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의 연구개발비와 기업가치 관련성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8104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18년 금융감독원은 「제약․바이오 기업의 연구개발비 회계처리 관련 감독지침」을 발표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주식시장에 상장된 제약·바이오 기업의 연구개발비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

      2018년 금융감독원은 「제약․바이오 기업의 연구개발비 회계처리 관련 감독지침」을 발표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주식시장에 상장된 제약·바이오 기업의 연구개발비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14년부터 2022년까지 유가증권시장 또는 코스닥에 상장된 기업 중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에 속하는 12월 결산기업 중, 연속적으로 연구개발비가 있는 총 26개 기업을 대상으로 연구개발비와 기업가치 간의 관계를 살펴본다. 해당 표본의 연구개발비를 계정과목별 분류에 따라 총 연구개발비, 자산화 된 연구개발비, 비용화 된 연구개발비로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토빈 Q 모형을 이용하여 기업가치를 분석한 결과, 총 연구개발비와 자산화 된 연구개발비 그리고 비용화 된 연구개발비가 한 단위 증가할수록 기업가치는 각각 7.667, 12.459, 7.091 단위 증가하며 유의한 양(+)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장시장별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은 총 연구개발비와 자산화 된 연구개발비 그리고 비용화 된 연구개발비가 한 단위 증가할수록 기업가치는 각각 12.124, 31.649, 10.809 단위로 증가하며 유의한 양(+)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기업의 경우 총 연구개발비와 비용화 된 연구개발비가 한 단위 증가할수록 기업가치는 각각 5.110, 6.640 단위로 증가하며 유의한 양(+)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의 감독지침 발표 전·후로 시점을 나눠서 분석한 결과, 감독지침 발표 전 기업들의 총 연구개발비와 자산화 된 연구개발비가 한 단위 증가할수록 기업가치는 각각 –1.117, -5.833, 단위로 하락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비용화 된 연구개발비가 한 단위 증가할수록 기업가치는 0.416 단위로 증가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감독지침 발표 후 기업들의 총 연구개발비와 자산화 된 연구개발비 그리고 비용화 된 연구개발비가 한 단위 증가할수록 기업가치는 각각 11.146, 23.160, 9.794 단위로 증가하여 유의한 양(+)의 값을 가지는 것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제약․바이오 기업의 연구개발비와 기업가치에 대한 관련성뿐만 아니라, 「제약․바이오 기업의 연구개발비 회계처리 관련 감독지침」 발표 전․후에 대한 영향을 비교하고 감독지침의 실효성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유가증권시장, 코스닥시장 내 상장된 제약․바이오 기업을 분리하여 연구개발비와 기업가치의 관련성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2018,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of Korea issued the "Supervisory Guidelines for Accounting for R&D Expenditure of Pharmaceutical and Biopharmaceutical Companies." This study undertakes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D exp...

      In 2018,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of Korea issued the "Supervisory Guidelines for Accounting for R&D Expenditure of Pharmaceutical and Biopharmaceutical Companies." This study undertakes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D expenditure and corporate value among listed pharmaceutical and biopharmaceutical companies. Specifically, it examines the relationship within a sample of 26 companies listed on the KOSPI or KOSDAQ market, chosen based on their consistent R&D expenditure from 2014 to 2022. The R&D expenditure of the sample is categorized into total R&D expenditure, capitalized R&D expenditure, and expensed R&D expenditure, following accounting classification guidelines.
      By utilizing the Tobin Q model to analyze corporate value, the study observes that an increase of one unit in total R&D expenditure, capitalized R&D expenditure, and expensed R&D expenditure corresponds to an increase in corporate value by 7.667, 12.459, and 7.091 units, respectively, signify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Further classification and analysis based on the listed market (KOSPI, KOSDAQ) reveal that companies listed on the KOSPI market experienc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With a one-unit increase in total R&D expenditure, capitalized R&D expenditure, and expensed R&D expenditure, their corporate value demonstrates respective increases of 12.124, 31.649, and 10.809 units. In the case of companies listed on the KOSDAQ market, a one-unit increase in total R&D expenditure and expensed R&D expenditure results in a corporate value increase of 5.110 and 6.640 units, respectively,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According to the analysi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release of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s supervisory guidelines, an increase of one unit in total R&D expenditure and capitalized R&D expenditure leads to a decrease in corporate value by -1.117 and -5.833 units, respectively, prior to the announcement of the guidelines. Following the release, however, a one-unit increase in total R&D expenditure, capitalized R&D expenditure, and expensed R&D expenditure leads to respective corporate value increases of 11.146, 23.160, and 9.794 units, demonstrat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as it compares the impacts before and after the announcement of the "Supervisory Guidelines for Accounting for R&D Expenses of Pharmaceutical and Biopharmaceutical Companies," thereby confirming the efficacy of the supervisory guidelines. Moreover, it presents a notable contribution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D expenditure and corporate value, while differentiating between pharmaceutical and biopharmaceutical companies listed in the KOSPI and the KOSDAQ marke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그림 차례 ii
      • 표 차례 iii
      • 국문 요약 iv
      • 제1장 서론 1
      • 제2장 선행연구 및 연구가설 9
      • 그림 차례 ii
      • 표 차례 iii
      • 국문 요약 iv
      • 제1장 서론 1
      • 제2장 선행연구 및 연구가설 9
      • 2.1 선행연구 9
      • 2.2 가설설정 12
      • 제3장 연구 설계15
      • 3.1 표본선정 및 자료의 수집 15
      • 3.2 연구모형 18
      • 3.3 변수의 정의 20
      • 3.3.1 종속변수 20
      • 3.3.2 독립변수 20
      • 3.3.3 통제변수 21
      • 제4장 실증분석 결과 22
      • 4.1 기술통계량 22
      • 4.2 상관관계 분석 26
      • 4.3 회귀분석 결과 27
      • 4.3.1 연구개발지출과 기업가치의 관련성 27
      • 4.3.2 상장시장별 연구개발지출과 기업가치의 관련성 29
      • 4.3.3 감독지침 발표 전후 연구개발지출과 기업가치의 관련성 32
      • 4.4 추가분석 35
      • 4.4.1 연구개발지출 계정과목에 따른 기업가치 관련성 차이 35
      • 4.5. 고찰 39
      • 제5장 결론 43
      • 참고 문헌 45
      • 영문 요약 5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