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실생활 문제해결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개인별 응답과 모둠 연구 사례 분석 : 팔각정 바닥 넓이 구하기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responses to real-world problems and their case studies: Focusing on finding octagonal pavilion floor a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814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학습지 중심의 문제풀이에 익숙해 있던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에게 융합형 실생활 문제해결(팔각정의 바닥 넓이 구하기) 방법을 초등학생들의 답안과 비교 분석하고, 그 과제의 확...

      본 연구는 학습지 중심의 문제풀이에 익숙해 있던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에게 융합형 실생활 문제해결(팔각정의 바닥 넓이 구하기) 방법을 초등학생들의 답안과 비교 분석하고, 그 과제의 확장 가능성을 모둠별로 공동 연구하면서 드러난 수학적 사고 분석을 통해 예비 초등교사 교육에 주는 시사점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선행연구들은 등적 변형의 넓이 구하기 활동에서 초등학생들에게서는 분할의 방법이 가장 많이 나타난다고 하였으나 본 연구에 참가한 초등 예비교사들은 유효한 응답의 평균 개수가 초등학생들에 비해 월등히 많은 것은 아니어도 분할 이외에 변형 제거, 분해합동, 보충합동의 다양한 응답을 보여주었다. 또한 초등 예비교사 모둠은 자율적으로 실생활 속 육각정의 상황으로 확대하면서 다양한 내용적 사고와 방법적 사고를 사용하였다. 그들은 보다 수학적으로 사고하려는 태도와 본인들의 사고를 반성해보려는 실천 의지를 바탕으로 연구자가 설정한 발전적인 학습 목표를 성취하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 예비교사 교육에서 수학적 사고 교육의 실제적 가능성을 확인하고 이로부터 초등 예비교사 교육에 주는 세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zed how to find the floor area of the octagonal pavilion, which is commonly seen around life, for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who were used to solving problems centered on workbooks. The purpose of this study i...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zed how to find the floor area of the octagonal pavilion, which is commonly seen around life, for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who were used to solving problems centered on workbook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implications for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education through thinking analysis and case study. In previous studies, the method of division was the most common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activity of finding the extent of equivalent deformation, but the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did not have much more answers tha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but also removed or decomposed transformation other than division. Various responses of joint and supplementary joints were shown. In addition, a group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voluntarily expanded to the situation of hexagonal pavilion in real life and used a variety of content and methodical thinking. Based on their attitude toward thinking more mathematically and their willingness to reflect on their thoughts, they achieved the developmental learning goals set by the instructor..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the practical possibility of mathematical thinking education in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was identified, and three implications for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 were deriv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영빈, "평면도형의 둘레와 넓이, 입체도형의 겉넓이와 부피에 대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수행 능력 조사" 한국수학교육학회 58 (58): 283-298, 2019

      2 김정하, "평면도형의 넓이 측정 지도에 대한 고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15 (15): 509-531, 2011

      3 김상화, "평면도형의 넓이 수업에서 학생들의 다양한 해결 방법에근거한 교사의 형식화 도출 과정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 15 (15): 847-866, 2013

      4 정동권, "평면도형 넓이 지도를 통한 수학적 사고의 신장" 13 : 1-36, 2001

      5 강수희, "평면도형 넓이 구하기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의 실측 활동 분석 : 5학년을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6 박재현, "팔각정의 바닥 넓이 구하기 문제해결 방법 분석을 통한 실생활 소재 문제해결 수업 구체화 방안"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2017

      7 Clairaut, A .C., "클레로의 기하학 원론" 경문사 2005

      8 김지숙, "측정놀이가 유아의 수학능력과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 25 (25): 291-310, 2018

      9 이선영, "초등학생의 평면 도형 넓이 공식 구성 활동 분석" 19 : 159-179, 2006

      10 조주연, "초등학교 영재학급 학생들이 도구의 사용 횟수를 최소화한 정다각형 작도 방법 유형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 20 (20): 171-184, 2018

      1 임영빈, "평면도형의 둘레와 넓이, 입체도형의 겉넓이와 부피에 대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수행 능력 조사" 한국수학교육학회 58 (58): 283-298, 2019

      2 김정하, "평면도형의 넓이 측정 지도에 대한 고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15 (15): 509-531, 2011

      3 김상화, "평면도형의 넓이 수업에서 학생들의 다양한 해결 방법에근거한 교사의 형식화 도출 과정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 15 (15): 847-866, 2013

      4 정동권, "평면도형 넓이 지도를 통한 수학적 사고의 신장" 13 : 1-36, 2001

      5 강수희, "평면도형 넓이 구하기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의 실측 활동 분석 : 5학년을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6 박재현, "팔각정의 바닥 넓이 구하기 문제해결 방법 분석을 통한 실생활 소재 문제해결 수업 구체화 방안"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2017

      7 Clairaut, A .C., "클레로의 기하학 원론" 경문사 2005

      8 김지숙, "측정놀이가 유아의 수학능력과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 25 (25): 291-310, 2018

      9 이선영, "초등학생의 평면 도형 넓이 공식 구성 활동 분석" 19 : 159-179, 2006

      10 조주연, "초등학교 영재학급 학생들이 도구의 사용 횟수를 최소화한 정다각형 작도 방법 유형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 20 (20): 171-184, 2018

      11 유연자, "초등학교 5학년 평면도형의 넓이 구하기 수업에서 나타난 학생들의 해결 방법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 10 (10): 489-507, 2008

      12 김수미, "초등수학교육의 이해" 경문사 2017

      13 정경순, "직사각형, 평행사변형, 삼각형 넓이 공식에 내재된 관계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이해 조사" 대한수학교육학회 21 (21): 181-199, 2011

      14 김지원, "유아 이중언어 통합교육 프로그램" 학지사 2010

      15 정동권, "수학적인 생각의 구체화와 지도" 경문사 2013

      16 김성연, "수학적 창의성 태도 검사에서 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다집단일반화가능도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 31 (31): 49-70, 2017

      17 박교식, "수학과 수업 운영의 숨겨진 규칙으로서의 교수학적 계약에 관한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 16 (16): 43-58, 2006

      18 강옥기, "수학과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수업 방법 개선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85

      19 임영빈, "수학 기반의 융합 문제해결 과정에 나타나는 초등영재학생의 수학적 사고와 태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239-257, 2019

      20 배준환, "반성적 문제 만들기 활동이 초등학생들의 문제해결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 (20): 311-331, 2016

      21 박가영, "문제해결 전략을 통한 실생활 문제 지도방안 연구 : 중학교 수학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22 임아름, "개방형 교수법에 따른 평면도형의 넓이 지도에 대한 연구1) -평행사변형, 삼각형, 사다리꼴, 마름모를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15 (15): 361-383, 2011

      23 Clements, D., "Learning and Teaching Measurement (2003 Yearbook)"

      24 Reys, R. E., "Helping children learn mathematics" John Wiley & Sons 2012

      25 박경미, "2015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시안 개발 정책 연구Ⅱ" 한국과학창의재단 2015

      26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