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성 섬유 소재의 스포츠웨어는 소비자의 편리한 의복 생활과 브랜드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써 구매의사 결정을 내리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최근 건강에 대한 적극적 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074757
2011
Korean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12(12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기능성 섬유 소재의 스포츠웨어는 소비자의 편리한 의복 생활과 브랜드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써 구매의사 결정을 내리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최근 건강에 대한 적극적 관...
기능성 섬유 소재의 스포츠웨어는 소비자의 편리한 의복 생활과 브랜드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써 구매의사 결정을 내리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최근 건강에 대한 적극적 관여가 높을 뿐만 아니라 자신들에 대한 투자 경제력을 지닌 베이비붐 세대의 스포츠 활동에 대한 적극성은 기능성 섬유 소재 스포츠웨어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 예측된다.
본 연구는 마케팅 대상으로 새롭게 부상되고 있는 베이붐 세대의 기능성 섬유소재 스포츠웨어 구매 행동을 분석하기 위해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배경과 필요성, 연구방법을 설명하고 2장에서는 문헌 및 선행연구를 통해 기능성 섬유 소재의 특징과 종류, 베이비붐 세대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3장에서는 베이붐 세대의 기능성 섬유 소재 스포츠웨어에 대한 구매의사, 구매용도, 구매요소, 구매방법의 4가지 유형의 구매행동 패턴을 설ㄹ문지 조사법을 실시하여 조사하였다. 4장에서는 조사대상자 특성에 따른 빈도 분석을 실시하고 특히 관측빈도와 기대빈도의 유의성 판정을 위해 분할표에 의한 X² 검정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알 수 있었다.
1. 구매의사에 관한 빈도분석에서는 직업별, 월소득수준별, 참여스포츠별, 운동 횟수별에서 유의적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정되었다.
2. 이지케어, 쾌적, 건강위생, 스트레치 등 4가지 유형의 구매 용도에 관한 빈도 분석에서는 운동 횟수별에서만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
3. 스타일, 색상, 패턴, 트랜드 등의 4가지 유형의 구매요소에 관한 빈도분석에서는 성별, 직업별, 교육수준별, 참여스포츠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4. 온라인, 백화점, 대리점 홈쇼핑 등의 구매방법에 관한 빈도 분석에서는 교육수준별에서만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베이비붐 세대의 조사대상자의 특성별로 분석된 구매행동 패턴을 이용, 기업에서는 고객화 된 마케팅 전략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presents the pattern of purchasing behaviors of consumers in Baby Boom generation for sportswear, The pattern of purchasing behaviors is consisted of intention, use, motivation, and channel. In following empirical study, the frequency an...
This research presents the pattern of purchasing behaviors of consumers in Baby Boom generation for sportswear, The pattern of purchasing behaviors is consisted of intention, use, motivation, and channel. In following empirical study, the frequency analysis of four major patterns of purchasing behaviors for Baby Boomers. born between 1955 and 1963, is driven by gender type, occupation type, education level, monthly income level, participating sports type, and frequency of sports participation, The x2 test by contingency table is used to evaluate the significance of Observed frequency and expected frequency.
The results of x2 frequency analysis of empirical study are as follows:
1. The frequency analysis on pattern of purchasing behavior, particularly on purchasing intention, show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occupation type, monthly income level, participating sports type, and frequency of sports participation.
2. The frequency analysis on pattern of purchasing behavior, particularly on purchasing use, reflects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four types of use which are easy-care, comfortableness, hygiene, and stretching.
3. According to gender type, occupation type, education level and participating sports type, a significant difference is analyzed from frequency analysis on four major types of purchasing motivation which are style, color pattern, and trend.
4. The frequency analysis on purchasing channel, such as online shopping, department store, chain store, warehouse, home shopping,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education level.
When using the pattern of purchasing behavior for subjects of Baby Boomers that is suggested from this paper, the enterprise or corporation could establish an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with individual customiza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혜자, "흥미로운 섬유의 세계" 경춘사 1995
2 박재기, "제품이미지가 브랜드 선호도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한중 비교연구" 33 (33): 39-63, 2010
3 김민경, "의류 브랜드 이미지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의류학회 26 (26): 1558-1569, 2002
4 구희경, "여성복의 구매빈도에 의한 선호도 및 치수 시스템 인지도에 관한 분석" 한국의상디자인학회 13 (13): 125-134, 2011
5 김철규, "시각전달매체로서의 캐릭터와 소비자 행동자극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6 경노훈, "시각디자인과 브랜드이미지" 예경 1998
7 이 민 경, "스포츠웨어 브랜드 로고의 기호학적 분석" 복식문화학회 14 (14): 177-191, 2006
8 박광희, "스포츠 의류 제품·개발을 위한 기능성소재 개발동향" 33 : 101-116, 2007
9 최성심, "기능성소재가 착용자의 온열 쾌적성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1
10 Stertal B, "Consumer Behavior An Information Processing Perspective" Prentice-Hall 1982
1 이혜자, "흥미로운 섬유의 세계" 경춘사 1995
2 박재기, "제품이미지가 브랜드 선호도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한중 비교연구" 33 (33): 39-63, 2010
3 김민경, "의류 브랜드 이미지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의류학회 26 (26): 1558-1569, 2002
4 구희경, "여성복의 구매빈도에 의한 선호도 및 치수 시스템 인지도에 관한 분석" 한국의상디자인학회 13 (13): 125-134, 2011
5 김철규, "시각전달매체로서의 캐릭터와 소비자 행동자극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6 경노훈, "시각디자인과 브랜드이미지" 예경 1998
7 이 민 경, "스포츠웨어 브랜드 로고의 기호학적 분석" 복식문화학회 14 (14): 177-191, 2006
8 박광희, "스포츠 의류 제품·개발을 위한 기능성소재 개발동향" 33 : 101-116, 2007
9 최성심, "기능성소재가 착용자의 온열 쾌적성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1
10 Stertal B, "Consumer Behavior An Information Processing Perspective" Prentice-Hall 1982
11 Cohen D, "Consumer Behavio" Random House 1981
신디셔먼의 셀프 포트레이트 작품에 나타난 무의식에 관한 심리학적 고찰 -융의 분석심리학적 관점으로-
신디셔먼의 셀프 포트레이트 작품에 나타난 무의식에 관한 심리학적 고찰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4-1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rean Society of Art & Design -> The Korean Society of Science & Art | ![]() |
2019-01-1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과학예술포럼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외국어명 : Korea Science & Art Forum -> Korean Society of Art & Design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1-0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Science & Art Forum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 | 0.5 | 0.4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 | 0.49 | 0.707 | 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