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색채범주와 연구의 최근 동향: 반구 비대칭적 범주효과와 언어상대성 = Research Trends of Color Categorization Study: Hemisphereric Asymmetry of Category Effect and Linguistic Relativ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358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ntil recently, a number of research in color categorization has been tri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thought, i.e., whether language influence color categorization. Nevertheless, there are two different theoretical positions which are confronting each other; one is linguistic relativity insisting that color categories are likely to vary as a function of cultural and linguistic differences and the other is linguistic universalism maintaining that color categorization is common at every language regardless of the number of basic color names and color categories being used. Recently, some cognitive neuropsychological research have also been tri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formance or eye movement in visual search task and hemispheric activation. In this paper, recent trends of color categorization study related to the issue were reviewed and particularly some recent findings which con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lor categorization and the hemispheric asymmetry of language processing by using visual search task and comparing the color category effects in right and left visual field were discussed from the linguistic relativist perspective.
      번역하기

      Until recently, a number of research in color categorization has been tri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thought, i.e., whether language influence color categorization. Nevertheless, there are two different theoretical positions w...

      Until recently, a number of research in color categorization has been tri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thought, i.e., whether language influence color categorization. Nevertheless, there are two different theoretical positions which are confronting each other; one is linguistic relativity insisting that color categories are likely to vary as a function of cultural and linguistic differences and the other is linguistic universalism maintaining that color categorization is common at every language regardless of the number of basic color names and color categories being used. Recently, some cognitive neuropsychological research have also been tri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formance or eye movement in visual search task and hemispheric activation. In this paper, recent trends of color categorization study related to the issue were reviewed and particularly some recent findings which con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lor categorization and the hemispheric asymmetry of language processing by using visual search task and comparing the color category effects in right and left visual field were discussed from the linguistic relativist perspectiv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색채범주화에 관한 최근까지의 연구들은 언어와 사고의 문제, 즉 언어가 색채범주화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을 해왔다. 그러나 아직까지 언어가 색채범주화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해서는, 색채범주가 문화적, 언어적 차이에 따라 다를 수 있다고 보는 언어상대주의적 관점과 색채범주화가 기본색이름이나 색채범주의 수에 관계없이 모든 언어에서 공통적이라고 주장하는 보편주의적 관점이 여전히 대립하고 있다. 최근에는 시각적 탐색과제의 수행이나 안구운동과 대뇌 활성화간의 관련성을 살펴보는 인지신경심리학적 연구들도 수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쟁점에 관한 최근까지의 국내외 연구들을 개관하고, 특히 시각적 탐색과제를 사용하여 좌우측 시야에서 나타난 색채범주효과를 비교함으로써 색채범주화가 반구 비대칭적인 언어처리와 관련이 있음을 확인한 최근의 연구결과들을 언어상대주의적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색채범주화에 관한 최근까지의 연구들은 언어와 사고의 문제, 즉 언어가 색채범주화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을 해왔다. 그러나 아직까지 언어가 색채범주화에 영...

      색채범주화에 관한 최근까지의 연구들은 언어와 사고의 문제, 즉 언어가 색채범주화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을 해왔다. 그러나 아직까지 언어가 색채범주화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해서는, 색채범주가 문화적, 언어적 차이에 따라 다를 수 있다고 보는 언어상대주의적 관점과 색채범주화가 기본색이름이나 색채범주의 수에 관계없이 모든 언어에서 공통적이라고 주장하는 보편주의적 관점이 여전히 대립하고 있다. 최근에는 시각적 탐색과제의 수행이나 안구운동과 대뇌 활성화간의 관련성을 살펴보는 인지신경심리학적 연구들도 수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쟁점에 관한 최근까지의 국내외 연구들을 개관하고, 특히 시각적 탐색과제를 사용하여 좌우측 시야에서 나타난 색채범주효과를 비교함으로써 색채범주화가 반구 비대칭적인 언어처리와 관련이 있음을 확인한 최근의 연구결과들을 언어상대주의적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만영, "한국인의 기본색이름에 대응하는 색상에 관한 연구" 8 (8): 1-10, 1997

