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철학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주입식 교육, 암기식 교육이 비판받고 있는 이 시대에 철학이 하나의 해결책이 될 수 있으리라는 기대 때문일 것이다. 철학적 사고들 ― 비판적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658440
2007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47-272(26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어린이 철학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주입식 교육, 암기식 교육이 비판받고 있는 이 시대에 철학이 하나의 해결책이 될 수 있으리라는 기대 때문일 것이다. 철학적 사고들 ― 비판적 ...
어린이 철학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주입식 교육, 암기식 교육이 비판받고 있는 이 시대에 철학이 하나의 해결책이 될 수 있으리라는 기대 때문일 것이다. 철학적 사고들 ― 비판적 사고, 창의적 사고, 배려적 사고, 상상적 사고들 ― 은 제 7차 교육과정과 그 목적을 같이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어린이와 함께하는 철학”과 “유아들의 철학적 탐구”를 차별화된 시각에서 바라보고자 했다. 조선희 교수는 ‘유아철학놀이’를 제안하고 있는데, 그것은 ‘어린이와 함께하는 철학’임과 동시에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유아들과 재미있게 철학을 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론이다. 본고에서는 1) 철학의 개념을 재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유아철학놀이의 가능성을 언급하였다. 2) 유아철학놀이의 아홉 가지 철학 놀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유아철학놀이에서 제안하고 있는 아홉 가지 철학 놀이는 어린이 철학 교육이 목표로 하고 있는 네 가지 철학적 사고 ― 비판적 사고, 창의적 사고, 배려적 사고, 상상적 사고 ― 를 추구하고 있는데, 적극적으로 이 사고들을 사용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유아철학놀이는 어린이 철학과 목적하고 있는 바는 동일하지만 더 체계적이고 재미있게 유아들로 하여금 철학적 사고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유아들을 위한 철학의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3) 그리고 유아철학놀이 과정에서 가능한 몇 가지 사례들을 제시하였으며, 4) 그것들에 관해서 설명하였다. 모든 유아들은 호기심을 갖고 있으며, 그렇다고 한다면 그러한 호기심들에 대해 또래 집단(탐구 공동체)들과 함께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 유익하다. 유아들은 동화책을 읽거나 어떤 재미있는 생각들을 할 때에도 철학적 사고를 할 수 있다. 그리고 그것들을 또래 집단들과 토론을 하거나, 부모, 교사들과 이야기를 나누는 중에 해소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중요한 것은 본고에서 제안한 몇 가지 방법들과 그것들을 응용한 방법들은 일상생활 속에서도 충분히 적용 가능하다는 사실이다. 특히 “놀이”라는 방법론을 활용하는 것은 유아들에게 철학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좋은 방법 가운데 하나가 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ducating philosophy is necessary for children. The cramming education causes troubles lately. And the philosophy is the key to troubles. Philosophical thoughts ― critical thinking, creative thinking, caring thinking, imaginative thinking ― and Th...
Educating philosophy is necessary for children. The cramming education causes troubles lately. And the philosophy is the key to troubles. Philosophical thoughts ― critical thinking, creative thinking, caring thinking, imaginative thinking ― and The 7th education process are much alike in aims. This thesis considers “young children's philosophical Inquiry" and "philosophy with children" from different angles. Prof. Cho. presents "Young Children's Philosophy-play". It is included in "philosophy with children". But it is the concrete and systematic methodology of young children studying joyfully philosophy . This thesis 1) forms the concept of philosophy, and explains consequently the concept of "Young Children's philosophy-play". And It presents whether Young "Children's philosophy-play" is practicable. 2) considers concretely 12 thoughts skills in Young Children's "philosophy-play",and at based on them 9 philosophy-plays. They take aim at 4 philosophical thoughts ― critical thinking, creative thinking, caring thinking, imaginative thinking ―, they are the purpose of Children's philosophy education. 3) presents some examples that Young Children's "Philosophy-play" can show, 4) suggests rough comments for Young Children's "philosophy-play". Every young children have curiosity and they have to discuss with a philosophy community. Young children can think philosophically whenever they are reading fairy tales or thinking something fun. And they also can find a clue for philosophical thinking while having a conversation. It is very important that some of these methods and application methods of these can be applied in everyday life. The "Play" is the one method of Young Children's doing philosoph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홈플러스 문화센터 홈페이지"
2 황경식, "철학속의 논리" 철학과 현실사, 서울 1999
3 Matthews, G.B, "철학과 아동" 문지사 1996
4 조선희, "유아철학놀이" 창지사, 서울 2004
5 "운암키즈문화센터 홈페이지"
6 Matthews, G.B, "어린이와 함께 하는 철학" 서광사, 서울 1986
7 마르텐스, 에케하르트, "어린이와 함께 철학하기" 지리소, 서울 2000
8 이초식, "어린이를 위한 철학교육" 서광사, 서울 1985
9 임윤정, "어린이 철학교육의 가능성과 방법론 고찰" 한국동서철학회 (44) : 51-75, 2007
10 박민규, "어린이 철학교육과 초등논술교육 (철학의 역할과 논술교육)" 2005
1 "홈플러스 문화센터 홈페이지"
2 황경식, "철학속의 논리" 철학과 현실사, 서울 1999
3 Matthews, G.B, "철학과 아동" 문지사 1996
4 조선희, "유아철학놀이" 창지사, 서울 2004
5 "운암키즈문화센터 홈페이지"
6 Matthews, G.B, "어린이와 함께 하는 철학" 서광사, 서울 1986
7 마르텐스, 에케하르트, "어린이와 함께 철학하기" 지리소, 서울 2000
8 이초식, "어린이를 위한 철학교육" 서광사, 서울 1985
9 임윤정, "어린이 철학교육의 가능성과 방법론 고찰" 한국동서철학회 (44) : 51-75, 2007
10 박민규, "어린이 철학교육과 초등논술교육 (철학의 역할과 논술교육)" 2005
11 엘메하이네,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달걀" 시공주니어, 서울 1998
12 임윤정, "비트겐슈타인의 후기 언어관에 나타난 어린이 철학교육" 한국동서철학회 (33) :
13 김무길, "듀이와 비트겐슈타인의 언어관 : 교육적 시사" 한국교육철학학회 (28) : 1-28, 2002
14 "교육인적자원부 싸이트"
15 "갤러리아 백화점 문화센터 홈페이지"
16 서원우, "개념오류가 많은 아동의 학업 성취도 향상을 위한 개념도 작성 전략" 대구교육대학교 과학연구소 2000
17 권정생, "강아지똥" 길벗 어린이, 서울 1996
자기를 낮추는 기술로서의 글쓰기 : 후기구조주의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5 | 0.45 | 0.4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7 | 0.53 | 1.021 | 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