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은 우주의 창생, 새로운 현실의 전개, 구체적인 생명의 탄생과 연결하여 그 모태로서 존재한다. 그러므로 물은 한국인의 종교경험 속에서 언제나 생명의 원천이었다. 우리 민속신앙에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7048208
2009
Korean
물신앙 ; 용신(龍神) ; 공물(공물) ; 정화(淨化) ; 치유(治癒) ; Faith in water ; Dragon god ; Sacrificial Offerings ; Purification ; Healing
KCI등재
학술저널
157-182(26쪽)
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물은 우주의 창생, 새로운 현실의 전개, 구체적인 생명의 탄생과 연결하여 그 모태로서 존재한다. 그러므로 물은 한국인의 종교경험 속에서 언제나 생명의 원천이었다. 우리 민속신앙에서 ...
물은 우주의 창생, 새로운 현실의 전개, 구체적인 생명의 탄생과 연결하여 그 모태로서 존재한다. 그러므로 물은 한국인의 종교경험 속에서 언제나 생명의 원천이었다. 우리 민속신앙에서 물은 세상을 소거하고 다시 재생하는 불변의 영원성, 생명상징을 뜻하는데 이러한 사실들은 물신앙이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 물의 다양한 양상은 신앙성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세시풍속에서 물은 용신, 공물(供物)의 대상, 정화(淨化)의 매개물, 치유(治癒)의 상징 등의 여러 양상으로 나타난다.
큰 물 속에는 용신이 존재하므로 물을 신성시한다. 때로는 물 자체를 용신으로 여기기도 한다. 정화수처럼 물이 신에게 올리는 공물(供物)이 될 수 있는 것 역시 물의 신성성으로 인해 가능한 것이다. 즉 물이 ‘생명상징’이라는 점에서 공희(供犧)로서의 구실도 한다는 사실이다. 또한 물은 정화의 매개물이 된다는 점에서도 신앙성을 찾아볼수 있는데 사실상 물은 실제로도 ‘오염’을 제거하는데 쓰인다. 이를 상징화한 것이 종교적인 정화인 것이다.
세시풍속에서 물은 치유의 상징이 되기도 한다. 사실상 물은 그 자체로서 치료약이 되는 경우도 있어서 인간의 건강을 담보하는 물리적인 효능이 있지만 역시 신앙성을 바탕으로 한다.
이처럼 세시풍속에 나타난 물은 신앙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면모를 보여준다. 그런데 신앙성을 표출하는 데에는 정화수, 약수 등과 같이 물의 실질적인 효능과도 무관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는 점 역시 간과힐수 없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ater is regarded as mother's womb in connection with the cosmic genesis, the exposition of new realities and the birth of a concrete life. So water has been the life source in the religious experiences of the Koreans. With Korean folk religion, water...
Water is regarded as mother's womb in connection with the cosmic genesis, the exposition of new realities and the birth of a concrete life. So water has been the life source in the religious experiences of the Koreans. With Korean folk religion, water gets rid of and regenerates the world, symbolizing immutable eternity and life. This fact is the basis on which faith in water exists in various aspects. This variety of water aspects is based on religious faith.
Korean Annual cyclical rites use water as various patterns such as Dragon god, a sacrificial offering, a medium of purification, and a symbol of healing.
Wide and deep water is the residence of the dragon god, and is thought to be sacred. Sometimes, water itself is thought of as the dragon god. The religious faith in water can be found in that the purest well water is prepared for a prayer, and water is regarded as something to prevent bad luck. The purest well water can be a tribute to a god because of its sacredness. In other words, as water is the symbol of life, it has been dedicated to a god as a sacrifice. It is religious purification that symbolizes such a cleansing function of water.
Annual cyclical rices use water as a symbol of healing.
There are some cases in which water itself works as a medicine. Not only is this a physical effect of water on human health but also it is based on religious belief in water. Medicinal water is an example of faith in water.
As mentioned above, annual cyclical rites show that water has various aspects based on religious belief. The religious meaning manifested in water cannot ignore the actual effects of water as in water drawn from a well early at dawn, and mineral water at medicinal water.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영년, "해동죽지(海東竹枝)"
2 장주근, "한국의 세시풍속" 형설출판사 157-, 1984
3 "한국의 물문화와 그 사상" 전북전통문화연구소·한국종교사연구회 2005
4 김명자, "한국세시풍속 1-1970년대~1980년대 조사자료, 민속원"
5 김태곤, "한국무속연구" 집문당 1981
6 정진홍, "파멸의 상징이며 생명의 원천인 물" 사회발전연구소 10 : 1991
7 국립문화재연구소, "충청남도 세시풍속" 2002
8 김명자, "죽어가는 생명도 살린 한국의 약수" 사회발전연구소 10 : 1991
9 M.엘리아데, "종교형태론" 한길사 1996
10 아카마쓰 지죠, "조선무속의 연구 하" 동문선 1991
1 최영년, "해동죽지(海東竹枝)"
2 장주근, "한국의 세시풍속" 형설출판사 157-, 1984
3 "한국의 물문화와 그 사상" 전북전통문화연구소·한국종교사연구회 2005
4 김명자, "한국세시풍속 1-1970년대~1980년대 조사자료, 민속원"
5 김태곤, "한국무속연구" 집문당 1981
6 정진홍, "파멸의 상징이며 생명의 원천인 물" 사회발전연구소 10 : 1991
7 국립문화재연구소, "충청남도 세시풍속" 2002
8 김명자, "죽어가는 생명도 살린 한국의 약수" 사회발전연구소 10 : 1991
9 M.엘리아데, "종교형태론" 한길사 1996
10 아카마쓰 지죠, "조선무속의 연구 하" 동문선 1991
11 국립민속박물관, "조선대세시기 Ⅰ" 2003
12 김매순, "열양세시기(洌陽歲時記)"
13 이성희, "어부심과 여성" 한국민속학회 39 : 271-301, 2004
14 일연, "삼국유사(三國遺事)"
15 김부식, "삼국사기(三國史記)"
16 김태곤, "물의 제의적 상징원의(象徵原義) in: 월산 임동권박사 송수기념논문집 민속학편" 집문당 1986
17 김추윤, "물의 문화" 당진문화원 2001
18 김재호, "물맞이 세시풍속과 물의 생명성" 비교민속학회 (36) : 363-390, 2008
19 이필영, "마을신앙으로 보는 우리 문화 이야기" 웅진닷컴 2000
20 김명자, "되는 집안은 장맛도 달다-전통의 멋과 슬기-" 열린문화 1994
21 김태곤, "동신당" 대원사 1992
22 홍석모,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23 정승모, "동국세시기" 풀빛 2009
24 이성희, "남한강유역의 여성 가정신앙 어부심의 의미 in: 한국의 가정신앙 하" 민속원 1995
25 "고려사"
26 김명자, "간물단지신앙의 용신신앙적 성격 in: 월산 임동권박사 송수기념논문집 민속학편" 집문당 1986
27 김명자, "가정신앙의 의례공간 in: 종교와 의례공간" 민속원 2007
28 김명자, "安東地域의 龍단지" 국립문화재연구소 (26) : 165-180, 1993
29 김명자, "<악사(岳砂>의 동제와 가신신앙" 안동대 부설 안동문화연구소 8 : 1987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2 | 0.52 | 0.5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9 | 0.64 | 0.965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