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시재생에 대한 유무형의 서비스 디자인 결과물 분석과 분류 - 지역공동체 활성화와 마을 만들기를 포함한 도시재생 사례를 중심으로 - = The Analysis and Classification of Tangible and Intangible Results Types of Service Design for Urban Regeneration – focused on urban regeneration including the case of vitalizing local community & community design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918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classify the tangible and intangible result types of service design through the case study of urban regeneration including the vitalizing local community and community design. Firstly, I reviewed the hist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classify the tangible and intangible result types of service design through the case study of urban regeneration including the vitalizing local community and community design. Firstly, I reviewed the history and concept of urban regeneration and the new deal urban regeneration policy in Korea. And also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regeneration and service design by examining that service design processes and methods are adopted in urban regeneration. Secondly, I analyzed several cases of urban regeneration to classify the tangible and intangible result types. So I understoo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llowing cases. In the case of 'Local city revitalization', I was able to find that the policy for the system of city regeneration and conservation of government such as 'Main street program', 'Historic district designation' and 'Traditional environment preservation ordinance' was a lot of support for the project success. In the case of 'Village community renewal', I learned that the support of the government and the local government was important, but the cooperation and the lead of local residents, traders and building owners were the keys to the success of the project.
      In the case of "Revitalization space centered urban regeneration," I learned that private companies purchased space or buildings first in this kind of project and then revitalized the area by developing the space that contained the identity of the local history and culture to coexist with the local communities. Through the study, I Finally found that the intangible outcomes were 10 categories in total such as 'group establishment, finance, education, caring, cultural property system, transportation system, meeting/club, experience/play, festival/event’ and the tangible outcomes were 11 categories in total such as ‘space regeneration, landscape design, environmentally friendly green area development, public and exchange facilities, education facilities, care facilities, residential/commercial, culture/arts, lodging facilities, silver facilities and safety facili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역공동체 활성화와 마을 만들기 사례를 포함한 여러 도시재생 성공 사례들을 통해 도시재생에 대한 유무형의 서비스 디자인 결과물들을 분석하고 분류하기 위함이 목적이다. ...

      본 연구는 지역공동체 활성화와 마을 만들기 사례를 포함한 여러 도시재생 성공 사례들을 통해 도시재생에 대한 유무형의 서비스 디자인 결과물들을 분석하고 분류하기 위함이 목적이다. 따라서 일차적으로 도시재생의 역사와 개념, 한국의 도시재생 뉴딜 정책 등에 대해 고찰하였고 도시재생이 어떠한 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와 방법을 도입하고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도시재생과 서비스 디자인의 관계를 밝혔다. 그리고 도시재생에 대한 유무형의 서비스 디자인 결과물을 분석하기 위해 사례조사를 진행하여 다음과 같은 사례들의 특징을 파악하게 되었다. ‘지역단위 도시재생 사례’에서는 지역 주민의 참여와 더불어 ‘메인스트리트 프로그램’, ‘역사지구 지정’, ‘전통 환경 보존 조례’ 등과 같은 정부와 지역 지자체의 도시재생과 보존에 대한 제도가 사업 성공에 많은 뒷받침이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마을공동체 도시재생 사례’에서는 정부나 지자체의 도움도 중요했지만 지역 거주민이나 상인, 건물 소유주들의 협력과 주도가 사업의 성공에 핵심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공간재생 중심 도시재생 사례’에서는 주로 민간 회사가 공간이나 건물을 매입한 후 지역 공동체와 같이 상생할수 있게 지역 정체성을 지키며 역사와 문화를 유지하면서 공간을 재생하여 지역을 활성화 시켰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이러한 전체적인 연구를 통해 알아본 결과 무형의 서비스 디자인 결과물들은 크게 ‘단체 설립, 금융, 교육, 돌봄, 문화재 제도, 교통시스템, 모임/클럽, 체험/놀이, 축제/행사, 홍보/출판’으로 총 10개의 범주로 분류되었고 유형의 서비스 디자인 결과물들은 ‘공간재생, 경관조성, 친환경녹지조성, 공공 및 교류시설, 교육시설, 돌봄시설, 주거/상업, 문화/예술, 숙박시설, 실버시설, 안전시설’로 총 11개의 범주로 분류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야마자키 료, "커뮤니티 디자인" 안그라픽스 2012

      2 임현진, "지역활성화를 위한 커뮤니티디자인 연구 : 서울시 마을공동체사업 마포구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4

      3 행정안전부, "지역공동체의 이해와 활성화"

      4 김현호, "지방자치단체 주도의 지역공동체 활성화 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3

      5 이종우, "제주형 도시재생 뉴딜의 이해"

      6 도시재생사업단, "역사와 문화를 활용한 도시재생 이야기" 한울 2012

      7 최성익, "서비스 마케팅과 서비스 디자인의 관계성 분석 연구 -프로세스와 방법 및 도구를 중심으로-" 한국기초조형학회 16 (16): 605-614, 2015

      8 음성원, "새 정부의 도시재생 사업, 무엇이 어떻게 다른가?" 서울연구원 (20) : 2017

      9 최성익, "모두를 위한 창의적 UX & Service Design" 부크크 2018

      10 윤주, "도시재생 이야기" 살림 2017

      1 야마자키 료, "커뮤니티 디자인" 안그라픽스 2012

      2 임현진, "지역활성화를 위한 커뮤니티디자인 연구 : 서울시 마을공동체사업 마포구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4

      3 행정안전부, "지역공동체의 이해와 활성화"

      4 김현호, "지방자치단체 주도의 지역공동체 활성화 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3

      5 이종우, "제주형 도시재생 뉴딜의 이해"

      6 도시재생사업단, "역사와 문화를 활용한 도시재생 이야기" 한울 2012

      7 최성익, "서비스 마케팅과 서비스 디자인의 관계성 분석 연구 -프로세스와 방법 및 도구를 중심으로-" 한국기초조형학회 16 (16): 605-614, 2015

      8 음성원, "새 정부의 도시재생 사업, 무엇이 어떻게 다른가?" 서울연구원 (20) : 2017

      9 최성익, "모두를 위한 창의적 UX & Service Design" 부크크 2018

      10 윤주, "도시재생 이야기" 살림 2017

      11 가천대학교산학협력단, "근린재생 주민대학 운영 매뉴얼"

      12 박소현, "구도심 근린상업가로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미국 메인스트리트 프로그램의 성공사례를 바탕으로 한 서울형 모델연구" 2006

      13 "https://www.pioneersquare.org/"

      14 "https://www.mainstreet.org/home"

      15 "https://www.downtownwallawalla.com/"

      16 "https://wendowntown.org/"

      17 "https://ubin.krihs.re.kr/ubin/index.php"

      18 "https://seoulsolution.kr/ko"

      19 "http://www.redis.go.kr/route/main_home.do"

      20 "http://www.jejuregen.org/"

      21 "http://www.city.go.kr/index.do"

      22 "http://ptmainstreet.org/"

      23 "http://brunch.co.kr/@pibuchi/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