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부모와 자식과의 관계를 천륜이라고 하는데, 전통사회에서 효는 자식의 부모에 대한 경애를 기초로 성립하는 도덕이다· 그러므로 자식은 자신을 낳아 길러 준 부모의 은혜에 감사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353419
2017
-
200
KCI등재
학술저널
1-21(2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흔히 부모와 자식과의 관계를 천륜이라고 하는데, 전통사회에서 효는 자식의 부모에 대한 경애를 기초로 성립하는 도덕이다· 그러므로 자식은 자신을 낳아 길러 준 부모의 은혜에 감사하�...
흔히 부모와 자식과의 관계를 천륜이라고 하는데, 전통사회에서 효는 자식의 부모에 대한 경애를 기초로 성립하는 도덕이다· 그러므로 자식은 자신을 낳아 길러 준 부모의 은혜에 감사하며 순수한 그 노고에 보답하고자 물질적·정신적으로 정성을 다해 봉양하는 것이다· 그래서 효자는 부모를 섬김에 있어 슬하에 있을 때는 공경을, 봉양함에 있어서는 즐거움을, 병이 났을 때는 근심을, 돌아갔을 때는 슬픔을, 제사지낼 때는 엄숙함을 다하여야 한다는 생전의 정성봉양과 사후의 제사봉양이 강조된다· 사후에는 초혼(招魂)을 의미하는 제사를 통해 후손을 만나기 위해 현세로 돌아올 수 있는데, 그 제사를 행하는 주체가 아들이기 때문에 결혼하여 아들을 낳는 것이 중요했다· 왜냐하면 조상과 후손은 모두 유한한 존재로 죽지만 아들의 제사를 통해 조상의 죽음은 망각이 아니라 기억의 공간에서 후손과 연결된다고 간주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효를 통하여 죽지 않고 영생 한다는 이론적 근거가 되게 된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효의 의미와 변화를 중심으로 `효와 불효`·`효와 충의 관계` 나아가 유가의 효 확산으로 공자·맹자·퇴계의 효와 동아시아의 권선서를 대표하는 『명심보감』를 비롯한 고전의 예화에서 보이는 효의 특징을 고찰했다· 또 이 전통적 효를 바탕으로 오늘날을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당면한 인생의 고독과 노고를 감싸줄 수 있는 책임성 있는 부모봉양과 가족부양의 모범을 보여야 하는 진정한 효의 의미는 어떤 것인가와 `효`와 `충`의 장단점을 통한 바람직한 효충의 관념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