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이 시대의 청년들이 ‘죽음을 준비하지 못하고 있음’과 ‘죽음을 잊고 살아가려고 하는 의식’을 문제점으로 인식함으로 시작하였다. 그 원인으로 청년이 죽음교육을 받지 못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059006
서울 :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19
학위논문(석사) --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 교육학과 기독교교육 , 2019. 2
2019
한국어
서울
26 cm
지도교수: 김도일
I804:11050-00000000593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이 시대의 청년들이 ‘죽음을 준비하지 못하고 있음’과 ‘죽음을 잊고 살아가려고 하는 의식’을 문제점으로 인식함으로 시작하였다. 그 원인으로 청년이 죽음교육을 받지 못했...
본 논문은 이 시대의 청년들이 ‘죽음을 준비하지 못하고 있음’과 ‘죽음을 잊고 살아가려고 하는 의식’을 문제점으로 인식함으로 시작하였다. 그 원인으로 청년이 죽음교육을 받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판단하였다. 본 논문은 이런 문제 인식 위에서 그 대안으로 기독교 죽음교육이 무엇이며, 어떤 방향성을 가져야 하는지 그리고 청년을 위한 기독교적 죽음교육의 실제적인 프로그램을 제시함에 있다.
기독교적 죽음교육을 이해하기에 앞서 죽음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였다. 이해를 돕기 위해서 Ⅱ장에서는 죽음학의 대가인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와 알폰소 데켄의 죽음의 과정을 소개하였다. 다음으로 성서적 죽음 이해를 살펴 본 후 존 칼뱅, 칼 바르트 그리고 위게르 몰트만의 죽음에 대한 이해를 소개하였다. Ⅲ장에서는 죽음학의 정의와 태동을 알아보고, 죽음학과 죽음교육이 어떤 관계에 있는지 살펴본다. 본 논문에서는 죽음학, 죽음교육, 죽음을 준비하는 교육을 특별히 구별하지 않고, 같은 개념으로 이해하면서 죽음교육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청년들의 죽음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는 결국 기독교적인 죽음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Ⅳ장에서는 청년의 죽음에 대한 인식을 살펴 본다. 먼저는 청년의 범위를 정한 다음 청년들의 상실과 사별에 대한 비탄 반응에 대해서 알아본다. Ⅴ장에서는 기독교적 죽음교육을 복음적이며, 성서적이며, 역사적인 죽음 교육이라고 정의한 후, 4가지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첫 번째,죽음교육은 죽음을 배제하는 문화를 극복하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두 번째,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부활 소망을 갖도록 하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세 번째, 죽음의 기술을 배우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루터가 이야기 한 것처럼 ‘그리스도의 죽음을 이해’하는 것이 죽음에 대한 최고의 기술이다. 마지막으로 죽음을 통해서 우리의 신앙이 더 깊어질 수 있도록 하나님을 향한 교육이 되어야 한다.
기독교적인 죽음교육의 방향성을 품고 실제적인 교육프로그램과 교재의 내용을 Ⅵ장을 통해 제시한다. 죽음교육의 프로그램의 제시는 이론적으로만 제시하지 않고, 나눔과 대화, 에덴낙원을 직접 방문하는 체험적인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하였다. 특별히 교육 대상자들을 설문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교육 후에 수료자들에 대한 분석도 실시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