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The) South Korea-U.S. alliance in evolution : an analysis of the SCM joint communiqués, 1968-2022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71885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liances generally represent a non-preferred strategic choice for states due to their inherent costs and constraints. Nevertheless, the South Korea-U.S. alliance has demonstrated remarkable durability for over seven decades since its formalization through the 1953 Mutual Defense Treaty. The alliance's distinctive characteristic lies in its asymmetric nature. The United States, as a global superpower, possesses extensive interests and capabilities, while South Korea has evolved from a small state to a middle power, primarily focusing on the North Korean threat. These contrasting capabilities and priorities have defined the alliance's key features and shaped its dynamics and challenges over decades.
      The Security Consultative Meeting (SCM), established in 1968, serves as a key mechanism for managing these internal alliance challenges. As an annual high-level consultative body involving both nations' defense ministers, the SCM has provided an official platform for coordinating responses to changes in global and regional security environments. Each meeting concludes with a joint communiqué, which has functioned as a historical record documenting alliance concerns, policy coordination, and compromises.
      This study analyzes the alliance maintenance mechanisms through content analysis of the SCM joint communiqués. The communiqués demonstrate the evolution of the South Korea-U.S. alliance over time. Starting from a simple format, they expanded in the 1990s to include asymmetric threats, extended deterrence, and regional security, and further evolved in the 2000s to encompass space, cyber, and economic security domains. Notably, the communiqués have operated by responding to major security incidents and crises, demonstrating the alliance's adaptability.
      The analysis reveals that the South Korea-U.S. alliance's abandonment-entrapment dilemma exhibits more complexity and dynamism than theoretical predictions suggest. Concerns about abandonment and entrapment have manifes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artners' situations and contexts, indicating that the South Korea-U.S. alliance has been reinterpreted beyond military cooperation within the context of strategic competition. Particularly in the 2020s, new structural challenges, including North Korean threats and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demand greater institutional adaptability and strategic flexibility from the alliance.
      This study contributes to analyzing and interpreting the evolutionary process of the South Korea-U.S. alliance through analysis of the SCM joint communiqués from the first to the fifty-fourth meeting, spanning half a century. However, the study's limitation in accessing informal discussions and internal conflicts due to the official nature of the documents suggests areas for future research.
      번역하기

      Alliances generally represent a non-preferred strategic choice for states due to their inherent costs and constraints. Nevertheless, the South Korea-U.S. alliance has demonstrated remarkable durability for over seven decades since its formalization th...

      Alliances generally represent a non-preferred strategic choice for states due to their inherent costs and constraints. Nevertheless, the South Korea-U.S. alliance has demonstrated remarkable durability for over seven decades since its formalization through the 1953 Mutual Defense Treaty. The alliance's distinctive characteristic lies in its asymmetric nature. The United States, as a global superpower, possesses extensive interests and capabilities, while South Korea has evolved from a small state to a middle power, primarily focusing on the North Korean threat. These contrasting capabilities and priorities have defined the alliance's key features and shaped its dynamics and challenges over decades.
      The Security Consultative Meeting (SCM), established in 1968, serves as a key mechanism for managing these internal alliance challenges. As an annual high-level consultative body involving both nations' defense ministers, the SCM has provided an official platform for coordinating responses to changes in global and regional security environments. Each meeting concludes with a joint communiqué, which has functioned as a historical record documenting alliance concerns, policy coordination, and compromises.
      This study analyzes the alliance maintenance mechanisms through content analysis of the SCM joint communiqués. The communiqués demonstrate the evolution of the South Korea-U.S. alliance over time. Starting from a simple format, they expanded in the 1990s to include asymmetric threats, extended deterrence, and regional security, and further evolved in the 2000s to encompass space, cyber, and economic security domains. Notably, the communiqués have operated by responding to major security incidents and crises, demonstrating the alliance's adaptability.
