국으로부
      터 들어온 삼교(불교․유교․도교) 이전에 한국 고유의 전통사상인
      仙道가 있었고, 이는 천부경 ․ 삼일신고 ․ 참전계경 의 경전을 통
      해서 전해지고 있으며, 그 근본 철학의 핵심은 三元(天․地․人)사
      상이다.
      밀양 영남루에는 ‘영남루’, ‘천진궁’, ‘무봉사’와 ‘석조여래좌상’, ‘아
      랑각’, 이외의 많은 문화유산들이 있는데, 한국선도의 전통을 이어
      오고 있는 곳으로는 ‘舞鳳寺’와 ‘天眞宮’이 있다. 또 오늘날 밀양의
      향토문화 축제인 ‘밀양아리랑대축제’에도 한국선도의 전통을 바탕으
      로 仙․佛․儒 문화가 중층적․복합적으로 드러난다. 밀양 영남루
      는 고대 이래로 선도의 전통, 仙․佛 습합의 전통, 유교문화의 전통
      을 거쳐 오늘날 다시 한국선도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는 곳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Korean traditional thought of the Sundo, the Buddhism and the Confucianism through cultural relics and remains of Youngnamlu in Miryang to be focused on the Korean Sundo culture. Korea had traditional thought of Sundo b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Korean traditional thought of the Sundo,
      the Buddhism and the Confucianism through cultural relics and
      remains of Youngnamlu in Miryang to be focused on the Korean
      Sundo culture. Korea had traditional thought of Sundo before
      introducing the three religions, that is to say, the Buddhism, the
      Confucianism and the Taoism from China in the era of the Three
      Kingdoms. Youngnamlu in Miryang consisted of ‘Youngnamlu’,
      ‘Cheonjingung’, ‘Mubongsa’, ‘Seokjoyeoraejwasang’, ‘Arangkak’ and other
      cultural heritage: Both ‘Mubongsa’ and ‘Cheonjingung’ inherited
      tradition of the Korean Sundo. And, Miryang Arirang Festive that was
      local festival of Miryang was based on the Korean Sundo culture to
      display culture of the Sundo, the Buddhism and the Confucianism.
      Youngnamlu had a Buddhist temple of ‘Youngnamsa’ in the era of
      the Silla Kingdom. At that time, the Buddhism was introduced from
      China to take roots in the people to be merged with Korean
      traditional thought of Sundo. Therefore, the divine area of the Korean
      Sundo made change to be the area of the Buddhism, and Buddhist
      monks took over the functions that Sundo monks had to develop
      merged culture of the Sundo and the Buddhism..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the Confucianism lost circumstances. In 1909,
      Daejongkyo that was people’s religion of the Sundo was made to
      revive Sundo that took roots in the Koreans’ thought. Daejongkyo
      played spiritual support of anti-Japanese movement in the era of the
      Japanese Imperialism.
      These days, a local festival of ‘Miryang Arirang Festival’ was held at
      Youngnamlu every year. The festival displayed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Sundo. The eve of the festival was celebrated to take kindling
      charcoals of ‘loyalty’, ‘knowledge and virtue’ and ‘gentleness’ at
      Pyochungseowon, Yerimseowon and Arangkak, etc respectively. The
      kindling charcoals were brought to Cheonjingung to be ‘the kindling
      charcoals of dedication’ for Dangun who was saint of the Korean
      Sundo. Youngnamlu in Miryang displayed Korean traditional culture of
      the Sundo, the Buddhism and the Confucianism and the Sundo
      culture played an important role. Since ancient times, traditions of the
      Sundo, merger of the Sundo and the Buddhism, and the
      Confucianism culture were made: And, these days, the Korean Sundo
      inherited the tradition agai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밀양문화제집전위원회, "「아리랑선발대회」 요강"

      2 밀양문화제집전위원회, "「밀양아리랑대축제」 행사요강"

      3 정경주, "嶺南樓題詠詩文集 刊行의 意義" 밀양문화원 2003

      4 손기현, "嶺南樓題詠詩文" 밀양문화원 2002

      5 차옥숭, "한국인의 종교경험-천도교·대종교" 서광사 2000

      6 차옥숭, "한국인의 종교경험-巫敎" 서광사 1997

      7 이승헌, "한국인에게 고함" 한문화 2001

      8 최영성, "한국유학사상사Ⅱ" 아세아문화사 1995

      9 최영성, "한국유학사상사Ⅰ" 아세아문화사 1994

      10 선도문화연구원, "한국선도의 역사와 문화" 국제평화대학원대학교 2006

      1 밀양문화제집전위원회, "「아리랑선발대회」 요강"

