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비형식 기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기술교사의 인식과 교육요구도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413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비형식 기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기술교사들의 인식과 교육요구도를 분 석하여 형식 기술교육과 비형식 기술교육의 체계적인 연계방향과 비형식 기술교육 프 로그램의 효과적인 개발 및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개발된 설문지는 권역별 기술교사들(28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회수된 189부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대부분의 기술교사들은 현재의 기술교육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었다. 하지만 기 술교육이 공학과 기술에 대한 흥미를 부여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기술교사들은 현재의 비형식 기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낮은 만족도를 갖고 있었다. 타 교과에 비해 비형식 교육 프로그램이 적고, 비형식 기술교육 프로그램이 필 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비형식 기술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학교 기술교육의 제한점을 해결할 수 있고,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과 기술교사 연수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 다. 비형식 기술교육 기관의 기술교사 연수 주제로는 ‘생활 속의 기술’과 ‘최신 공학 기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기술교사들은 비형식 기술교육 프로그램 운영 시 교사, 산업체 기술자, 연구원, 교수들의 인사들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8~16시간의 체험이나 캠 프 유형의 프로그램과 ‘생활 속 기술’, ‘최신 공학 기술’ 관련 주제의 비형식 기술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비형식 기술교육 프로그 램은 학생들에게 기술교과나 이공계 진로에 대해 흥미를 줄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비형식 기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기술교사들의 인식과 교육요구도를 분 석하여 형식 기술교육과 비형식 기술교육의 체계적인 연계방향과 비형식 기술교육 프 로그램의 효과적...

      이 연구는 비형식 기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기술교사들의 인식과 교육요구도를 분 석하여 형식 기술교육과 비형식 기술교육의 체계적인 연계방향과 비형식 기술교육 프 로그램의 효과적인 개발 및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개발된 설문지는 권역별 기술교사들(28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회수된 189부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대부분의 기술교사들은 현재의 기술교육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었다. 하지만 기 술교육이 공학과 기술에 대한 흥미를 부여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기술교사들은 현재의 비형식 기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낮은 만족도를 갖고 있었다. 타 교과에 비해 비형식 교육 프로그램이 적고, 비형식 기술교육 프로그램이 필 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비형식 기술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학교 기술교육의 제한점을 해결할 수 있고,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과 기술교사 연수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 다. 비형식 기술교육 기관의 기술교사 연수 주제로는 ‘생활 속의 기술’과 ‘최신 공학 기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기술교사들은 비형식 기술교육 프로그램 운영 시 교사, 산업체 기술자, 연구원, 교수들의 인사들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8~16시간의 체험이나 캠 프 유형의 프로그램과 ‘생활 속 기술’, ‘최신 공학 기술’ 관련 주제의 비형식 기술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비형식 기술교육 프로그 램은 학생들에게 기술교과나 이공계 진로에 대해 흥미를 줄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foundational information about informal technology education program by analyzing perceptions and educational needs of technology teachers.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survey. 280 sheets were sent to technology teachers and 189 of them were colle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technology teachers were not satisfied with present technology education. But, they perceived that technology education motivates students to be interested in engineering and technology. Second, survey results showed that technology teachers had a low level of satisfaction about present informal technology education. And they perceived that technology subject have less informal education program than other subjects do. Thus, they answered that informal technology education program in technology subject is very necessary. Third, technology teachers have a perception that informal technology education programs can solve some restrictions of current technology educations and various informal technology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lso, they perceived the high levels of needs for various teacher-training-programs related to 'technology in living' and 'advanced engineering technologies'. Fourth, technology teachers perceived that teacher, engineer, researcher and professor should be utilized for informal technology education programs. Also, when conducting informal technology education programs, informal technology education institutes should develop and operate some kind of informal programs including camps and subjects related to 'technology in living' and 'advanced engineering technologies'. At the end, they perceived that informal technology education program will motivate students to be interested in the technology subject and science and engineering career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foundational information about informal technology education program by analyzing perceptions and educational needs of technology teachers.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survey. 280 sheets were sent to technol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foundational information about informal technology education program by analyzing perceptions and educational needs of technology teachers.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survey. 280 sheets were sent to technology teachers and 189 of them were colle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technology teachers were not satisfied with present technology education. But, they perceived that technology education motivates students to be interested in engineering and technology. Second, survey results showed that technology teachers had a low level of satisfaction about present informal technology education. And they perceived that technology subject have less informal education program than other subjects do. Thus, they answered that informal technology education program in technology subject is very necessary. Third, technology teachers have a perception that informal technology education programs can solve some restrictions of current technology educations and various informal technology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lso, they perceived the high levels of needs for various teacher-training-programs related to 'technology in living' and 'advanced engineering technologies'. Fourth, technology teachers perceived that teacher, engineer, researcher and professor should be utilized for informal technology education programs. Also, when conducting informal technology education programs, informal technology education institutes should develop and operate some kind of informal programs including camps and subjects related to 'technology in living' and 'advanced engineering technologies'. At the end, they perceived that informal technology education program will motivate students to be interested in the technology subject and science and engineering care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 연구의 내용
      • 3. 용어의 정의
      • 요약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 연구의 내용
      • 3. 용어의 정의
      • Ⅱ. 이론적 배경
      • 1. 비형식 교육
      • 2. 비형식 교육관련 선행 연구
      • 3. 비형식 기술교육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대상
      • 2. 조사 도구
      • 3. 자료 분석
      • Ⅳ. 연구의 결과
      • 1. 기술교육과 비형식 기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 2. 비형식 기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육요구도
      • Ⅴ. 결론 및 제언
      • 참고 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백소이, "초등교사의 비형식 과학교육 경험에 관한 조사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 박승재, "청소년 학교밖 과학활동 진흥 방안 연구" 과학기술부 2000