      The analysis reveals that the South Korea-U.S. alliance's abandonment-entrapment dilemma exhibits more complexity and dynamism than theoretical predictions suggest. Concerns about abandonment and entrapment have manifes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artners' situations and contexts, indicating that the South Korea-U.S. alliance has been reinterpreted beyond military cooperation within the context of strategic competition. Particularly in the 2020s, new structural challenges, including North Korean threats and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demand greater institutional adaptability and strategic flexibility from the alliance.
      This study contributes to analyzing and interpreting the evolutionary process of the South Korea-U.S. alliance through analysis of the SCM joint communiqués from the first to the fifty-fourth meeting, spanning half a century. However, the study's limitation in accessing informal discussions and internal conflicts due to the official nature of the documents suggests areas for future researc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동맹은 그에 수반되는 내재적 비용과 제약으로 인해 국가들이 일반적으로 선호하지 않는 전략적 선택이다. 그럼에도 한미동맹은 1953년 상호방위조약 체결 이후 7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주목할 만한 지속성을 보여왔다. 한미동맹의 특징은 비대칭성에 있다. 미국은 글로벌 초강대국으로서 광범위한 이익과 역량을 보유하였고, 한국은 약소국에서 중견국으로 발전하면서 주로 북한의 위협이 안보의 초점이었다. 양국의 이러한 상반된 역량과 우선순위는 한미동맹의 주요 특징이 되어 왔으며, 수십 년 동안 그 역학과 도전을 형성해왔다.
      이러한 동맹 내부의 도전 과제를 관리하는 핵심 메커니즘으로 1968년 한미 안보협의회(SCM)가 설립되었다. SCM은 양국 국방장관이 참여하는 최고위급 연례 협의체로서, 글로벌 및 지역 안보 환경의 변화에 따른 현안을 조정하는 공식적 플랫폼을 제공해왔다. 각 회의는 공동성명으로 마무리되며, 이는 동맹의 우려사항, 정책 조정, 타협의 과정을 문서화한 역사적 기록으로 기능해왔다.
      본 연구는 SCM 공동성명의 내용분석을 통해 한미동맹의 유지 메커니즘을 분석했다. SCM 공동성명은 시기별로 한미동맹의 진화를 보여주었다. 초기의 단순한 형식에서 출발하여 1990년대 이후에는 비대칭 위협, 확장억제, 지역안보 등으로 의제가 확대되었고, 2000년대에는 우주, 사이버, 경제안보 영역으로 협력 범위가 확장되었다. 특히 주목할 점은 공동성명이 주요 안보 사건이나 위기 상황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작동하고 기능하여 동맹의 적응성을 보여줬다는 것이다.
      분석 결과, 한미동맹의 방기-연루 딜레마는 기존 이론의 예측보다 복잡하고 역동성을 보였다. 동맹 파트너의 상황과 맥락에 따라 방기와 연루의 우려가 다양하게 표출되었으며, 이는 한미동맹이 군사적 협력을 넘어 전략적 경쟁의 맥락에서 재해석되어 왔음을 시사한다. 특히 2020년대 들어서 북한의 위협과 미국과 중국의 전략경쟁이라는 새로운 구조적 도전은 동맹의 제도적 적응력과 전략적 유연성을 더욱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1회부터 54회까지 반세기에 걸친 한미 SCM 공동성명의 분석을 통해 한미동맹의 진화 과정에 대한 해석과 규명을 시도했다는 의의를 갖는다. 다만 공식 문서의 특성상 비공식적 논의나 내부적 갈등을 파악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으며, 이는 후속 연구를 통해 보완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동맹은 그에 수반되는 내재적 비용과 제약으로 인해 국가들이 일반적으로 선호하지 않는 전략적 선택이다. 그럼에도 한미동맹은 1953년 상호방위조약 체결 이후 7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주목...

      동맹은 그에 수반되는 내재적 비용과 제약으로 인해 국가들이 일반적으로 선호하지 않는 전략적 선택이다. 그럼에도 한미동맹은 1953년 상호방위조약 체결 이후 7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주목할 만한 지속성을 보여왔다. 한미동맹의 특징은 비대칭성에 있다. 미국은 글로벌 초강대국으로서 광범위한 이익과 역량을 보유하였고, 한국은 약소국에서 중견국으로 발전하면서 주로 북한의 위협이 안보의 초점이었다. 양국의 이러한 상반된 역량과 우선순위는 한미동맹의 주요 특징이 되어 왔으며, 수십 년 동안 그 역학과 도전을 형성해왔다.
