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현상학에서 에디트 슈타인의 위치 -라이나흐와 헤트비히 콘라트-마르티우스, 그리고 Meister 후설- = Edith Stein's Position in Phenomenology : Related to Adolf Reinach, Hedwig Conrad-Martius, Meister Edmund Husser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933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dith Stein(1891-1942) is regarded as one of the significant figures in the philosophical circles of the 20th century. Stein received her doctorate under the supervision of Edmund Husserl, who represented modern phenomenology. As a realistic phenomenologist associated with the Göttingen circle, she is also recognized as a thinker who tried to reconstruct the original approaches of metaphysics while anti-metaphysic ideas were emerging as a new trend. Stein's philosophy has been studied in a wide range of academia abroad, and the results are being published in papers or volumes. While only a little research on Stein has been carried out in Korea, this paper reviews Stein's ideas by focusing on her phenomenology among her various philosophical areas. Phenomenology became the essential foundation for Stein to make known to the world as her a philosopher. It was also the field in which sh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her academic circle. This paper starts from the simple question of how to understand Stein’s position in phenomenology. In answering this question, this paper is expected to reveal the validity and academic journey of Stein's phenomenology. Moreover, these reviews may indirectly suggest her connections and scholarly interactions with other contemporary realistic phenomenologists in Germany, such as Adolf Reinach and Hedwig Conrad-Martius. Thus, this paper has two primary purposes. First, it examines Stein's position and implications in phenomenology when defining her work as realistic phenomenology. Second,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Stein's phenomenology and the discussions of other realistic phenomenologists in Germany.
      번역하기

      Edith Stein(1891-1942) is regarded as one of the significant figures in the philosophical circles of the 20th century. Stein received her doctorate under the supervision of Edmund Husserl, who represented modern phenomenology. As a realistic phenomeno...

      Edith Stein(1891-1942) is regarded as one of the significant figures in the philosophical circles of the 20th century. Stein received her doctorate under the supervision of Edmund Husserl, who represented modern phenomenology. As a realistic phenomenologist associated with the Göttingen circle, she is also recognized as a thinker who tried to reconstruct the original approaches of metaphysics while anti-metaphysic ideas were emerging as a new trend. Stein's philosophy has been studied in a wide range of academia abroad, and the results are being published in papers or volumes. While only a little research on Stein has been carried out in Korea, this paper reviews Stein's ideas by focusing on her phenomenology among her various philosophical areas. Phenomenology became the essential foundation for Stein to make known to the world as her a philosopher. It was also the field in which sh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her academic circle. This paper starts from the simple question of how to understand Stein’s position in phenomenology. In answering this question, this paper is expected to reveal the validity and academic journey of Stein's phenomenology. Moreover, these reviews may indirectly suggest her connections and scholarly interactions with other contemporary realistic phenomenologists in Germany, such as Adolf Reinach and Hedwig Conrad-Martius. Thus, this paper has two primary purposes. First, it examines Stein's position and implications in phenomenology when defining her work as realistic phenomenology. Second,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Stein's phenomenology and the discussions of other realistic phenomenologists in German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에디트 슈타인(Edith Stein, 1891-1942)은 20세기 철학자 들 중 뛰어난 인물 중 한명이다. 한편으로는 현대 현상학의 대표자인 후설로부터 박사학위 취득 후 괴팅겐 현상학자 모임에서 활동했던 실재론적 현상학자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오늘날 반형이상학시대에 기존 형이상학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재건하기 위해 노력했던 철학자로 평가받고 있다. 이미 국외에서는 슈타인 철학이 다양한 영역에서 연구되고 있는 상황이며 논문이나 저서로 그 결과가 제시되고 있다. 반면에 국내에서 슈타인 연구는 여전히 미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하겠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글은 슈타인이 연구했던 다양한 철학 영역 중 철학자 슈타인으로 알려지는데 기본 토대가 되었을 뿐 아니라 가장 큰 역할을 담당했었던 철학 분야가 현상학이라는 점을 부각시키며 출발한다. 다시 말해서 오늘날 슈타인이라는 철학자가 알려질 수 있었던 계기는 현상학자로서 슈타인이라 할 수 있으며, 만일 그렇다면 현상학 안에서 에디트 슈타인의 그것은 어느 지점에 위치해 있는가를 소개하는데 본 글의 기본 목표가 있다. 그 과정에서 현상학자로서 그녀의 타당성과 학문 궤적이 드러날 것이다. 슈타인의 철학에서 그녀의 현상학을 조망하는 이 목표는 물론 슈타인의 그것을 드러내는 일차적 목표를 염두에 두고 있으나, 다른 한편으로는 슈타인 현상학을 통해서 당시 20세기 독일 실재론적 현상학자, 예컨대 아돌프 라이나흐와 헤트비히 콘라트-마르티우스의 철학 여정과 연관성이 간접적으로 제시될 수 있다는 점에 또 하나의 중요한 목표를 두고 있다.
      번역하기