      2 박현수, "한국어 색이름의 먼셀색채공간 연구(II)" 29-38, 2002

      3 김영선, "한국어 색이름의 먼셀색채공간 연구(I)" 15 (15): 29-36, 2001

      4 박현수, "한국어 기본색이름과 조합색이름의 색채공간분포" 한국색채학회 21 (21): 21-34, 2007

      5 김영선, "한국어 기본색이름과 색채공간 표상영역"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1998

      6 김영선, "한국어 기본색이름과 ISCC-NBS 기초유목 색이름의 색채공간 비교" 29-34, 1998

      7 오정주, "양자택일적 유사성 판단반응을 통한 먼셀 명도, 채도, 색상의 등간성 평가" 한국색채학회 21 (21): 1-8, 2007

      8 이만영, "섬유패션 색채의 한국어 계통색이름체계 연구" 한국색채학회 16 (16): 1-24, 2002

      9 박현수, "색이름 사용에서 보이는 언어간 색채표상의 차이:‘보라/자주’와 ‘Purple/ Violet’의 비교" 20 (20): 11-23, 2006

      10 김인지, "색상과 상대명도에 따른 무채색과 유채색의 범주경계변화"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17 (17): 151-170, 2005

      1 이만영, "한국인의 기본색이름에 대응하는 색상에 관한 연구" 8 (8): 1-10, 1997

      2 박현수, "한국어 색이름의 먼셀색채공간 연구(II)" 29-38, 2002

      3 김영선, "한국어 색이름의 먼셀색채공간 연구(I)" 15 (15): 29-36, 2001

      4 박현수, "한국어 기본색이름과 조합색이름의 색채공간분포" 한국색채학회 21 (21): 21-34, 2007

      5 김영선, "한국어 기본색이름과 색채공간 표상영역"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1998

      6 김영선, "한국어 기본색이름과 ISCC-NBS 기초유목 색이름의 색채공간 비교" 29-34, 1998

      7 오정주, "양자택일적 유사성 판단반응을 통한 먼셀 명도, 채도, 색상의 등간성 평가" 한국색채학회 21 (21): 1-8, 2007

      8 이만영, "섬유패션 색채의 한국어 계통색이름체계 연구" 한국색채학회 16 (16): 1-24, 2002

      9 박현수, "색이름 사용에서 보이는 언어간 색채표상의 차이:‘보라/자주’와 ‘Purple/ Violet’의 비교" 20 (20): 11-23, 2006

      10 김인지, "색상과 상대명도에 따른 무채색과 유채색의 범주경계변화"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17 (17): 151-170, 2005

      11 정경훈, "무채색 Ganzfeld 자극과 무채색 및 유채색의 중심자극에 대한 명도 지각 특성"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18 (18): 281-309, 2006

      12 구민모, "먼셀색채공간에서 청록색, 하늘색, 남색의 기본색이름 자질 평가" 19 (19): 73-81, 2005

      13 오경기, "먼셀 색채 공간에서 고유색의 위치 확정과 지각적 특성" 한국색채학회 20 (20): 39-48, 2006

      14 신현정, "개념과 범주화" 아카넷 2000

      15 Gilbert, A.L., "Whorf hypothesis is supported in the right visual field but not the left" 103 : 489-494, 2006

      16 Heider, E.R., "Universals in color naming and memory" 93 : 10-20, 1972

      17 Lindsey, D.T., "Universality of color names" 103 : 16608-16613, 2006

      18 Özgen, E., "Turkish color terms: tests of Berlin and Kay's theory of color universals and linguistic relativity" 36 (36): 919-956, 1998

      19 Whorf, B.L., "The relation of habitual thought and behavior to language" M.I.T. Press 1956

      20 Franklin, A., "The nature of infant color categorization: Evidence from eye movements on a target detection task" 91 : 227-248, 2005