      이러한 동맹 내부의 도전 과제를 관리하는 핵심 메커니즘으로 1968년 한미 안보협의회(SCM)가 설립되었다. SCM은 양국 국방장관이 참여하는 최고위급 연례 협의체로서, 글로벌 및 지역 안보 환경의 변화에 따른 현안을 조정하는 공식적 플랫폼을 제공해왔다. 각 회의는 공동성명으로 마무리되며, 이는 동맹의 우려사항, 정책 조정, 타협의 과정을 문서화한 역사적 기록으로 기능해왔다.
      본 연구는 SCM 공동성명의 내용분석을 통해 한미동맹의 유지 메커니즘을 분석했다. SCM 공동성명은 시기별로 한미동맹의 진화를 보여주었다. 초기의 단순한 형식에서 출발하여 1990년대 이후에는 비대칭 위협, 확장억제, 지역안보 등으로 의제가 확대되었고, 2000년대에는 우주, 사이버, 경제안보 영역으로 협력 범위가 확장되었다. 특히 주목할 점은 공동성명이 주요 안보 사건이나 위기 상황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작동하고 기능하여 동맹의 적응성을 보여줬다는 것이다.
      분석 결과, 한미동맹의 방기-연루 딜레마는 기존 이론의 예측보다 복잡하고 역동성을 보였다. 동맹 파트너의 상황과 맥락에 따라 방기와 연루의 우려가 다양하게 표출되었으며, 이는 한미동맹이 군사적 협력을 넘어 전략적 경쟁의 맥락에서 재해석되어 왔음을 시사한다. 특히 2020년대 들어서 북한의 위협과 미국과 중국의 전략경쟁이라는 새로운 구조적 도전은 동맹의 제도적 적응력과 전략적 유연성을 더욱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1회부터 54회까지 반세기에 걸친 한미 SCM 공동성명의 분석을 통해 한미동맹의 진화 과정에 대한 해석과 규명을 시도했다는 의의를 갖는다. 다만 공식 문서의 특성상 비공식적 논의나 내부적 갈등을 파악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으며, 이는 후속 연구를 통해 보완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Chapter 1. Introduction 1
      • 1. Research Background 1
      • 2. Research Objectives 5
      • 3. Methodology 6
      • 4. Organization of the Thesis 7
      • Chapter 1. Introduction 1
      • 1. Research Background 1
      • 2. Research Objectives 5
      • 3. Methodology 6
      • 4. Organization of the Thesis 7
      • Chapter 2. Theoretical Framework 11
      • 1. Why Do States Form Alliances: Rationale for Alliance Formation 12
      • 2. How Are Alliances Maintained and Managed: Alliance Dilemma 20
      • 3. Linking Balance of Threat and Abandonment-Entrapment Dilemma 28
      • 4. Nature and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South Korea-U.S. Alliance 35
      • Chapter 3. The South Korea-U.S. Alliance and the Security Consultative Meeting (SCM) 38
      • 1. Origins of the South Korea-U.S. Alliance 38
      • 2. Institutional Features and Functions of the SCM 43
      • 3. Format and Content of the SCM Joint Communiqus 51
      • 4. Analytical Framework for the Study 55
      • Chapter 4. Evolution of the South Korea-U.S. Alliance through Analysis of the SCM Joint Communiqus 59
      • 1. The Dtente Period (1968-1979, SCM 1-12) 59
      • 2. The New Cold War Period (1980-1989, SCM 13-21) 69
      • 3. The Post-Cold War Period of U.S. Hegemony (1990-2001, SCM 22-33) 75
      • 4. The War on Terror Period (2002-2012, SCM 34-44) 84
      • 5. The Rise of China and Indo-Pacific Period (2013-2022, SCM 45-54) 93
      • Chapter 5. Conclusion 102
      • References 109
      • 국문초록 1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