      에디트 슈타인(Edith Stein, 1891-1942)은 20세기 철학자 들 중 뛰어난 인물 중 한명이다. 한편으로는 현대 현상학의 대표자인 후설로부터 박사학위 취득 후 괴팅겐 현상학자 모임에서 활동했던 실...

      에디트 슈타인(Edith Stein, 1891-1942)은 20세기 철학자 들 중 뛰어난 인물 중 한명이다. 한편으로는 현대 현상학의 대표자인 후설로부터 박사학위 취득 후 괴팅겐 현상학자 모임에서 활동했던 실재론적 현상학자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오늘날 반형이상학시대에 기존 형이상학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재건하기 위해 노력했던 철학자로 평가받고 있다. 이미 국외에서는 슈타인 철학이 다양한 영역에서 연구되고 있는 상황이며 논문이나 저서로 그 결과가 제시되고 있다. 반면에 국내에서 슈타인 연구는 여전히 미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하겠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글은 슈타인이 연구했던 다양한 철학 영역 중 철학자 슈타인으로 알려지는데 기본 토대가 되었을 뿐 아니라 가장 큰 역할을 담당했었던 철학 분야가 현상학이라는 점을 부각시키며 출발한다. 다시 말해서 오늘날 슈타인이라는 철학자가 알려질 수 있었던 계기는 현상학자로서 슈타인이라 할 수 있으며, 만일 그렇다면 현상학 안에서 에디트 슈타인의 그것은 어느 지점에 위치해 있는가를 소개하는데 본 글의 기본 목표가 있다. 그 과정에서 현상학자로서 그녀의 타당성과 학문 궤적이 드러날 것이다. 슈타인의 철학에서 그녀의 현상학을 조망하는 이 목표는 물론 슈타인의 그것을 드러내는 일차적 목표를 염두에 두고 있으나, 다른 한편으로는 슈타인 현상학을 통해서 당시 20세기 독일 실재론적 현상학자, 예컨대 아돌프 라이나흐와 헤트비히 콘라트-마르티우스의 철학 여정과 연관성이 간접적으로 제시될 수 있다는 점에 또 하나의 중요한 목표를 두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남인, "후설의 초월론적 현상학과 하이데거의 해석학적 현상학―관념론과 실재론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현상학회 (21) : 4-102, 2003

      2 허버트 스피겔버그, "현상학적 운동Ⅰ" 이론과실천 1991

      3 한전숙, "현상학" 민음사 1996

      4 홍성하, "콘라드-마티우스의 존재론적 현상학에 대한 연구 I1): 초기 실재 존재론을 중심으로" 한국현상학회 (73) : 135-166, 2017

      5 이은영, "에디트 슈타인의 형이상학"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15) : 95-118, 2009

      6 이은영, "에디트 슈타인에서 형이상학의 새로운 정초 -스콜라철학과 현상학을 넘어서-" 한국하이데거학회 (22) : 141-167, 2010

      7 이은영, "에디트 슈타인과 감정이입(Ⅰ): 에디트 슈타인의 감정이입의 인간학"

      8 이은영, "에디트 슈타인과 감정이입(Ⅰ) : 에디트 슈타인의 감정이입의 인간학 - 박사학위 논문 『감정이입의 문제』(Zum Problem der Einfühlung)를 중심으로 -" 대한철학회 151 : 219-248, 2019

      9 후설, "순수현상학과 현상학적 철학의 이념들Ⅰ" 한길사 2009

      10 Stein, Edith, "Zum Problem der Einfühlung , Hinführung von Prof. Dr. Johannes Baptist Lotz SJ" Halle 1917

      1 이남인, "후설의 초월론적 현상학과 하이데거의 해석학적 현상학―관념론과 실재론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현상학회 (21) : 4-102, 2003