      2 밀양문화제집전위원회, "「밀양아리랑대축제」 행사요강"

      3 정경주, "嶺南樓題詠詩文集 刊行의 意義" 밀양문화원 2003

      4 손기현, "嶺南樓題詠詩文" 밀양문화원 2002

      5 차옥숭, "한국인의 종교경험-천도교·대종교" 서광사 2000

      6 차옥숭, "한국인의 종교경험-巫敎" 서광사 1997

      7 이승헌, "한국인에게 고함" 한문화 2001

      8 최영성, "한국유학사상사Ⅱ" 아세아문화사 1995

      9 최영성, "한국유학사상사Ⅰ" 아세아문화사 1994

      10 선도문화연구원, "한국선도의 역사와 문화" 국제평화대학원대학교 2006

      11 한국사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특강" 서울대학교출판부 1990

      1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91

      13 윤관동, "한국 근⋅현대 선도 제천의례 연구-대종교와 선불교를 중심으로" 국제평화대학원대학교 2006

      14 김무덕, "천도아리랑학(일명 한국학)" 세명문화사 1997

      15 정경희, "조선의 선도사상과 문화, In 한국仙道의 역사와 문화" 2005

      16 밀양문화제집전위원회, "제49회 밀양아리랑대축제"

      17 강수원, "우리나라 배달겨레와 대종교 역사" 한국민족문화사 1993

      18 이운성, "영남루 연혁의 오류와 금벽루에 대한 견해" (창간) : 2000

      19 박민일, "아리랑정신사" 강원대학교 출판부 2002

      20 이승헌, "숨쉬는 평화학" 한문화 2002

      21 손팔주, "밀양의 누정과 문학유산" 밀양문화원 (창간) : 2000

      22 밀양문화원, "밀양문화 , 1호~6호"

      23 밀양군, "미리벌의 얼(밀양의 전통)" 1983

      24 이운성, "무봉사와 석조여래좌상 조사실측 여담" (3) : 2002

      25 대종교총본사, "대종교요감" 1983

      26 이승헌, "단학" 한문화 1992

      27 이승헌, "뇌호흡" 한문화 1997

      28 박환, "나철·김교헌·윤세복" 동아일보사 1992

      29 김은태, "격암유록, 상 / 하" 도서출판두손컴 2002

      30 유동식, "韓國巫敎의 歷史와 構造" 연세대학교 출판부 1975

      31 정경희, "韓國仙道의 修行法과 祭天儀禮" 도서출판 동과서 2004

      32 이승호, "韓國仙道 小考" 국제평화대학원대학교 2005

      33 박민일, "韓國 아리랑 文學 연구" 강원대학교 출판부 1989

      34 "靑邱野談"

      35 임춘, "西河集"

      36 최자, "補閑集"

      37 안진경, "現代 丹學의 神人合一論 小考" 국제평화대학원대학교 2005

      38 황남미, "江陵端午祭의 韓國仙道的 解釋" 국제평화대학원대학교 2005

      39 임승국, "桓檀古記" 정신세계사 2000

      40 서거정, "東文選"

      41 신종원, "新羅初期佛敎史硏究" 민중사 1992

      42 민족문화문고간행회, "新增東國輿地勝覽" 고전국역총서 1970

      43 밀양아리랑집전위원회, "密陽아랑제四十年史" 1997

      44 "密陽郡誌"

      45 "密陽邑誌"

      46 밀양문화원, "密陽誌" 밀양지편집위원회 1987

      47 손기현, "密陽名勝題詠" 밀양문화원 2004

      48 檀君崇寧會, "天眞宮要覽"

      49 대종교총본사, "大倧敎重光六十年史" 1971

      50 밀양교육청, "國魂의 고장 密陽"

      51 밀양문화원, "國譯 密州誌" 2001

      52 "世宗實錄"

      53 김원중, "三國遺事" 을유문화사 2002

      54 이재호, "三國史記" 솔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5-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仙道文化 제6집 -> 仙道文化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7-04-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선도문화연구원 -> 국학연구원
      영문명 : Korean Sundo Culture Institute -> kukhak Institute
      2006-11-13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for Korea Sundo & Culture -> Korean Sundo Culture Institut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6 0.36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2 0.996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