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사이버가정학습의 인지적 정의적 효과성 영향요인 분석 = A Study on the Analysis of Cognitive and Affective Factors that Affect Effectiveness of Cyber Home Learn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0289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사이버가정학습에서 학습자특성 요인, 사이버가정학습 요인, 환경요인 등에 따라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인지된 학습효과,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습태도, 만족도 등으로 인식되는 사이버가정학습의 효과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또한 사이버가정학습의 영향요인들 가운데 인지적․정의적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도출하여 구체적으로 어떠한 맥락에서 더욱 효과적인지를 심층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과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한 인지적 영역(학업성취도, 인지된 학습효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효과성은 학습자 특성 요인, 사이버가정학습 요인, 환경요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한 정의적 영역의 효과성(학습태도, 학습만족도)은 학습자 특성 요인, 사이버가정학습 요인, 환경요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사이버가정학습 체제에서 인지적․정의적 영역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특성 요인 및 사이버가정학습 요인, 환경요인은 무엇인가?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로 비춰볼 때 학습자의 인지적․정의적 영역의 효과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성격유형에 적합한 학습방법의 제공, 자기조절학습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학습전략의 개발, 학습자가 사이버가정학습에 자주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가정에서는 학부모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본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사이버가정학습에서 학습자특성 요인, 사이버가정학습 요인, 환경요인 등에 따라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인지된 학습효과,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습태도, 만족도 등으로 인식되는 ...

      이 연구는 사이버가정학습에서 학습자특성 요인, 사이버가정학습 요인, 환경요인 등에 따라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인지된 학습효과,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습태도, 만족도 등으로 인식되는 사이버가정학습의 효과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또한 사이버가정학습의 영향요인들 가운데 인지적․정의적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도출하여 구체적으로 어떠한 맥락에서 더욱 효과적인지를 심층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과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한 인지적 영역(학업성취도, 인지된 학습효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효과성은 학습자 특성 요인, 사이버가정학습 요인, 환경요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한 정의적 영역의 효과성(학습태도, 학습만족도)은 학습자 특성 요인, 사이버가정학습 요인, 환경요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사이버가정학습 체제에서 인지적․정의적 영역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특성 요인 및 사이버가정학습 요인, 환경요인은 무엇인가?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로 비춰볼 때 학습자의 인지적․정의적 영역의 효과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성격유형에 적합한 학습방법의 제공, 자기조절학습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학습전략의 개발, 학습자가 사이버가정학습에 자주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가정에서는 학부모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ich, of the influence factor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Cyber Home Learning such as the learner characteristic factors, Cyber Home Learning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are influential to the academic achievement, reperceptions of academic achievement enhancement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learning attitude, and satisfaction of the learners.
      Following are the research questions set to accomplish the research purpose.
      1.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effectiveness of the cognitive domain(academic accomplishment levels, perceptions of academic achievement enhancement,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about the Cyber Home Learning depending on the learner characteristic factors, Cyber Home Learning factors,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effectiveness of the affective domain(learning attitude, learning satisfactory level) on the Cyber Home Learning depending on the learner characteristic factors, Cyber Home Learning factors,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3. What are the learner characteristic factors, Cyber Home Learning factors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effectiveness of the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 in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Taking into account the results of the study, there are a number of recommendations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the learners'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 To begin with, the learners should be provided with an appropriate learning method which is appropriate to their personality types. Next, they should develop learning strategies in order to improve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Also, the learners should be given an environment where they can often come in contact with the Cyber Home Learning. Finally, they should be provided with the parents' wholehearted interest and active support at hom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ich, of the influence factor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Cyber Home Learning such as the learner characteristic factors, Cyber Home Learning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are influential to the aca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ich, of the influence factor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Cyber Home Learning such as the learner characteristic factors, Cyber Home Learning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are influential to the academic achievement, reperceptions of academic achievement enhancement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learning attitude, and satisfaction of the learners.
      Following are the research questions set to accomplish the research purpose.
      1.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effectiveness of the cognitive domain(academic accomplishment levels, perceptions of academic achievement enhancement,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about the Cyber Home Learning depending on the learner characteristic factors, Cyber Home Learning factors,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effectiveness of the affective domain(learning attitude, learning satisfactory level) on the Cyber Home Learning depending on the learner characteristic factors, Cyber Home Learning factors,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3. What are the learner characteristic factors, Cyber Home Learning factors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effectiveness of the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 in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Taking into account the results of the study, there are a number of recommendations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the learners'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 To begin with, the learners should be provided with an appropriate learning method which is appropriate to their personality types. Next, they should develop learning strategies in order to improve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Also, the learners should be given an environment where they can often come in contact with the Cyber Home Learning. Finally, they should be provided with the parents' wholehearted interest and active support at hom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6
      • 3. 연구문제 7
      • 4. 용어의 정의 9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6
      • 3. 연구문제 7
      • 4. 용어의 정의 9
      • II. 이론적 배경 11
      • 1. e-러닝의 개념 및 유용성 11
      • 가. e-러닝의 의미와 학교현장에서의 필요성 11
      • 나. e-러닝 환경의 특성 및 유용성 14
      • 2. 사이버가정학습의 개념 및 주요 특성 16
      • 가. 사이버가정학습 개념 17
      • 나. 사이버가정학습의 방향 및 기대효과 19
      • 다. 사이버가정학습의 현황 및 학습형태 20
      • 마. 사이버가정학습에서의 교사의 역할 24
      • 바. 사이버가정학습의 현황 28
      • 3. 사이버가정학습의 효과성 분석을 위한 요인 고찰 31
      • 가. 사이버가정학습 효과성 영향요인분석의 의의 31
      • 나. 효과성 영향요인 33
      • 다. 사이버가정학습의 효과성 측정 지표 40
      • 4. 사이버가정학습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 46
      • 가. 사이버가정학습체제의 개발 및 서비스,
      • 인식에 관한 연구 46
      • 나. 사이버가정학습의 효과성 영향요인에
      • 관한 연구 50
      • III. 연구의 방법 54
      • 1. 연구의 대상 54
      • 2. 연구 모형 56
      • 3. 연구도구 57
      • 4. 연구방법 및 절차 67
      • 5. 자료분석 69
      • IV. 연구의 결과 및 해석 72
      • 1. 연구변인들의 기술적 통계분석 결과 72
      • 2. 효과성 영향요인에 따른 인지적․정의적
      • 영역의 효과성 차이 검증 결과 76
      • 3. 사이버가정학습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 요인에 대한 중다회귀분석 결과 121
      • V. 논의 131
      • 1. 학습자 성격과 사이버가정학습의 효과성 131
      • 2. 학습자의 거주지역과 학업성취도의 관련성 133
      • 3. 사이버가정학습의 학습효과 향상을 위한
      • 학부모의 지원의 중요성 134
      • 4. 사이버가정학습에 있어서 자기조절학습의 중요성 135
      • 5. 사이버가정학습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36
      • Ⅵ. 요약 및 결론 139
      • 1.요약 139
      • 2. 결론 및 시사점 144
      • 3.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 150
      • 참고문헌 152
      • 부록
      • 1. 사이버가정학습의 효과성측정을 위한 질문지 166
      • 2. 학업성취도 측정을 위한 평가지 176
      • 영문초록 19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