      21 Roberson, D., "The categorical perception of colors and facial expression: The effect of verbal interference" 28 : 977-986, 2000

      22 Eimas, P.D., "Speech perception in infants" 171 : 303-306, 1971

      23 Paramei, G., "Singing the Russian blues: An argument for culturally basic color terms. Cross-Cultural Research" 39 (39): 10-38, 2005

      24 Winawer, J., "Russian blues reveal effects of language on color discrimination" 104 : 7780-778, 2007

      25 Kay, P., "Resolving the question of color naming universals" 100 : 9085-9089, 2003

      26 Roberson, D., "Relatively speaking; An accou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thought in the color domain"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27 Harnad, S., "Psychophysical and cognitive aspects of categorical perception: A critical overview;Categorical perception: The groundwork of cogn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

      28 Liberman, A.M., "Perception of the speech code" 74 : 431-461, 1967

      29 Hering, E., "Outlines of a theory of the light sense" Harvard University Press 1964

      30 Franklin, A., "New evidence for infant colour categories" 22 : 349-377, 2004

      31 Fonteneau, E., "Neural correlates of colour categories" Neuroreport, in press 2008

      32 O'Hanlon, C.G., "Learning in context: Linguistic and attentional constraints on children's color term learning" 94 : 275-300, 2007

      33 Pilling, M., "Is color “categorical perception” really perceptual?" 31 (31): 538-551, 2003

      34 Catherwood, D., "Infant response to stimuli of similar hue and dissimilar shape: Tracing the origins of the categorization of objects by hue" 60 : 752-762, 1989

      35 Drivonikou, G.V., "Further evidence that Whorfian effects are stronger in the right visual field than the left" 104 (104): 1097-1102, 2007

      36 Regier, T., "Focal colors are universal after all" 102 : 8386-8391, 2005

      37 Belpaeme, T., "Explaining universal colour categories through a constrained acquisition process" 13 (13): 293-310, 2005

      38 Witthoft, N., "Effects of language on color discriminability" 2003

      39 Bornstein, M.H., "Discrimination and matching within and between hues measured by reaction times: Some implications for categorical perception and levels of information processing" 46 : 207-222, 1984

      40 Jameson, K.A., "Culture and Cognition: What is Universal about the Representation of Color Experience?" 5 (5): 293-347, 2005

      41 Fagot, J., "Cross-species differences in color categorization" 13 : 275-280, 2006

      42 Bornstein, M.H., "Color vision and hue categorization in young human infants" 2 : 115-129, 1976

      43 Wyszecki, G., "Color science: Concepts and methods, quantitative data and formulae" Wiley-Interscience 1982

      44 Kay, P., "Color naming universals: The case of Berinmo" 102 : 289-298, 2007

      45 Kay, P., "Color naming across language;Color categories in thought and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46 Roberson, D., "Color categories: Evidence for the cultural relativity hypothesis" 50 : 378-411, 2005

      47 Roberson, D., "Color categories are not universal: Replications & new evidence from a Stone-age culture" 129 : 369-398, 2000

      48 Maffi, L., "Closing thoughts;Color categories in thought and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49 Roberson, D., "Categorical perception of colour in the left and right hemisphere is verbally mediated: Evidence from Korean" 107 : 752-762, 2008

      50 Franklin, A., "Categorical Perception of color is lateralized to the right hemisphere in infants, but to the left hemisphere in adults" 105 : 3221-3225, 2008

      51 Kay, P., "Biocultural implications of systems of color naming" 1 (1): 12-25, 1991

      52 Berlin, B., "Basic color terms: their universality and evolu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9

      53 Özgen, E., "Acquisition of categorical color perception: A perceptual learning approach to the linguistic relativity hypothesis" 131 (131): 477-493, 2002

      54 Brown, R., "A study in language and cognition" 49 : 454-462, 195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6-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1 1.31 1.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3 2.1 2.669 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