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과 일본의 불교수용기사에 나타난 호국불교적 요소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650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호국불교란 '나라를 지키는 불교', 내지는 '국가를 위한 불교'리고 정의될 수 있디. 이러한 호국불교는 우리나라 불교문화의 중요한 특징으로 지적되고 있다. 그러한 점은 일본도 마찬가지다...

      호국불교란 '나라를 지키는 불교', 내지는 '국가를 위한 불교'리고 정의될 수 있디. 이러한 호국불교는 우리나라 불교문화의 중요한 특징으로 지적되고 있다. 그러한 점은 일본도 마찬가지다. 관고는 한국과 일분의 불교수용 기사에 나타난 호국불교적 요소에 대해 살펴보았다.
      고구려나 백제의 경우 전래당초부터 불교의 수용과 정칙에 국가가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데, 그 이유는 불교의 국기적 소용에 주목히였기 때문이디. 특히, 국기제의와 불교가 연관되어 언급펀다는 점에서 불교의 호국적 소용을 기대하고 있다고 보인다.
      신라의 경우 고구려나 백제와는 달리 전래당초에는 국가적 차원이라기 보다는 개인적 치원의 불교라는 인식이었지만, 그것이 점차 불국토신앙이나 호국사찰의 건립과 같은 국가적 차원의 불교로 전개되어 간다.
      일본의 경우 불타를 일본재래의 호국신들과 동일선상에서 이해하고 있다는 점과 불타도 그들 신과 마찬가지로 현실의 인간에게 복과 별을 줄 수 있는 신이며, 특히 질병이나 천재지변과 같은 국가적 재앙과 불교교연관시켜 보고 있는 점 등이 특정적이다.
      이와 같은 내용은 불교 스스로가 적극적으로 호국의 신앙과 논리를 국가애 제공하는 단계는 아니지만, 개인적 신앙이나 수행 등의 차원과는 다른 불교의 국가적 소용과 그에 대한 기대가 강조된다는 점에서 호국불교라고 해야 마땅할 갓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護国仏教とは、'国を護る仏教'または、'国のための仏教'と定義することができる。このような護国仏教は、韓国仏教文化の重要な...

      護国仏教とは、'国を護る仏教'または、'国のための仏教'と定義することができる。このような護国仏教は、韓国仏教文化の重要な特徴として指摘されている。その点は日本も同様である。本稿は、韓国と日本の仏教受容記事にみられる護国仏教的要素についての考察である。
      高句麗や百済の場合、伝来当初から仏教の受容と定着に国家が積極的にすすめているが、その理由は仏教の国家的所用に注目したからである。特に、国家祭儀と仏教が関連づけられて言及されている点において仏教の護国的な所用を期待していると考えられる。
      新羅の場合、伝来当初は国家的な次元よりも個人的な次元の仏教という認識があるが、それが徐々に仏国土信仰や護国寺刹の建設といった国家的な次元の仏教へと展開して行く。
      日本の場合、仏を日本在来の護国神らと同一線上で理解している点や、その護国神と同じく、現実の人間に福と罰を与える神であり、特に病気や天災地変のような国家的な災殃を仏教を関連してみている点などが特徴的である。
      このような内容は、仏教自らが積極的に護国の信仰や論理を国家に提供する段階ではないが、個人の信仰や修行のような次元とは異なる仏教の国家的所用とそれに対しての期待が強調されている点で護国仏教をみるべきであろう。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문
      • Ⅰ. 들어가는 말
      • Ⅱ. 고구려의 불교수용과 호국불교
      • Ⅲ. 백제의 불교수용과 호국불교
      • Ⅳ. 신라의 불교수용과 호국불교
      • 요약문
      • Ⅰ. 들어가는 말
      • Ⅱ. 고구려의 불교수용과 호국불교
      • Ⅲ. 백제의 불교수용과 호국불교
      • Ⅳ. 신라의 불교수용과 호국불교
      • Ⅴ. 일본의 불교전래와 호국불교
      • Ⅵ. 나오는 말
      • 참고문헌
      • 要約文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