      3 이선경, "세계 주요 자연사 박물관의 교육 프로그램의 종류 및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 24 (24): 357-374, 2004

      4 이선경, "비형식 과학학습의 이해" 북스힐 2010

      5 김이슬, "비형식 과학교육기관 교육프로그램 참가자 인식 조사 및 프로그램 분석을 통한 교육적 역할 제고"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6 황성원, "비정규 과학학습으로 본 드라마 ‘카이스트’ 평가" 21 (21): 316-327, 2001

      7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명교육 인증제도 도입 방안 연구" 특허청, 한국발명교육진흥회,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1

      8 박소영, "과학캠프가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변화에 미치는 영향 : 2004 국립중앙과학관회원의 과학체험캠프를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9 장현숙, "과학관 현장학습이 중학생들의 과학기술사회의 관계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6 (6): 425-445, 2006

      10 김소희, "과학관 전시물의 특징과 학생들의 전시물에 대한 인식 -서울시 소재 3개 과학관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23 (23): 544-560, 2003

      1 백소이, "초등교사의 비형식 과학교육 경험에 관한 조사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 박승재, "청소년 학교밖 과학활동 진흥 방안 연구" 과학기술부 2000

      3 이선경, "세계 주요 자연사 박물관의 교육 프로그램의 종류 및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 24 (24): 357-374, 2004

      4 이선경, "비형식 과학학습의 이해" 북스힐 2010

      5 김이슬, "비형식 과학교육기관 교육프로그램 참가자 인식 조사 및 프로그램 분석을 통한 교육적 역할 제고"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6 황성원, "비정규 과학학습으로 본 드라마 ‘카이스트’ 평가" 21 (21): 316-327, 2001

      7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명교육 인증제도 도입 방안 연구" 특허청, 한국발명교육진흥회,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1

      8 박소영, "과학캠프가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변화에 미치는 영향 : 2004 국립중앙과학관회원의 과학체험캠프를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9 장현숙, "과학관 현장학습이 중학생들의 과학기술사회의 관계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6 (6): 425-445, 2006

      10 김소희, "과학관 전시물의 특징과 학생들의 전시물에 대한 인식 -서울시 소재 3개 과학관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23 (23): 544-560, 2003

      11 이선경, "과학관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학습 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9 (29): 47-55, 2010

      12 손용섭, "과학경진대회 참가 학생의 과학관련 태도에 대한 연수"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13 김현정, "과학 영재 학생들의 진로 선택 과정에영향을 주는 과학 영재 캠프의 요인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6 (26): 268-278, 2006

      14 김성관, "‘과학자와의 만남’ 프로그램 적용이 초등학생의 과학자에 대한 신체적 이미지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 22 (22): 490-498, 2002

      15 Wellington, J., "Using informal learning to enrich science education, In Secondary Science: contemporary issues and practical approaches" Routledge 284-294, 1994

      16 Rennie, L. J., "Toward an Agenda for Advancing Research on Science Learning in Out-of-school setting" 40 (40): 112-120, 2003

      17 Henrikson, E. K, "The contribution of museums to scientific literacy: views form audience and museum professionals" 9 (9): 393-415, 2000

      18 Zana, B., "Seeing ourselves through their eyes: How do teachers regard science centers?" 2006

      19 Semper, R. J., "Science museums as environments for learning" 43 (43): 50-56, 1990

      20 Melder, L. M., "Science education in U.S. natural history museum: A historycal perspective" 11 : 45-54, 2002

      21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Position Statement"

      22 Koster, E. H., "In search of relevance: Science centers as innovators in the evolution of museums" 128 (128): 277-296, 1999

      23 Henrikson, E. K.,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radiation and environment: Can museums play a role?" 85 (85): 189-206, 2001

      24 Mcleod, j., "Exploring science at the museum.Education Leadership,April" (4) : 59-63,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4-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Research KCI등재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4 0.94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6 1.03 1.387 0.5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