      2 허버트 스피겔버그, "현상학적 운동Ⅰ" 이론과실천 1991

      3 한전숙, "현상학" 민음사 1996

      4 홍성하, "콘라드-마티우스의 존재론적 현상학에 대한 연구 I1): 초기 실재 존재론을 중심으로" 한국현상학회 (73) : 135-166, 2017

      5 이은영, "에디트 슈타인의 형이상학"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15) : 95-118, 2009

      6 이은영, "에디트 슈타인에서 형이상학의 새로운 정초 -스콜라철학과 현상학을 넘어서-" 한국하이데거학회 (22) : 141-167, 2010

      7 이은영, "에디트 슈타인과 감정이입(Ⅰ): 에디트 슈타인의 감정이입의 인간학"

      8 이은영, "에디트 슈타인과 감정이입(Ⅰ) : 에디트 슈타인의 감정이입의 인간학 - 박사학위 논문 『감정이입의 문제』(Zum Problem der Einfühlung)를 중심으로 -" 대한철학회 151 : 219-248, 2019

      9 후설, "순수현상학과 현상학적 철학의 이념들Ⅰ" 한길사 2009

      10 Stein, Edith, "Zum Problem der Einfühlung , Hinführung von Prof. Dr. Johannes Baptist Lotz SJ" Halle 1917

      11 Stein, Edith, "Welt und Person- Beitrag zum christlichen Wahrheitsstreben-" Louvain 1962

      12 Reinach, Adolf, "The Pers onalist, vol.50" 1969

      13 Smith, Barry, "Speech Act and Sachverhalt : Reinach and The Foundatios of Realist Phenomenology" Marti nus NijhoffPublishers 1987

      14 Stein, Edith, "Selbstbildnis in Briefen, Erster Teil 1916-1933" Wien 1998

      15 Conrad-Martius, Hedwig, "Realontologie, in : Jahrbuch für Philosophie und phänomenologische Forschung Ⅵ" Halle 1923

      16 Baseheart, Mary Catherine, "Person in the World,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Edith Stein" 1997

      17 Vinot Préfontaine, "Nicolas, Metaphysik der Innerlichkeit –Die innere Einheit des Menschen nach der PhilosophieEdith Steins-" EOS Verlag 2008

      18 Müller, Andreas Uwe, "Grundzüge der Religionsphilosophie Edith Steins" Freiburg/München 1993

      19 Stein, Edith, "Erkenntnis und Glaube" Freiburg 1993

      20 Miron, Ronny, "Empathy, Sociality, and Personhood-Essays on Edith Stein’s Phenomenologi cal Investigations, Contributions to Phenomenology94" Springer 2017

      21 Stein, Edith, "Einführung in die Philosophie" Freiburg 1991

      22 Bello, Angela Ales, "Edith Stein und Hedwig Conrad-Martius, in : Studien zur Philosophie von Edith Stein, Internatio nales Edith-Stein-Symposion, (Phänomenologische Fors chungen 26-27)" Eichtstätt 1991

      23 Schuhmann, Karl, "Edith Stein und Adolf Reinach" Freiburg-München 26-27, 1991

      24 Rojo, Ezequiel García, "Edith Stein Jahrbuch Band 8- Das Mönchtum" Echter Würzburg 2002

      25 Cozma, Carmen, "Edith Stein , Hedwig Conrad-Martius" Edizioni Giuseppe Laterza 2010

      26 Stein, Edith, "Briefe an Roman Ingarden 1917-1938" Herder 1991

      27 Wuchterl, Kurt, "Bausteine zu einer Geschichte der Philosophie des 20. Jahrhunderts, Von Husserl zu Heidegger" 1995

      28 Stein, Edith, "Aus dem einer jüdischen Familie. Das Leben Edith Steins ; Kindheit und Jugend" Louvain/Freiburg 1985

      29 Jaray, Kimberly, "Adolf Reinach's Cotribution to the Early Phenomenological Movement" University Waterloo 2002

      30 Philosophia Resources Library, "Adolf Reinach Sämtliche Werke Textkritische Ausgabe 2" Philosophia Verlag 198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3-0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철학과 현상학 연구 -> 현상학과 현대철학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7 0.57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4 1.301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