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 국립극장의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8585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국립극장의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 국립극장은 1950년 설립 이후 장르별 전속단체와 함께 문화예술의 발전을 위하여 꾸준하게 노력하였으며, 2000년도에는 문화정책의 변화에 부응...

      한국 국립극장의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

      국립극장은 1950년 설립 이후 장르별 전속단체와 함께 문화예술의 발전을 위하여 꾸준하게 노력하였으며, 2000년도에는 문화정책의 변화에 부응하여 국립발레단 등 3개 전속단체를 법인화하여 독립시킨 후 책임운영기관으로 운영체제를 변경하였다. 2010년도에는 국립극단도 법인화하면서 국립창극단 등 전통예술 장르 중심의 체제로 운영하게 되었다. 따라서 국립극장은 이러한 환경에 적응하면서 새로운 이미지를 정립하고 미래에도 공연예술부문의 대표 극장으로서 위상과 아울러 정체성을 유지해야 할 과제를 안게 되었다.
      국립극장이 설립된 이후 관료 중심의 유연하지 못한 운영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고 시대의 변화에 적응하면서 효율성과 책임성에 중점을 둔 책임운영기관으로의 변경은 기존의 관료주의적 운영에 변화를 주어 경영성과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지만, 여전히 문화예술기관으로서의 특수성을 감안하더라도 적잖은 한계를 지니고 있으며 만족할만한 운영체제로서 자리 잡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전속단체를 포함한 국립극장의 운영 전반에 걸쳐 심층적인 분석과 아울러, 해외의 주요 공연예술기관의 운영 사례를 검토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국립극장의 효율성과 전문성을 향상할 수 있는 목표를 설정하였으며, 다양한 환경과의 교류와 수용으로 고객 우선과 미래 지향적인 입장에서 국립극장의 운영에 관한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국립극장의 다양한 환경변화를 감안하면서 연관성이 긴밀한 분야인 조직 운영, 공연 진흥사업과 프로그램, 예술감독과 전속단체 등을 분석하여 쟁점과 문제점을 제시하면서 해외 공연예술기관의 운영 현황과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쟁점과 비교 분석사항으로 SWOT 분석을 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미션과 개선전략을 설정하고 고객 지향의 장기적인 활성화 방안을 수립하였다.
      국립극장의 미션으로는 문화예술의 창조적 계승발전을 위한 역량 강화, 예술성 높은 작품 제작 및 예술교육 프로그램 운영, 국민의 문화향수 증대를 위한 사업, 국내외 문화예술의 교류 협력사업, 공연예술 자료수집 및 연구기능 강화, 문화예술에 관한 인력 양성 등을 제시하였으며, 개선전략으로서는 극장과 전속단체의 변화와 소통 그리고 활성화, 작품의 창작과 연구 그리고 활발한 교류에 중점을 두었다. 그리고 공연예술 진흥을 위하여 정보화와 콘텐츠를 활용한 다양하고 풍부한 예술교육을 제안할 수 있었다.
      국립극장의 경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조직 운영과 구조개선 그리고 극장과 전속단체의 관계 재설정과 함께 재정 체계의 경직성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과 경영관리시스템의 도입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국립극장의 위상을 높이기 위하여 극장장을 비롯한 직단원의 인사정책 등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국립극장이라는 명칭을 공연예술분야를 포괄적으로 상징하는 것으로 변경과 함께 국립극장 무대에 올리는 공연예술 작품에 대하여 질적 수준을 보장하는 방안을 강구함으로써 브랜드 가치와 이미지를 높여야 한다.
      그리고 국립극장의 접근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진입로를 이설하는 방안과 함께 새로운 국립극장의 건립 방안도 검토하며, 문화예술 창작기관으로서 국민이 골고루 문화예술을 향수할 수 있는 프로그램 구성과 더불어 지역 국립극장이나 분관의 설립을 검토하여야 한다. 그리고 장르별 전용 공연장으로 특성화와 함께 무대미술 제작 및 보관창고를 마련하며, 관객과 쌍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한 네트워크 환경을 활용하여 온라인을 통한 접근성도 높여야 한다.
      예술 창작의 지원을 위한 자문위원회의 개선방안이 있어야 하며, 민간 지원을 위하여 설립한 발전기금과 후원금에 대한 투명성과 객관성을 높임과 아울러, 후원회와 회원제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문화예술로서 잠재적 능력과 창조적이고 통합적인 인간을 형성할 수 있는 예술교육과 관객개발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전속단체의 기획 역량과 예술성 제고를 위한 방안으로 레퍼토리시스템과 시즌 공연제 등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국립극장 무대에 걸맞은 작품을 발굴하고 선정하기 위하여 레퍼토리개발위원회 구성이 필요하다.
      극장장과 예술감독의 역할과 책임성에 대하여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하며, 상호간 역할의 범위를 정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예술감독에게 제작과 공연에 관한 권한의 위임에도 불구하고 일관된 예술적 성과와 정체성을 위해서는 극장장에게 운영과 프로그래밍의 권한과 책임을 부여하여 총감독으로서 경영부문과 예술부문이 조화를 이루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문화 복지를 위한 예술향수의 확대와 함께 공연 창작사업의 전문화를 위하여 프로그램의 선택과 집중, 홍보 마케팅 역량 강화, 해외 초청공연의 특성화라는 원칙을 제안할 수 있었다.
      전속단체와 단원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하여 작품 제작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보장하며 창작 중심의 예술조직으로 전환하고, 운영의 효율성을 제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장. 서론 1
      • 제 1절. 연구배경과 목적 1
      • 제 2절. 연구방법과 범위 4
      • 제 3절. 선행연구 검토 6
      • 제 2장. 국립극장 현황 10
      • 제 1장. 서론 1
      • 제 1절. 연구배경과 목적 1
      • 제 2절. 연구방법과 범위 4
      • 제 3절. 선행연구 검토 6
      • 제 2장. 국립극장 현황 10
      • 제 1절. 역사와 환경 변화 10
      • 1. 국립극장 역사 10
      • 2. 내부 환경변화 14
      • 가. 책임운영기관 구조 변경 14
      • 나. 전속단체의 법인화 16
      • 다. 조직 재설계 및 공연예술박물관 개관 17
      • 3. 외부 환경변화 19
      • 가. 사회·문화적 환경변화 19
      • 나. 문화 정책적 환경변화 21
      • 제 2절. 국립극장 운영 현황 23
      • 1. 조직 운영과 시설 23
      • 가. 운영 일반 23
      • 1) 운영 방식 23
      • 2) 조직과 인력 25
      • 3) 재정 부문 28
      • 4) 이용객 만족도 31
      • 나. 공연시설 및 접근성 35
      • 1) 공연장과 기반시설 35
      • 2) 국립극장 접근성 39
      • 다. 분석과 쟁점 40
      • 2. 공연 진흥사업 44
      • 가. 자문위원회와 발전기금 44
      • 1) 자문위원회 운영 44
      • 2) 발전기금과 후원회 47
      • 나. 관객개발과 예술교육 49
      • 1) 관객개발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49
      • 2) 무대예술전문인 자격검정 56
      • 다. 분석과 쟁점 57
      • 3. 공연 프로그램 61
      • 가. 작품 기획 및 제작 61
      • 1) 전속단체 공연사업 61
      • 2) 국립극장 기획사업 71
      • 3) 공동주최 및 대관공연 77
      • 나. 공연장 가동률 및 객석 점유율 82
      • 1) 공연과 관람객 82
      • 2) 공연장 가동률 85
      • 3) 객석 점유율 86
      • 다. 분석과 쟁점 88
      • 4. 전속단체와 예술감독 96
      • 가. 전속단체 일반사항 96
      • 1) 전속단원 복무 96
      • 2) 전속단체 활동 98
      • 나. 예술감독 101
      • 1) 전속단체와 예술감독 101
      • 2) 국립극장과 전속단체 102
      • 다. 분석과 쟁점 104
      • 제 3장. 해외 공연예술기관과의 비교 109
      • 제 1절. 조직과 운영 109
      • 1. 운영 주체 109
      • 2. 주요 업무 113
      • 3. 재정 부문 116
      • 4. 주요 시설 118
      • 제 2절. 주요 프로그램 124
      • 1. 상임단원을 운영하지 않는 공연예술기관의 프로그램 124
      • 2. 전속단체를 운영하는 공연예술기관의 프로그램 126
      • 3. 상주단체를 운영하는 공연예술기관의 프로그램 129
      • 제 3절. 예술감독과 예술단체 130
      • 1. 예술감독 130
      • 2. 예술감독과 전속단체 132
      • 3. 예술감독과 상주단체 133
      • 제 4절. 비교 분석과 시사점 135
      • 1. 조직과 운영 135
      • 2. 주요 프로그램 136
      • 3. 예술감독과 예술단체 138
      • 제 4장. 국립극장 활성화 방안 140
      • 제 1절. 목표설정과 과제 140
      • 1. SWOT 분석 및 대응방향 140
      • 가. 전략계획 과정 140
      • 나. 국립극장 SWOT 분석 141
      • 다. SWOT 분석에 따른 대응 144
      • 2. 미션과 목표 147
      • 가. 미션과 임무 147
      • 나. 목표 설정 149
      • 다. 중장기 목표 152
      • 3. 중점 과제 155
      • 가. 조직과 운영 156
      • 나. 공연 진흥사업 157
      • 다. 공연예술 프로그램 158
      • 제 2절. 국립극장 활성화 방안 160
      • 1. 조직운영과 시설개선 160
      • 가. 조직운영의 활성화 160
      • 1) 조직 구조 160
      • 2) 인력 구성 164
      • 3) 재정 부문 167
      • 4) 이용객 만족도 169
      • 나. 공연시설과 접근성 제고 170
      • 1) 공연장과 기반시설 확충 170
      • 2) 국립극장 접근성 개선 174
      • 2. 공연 진흥사업의 제고와 정착 175
      • 가. 자문위원회와 발전기금 활성화 175
      • 1) 자문위원회 활성화 175
      • 2) 발전기금과 후원회 176
      • 나. 관객개발과 예술교육 확대 179
      • 1) 관객개발 및 예술교육 181
      • 2) 무대예술 전문교육 185
      • 3. 공연 프로그램의 특성화 187
      • 가. 작품기획 및 제작방안 모색 187
      • 1) 전속단체 공연사업 187
      • 2) 국립극장 기획사업 194
      • 3) 공동주최 및 대관공연 197
      • 나. 공연장 가동률 및 객석점유율의 안정화 199
      • 1) 공연장 가동률 199
      • 2) 객석 점유율 200
      • 4. 전속단체와 예술감독의 역량강화 200
      • 가. 전속단체의 방향성 200
      • 1) 전속단원 복무 200
      • 2) 전속단체 역량강화 202
      • 나. 예술감독의 바람직한 역할 205
      • 1) 전속단체와 예술감독 205
      • 2) 국립극장과 전속단체 206
      • 제 5장. 결어 209
      • 참고 자료 218
      • ABSTRACT 22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