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 우왕 원년 교서의 내용과 의미 = The Context and Meaning of the Statement of the First year of King Wu in Gorye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654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ing Wu overcame his controversial legitimacy and took the throne relatively quickly. He announced that he was the rightful successor by distributing the enthronement letter, and three months later, in the first year of King Wu(1375), he collected con...

      King Wu overcame his controversial legitimacy and took the throne relatively quickly. He announced that he was the rightful successor by distributing the enthronement letter, and three months later, in the first year of King Wu(1375), he collected convenience measures from officials and distributed them as a single letter(便民事宜). Most figures who would have had a decisive influence on the Pyeonminsaui were appointed as contributors to King Gongmin, and they were in the highest position in bureaucracy early on and regained their position after the collapse of Sindon(辛旽). In addition, many central scholarly officials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Joseon Dynasty, which explains the continuous policy stance.
      Among the 14 articles of Pyeonminsaui, the presentation of the five performance assessments of local bureaucrats, the installation of Sangpyeongjeyonggo(常平濟用庫), and the prohibition of operating Gahodunjeon(家戶屯田) can be seen as a solution reflecting the situation of Goryeo society at the time. Since these problems were also seen in early Joseon, the Confucian scholars who worked at the time and after the founding of the Joseon Dynasty had common goa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공민왕 사후 혼란한 정국 속에서 우왕은 논란을 딛고 비교적 빠르게 왕위를 계승했다. 이때 즉위교서를 반포하며 자신이 정당한 후계자임을 밝혔고 3개월 후인 우왕 원년(1375)에는 백관들로...

      공민왕 사후 혼란한 정국 속에서 우왕은 논란을 딛고 비교적 빠르게 왕위를 계승했다. 이때 즉위교서를 반포하며 자신이 정당한 후계자임을 밝혔고 3개월 후인 우왕 원년(1375)에는 백관들로부터 편민책(便民策)을 거둬들여 다음 달 편민사의(便民事宜)라는 하나의 교서로 반포하였다. 이때 편민사의에 결정적인 영향력을 끼쳤을 인물들 대부분이 공민왕대 공신에 책봉되어 일찍이 재추의 자리에 있었으며 신돈 실각 이후 지위를 되찾았다. 또한 주요 문신들 중 상당수가 조선 건국 이후에도 조정에서 활동하여 정책 기조의 연관성을 찾을 수 있다.
      편민사의 14개 기사 중 수령오사의 제시, 상평제용고의 설치, 가호둔전 운영의 금지는 당시 고려사회의 상황을 반영한 해결책으로 볼 수 있다. 이때 수령오사는 조선의 수령칠사로 이어졌으며 상평제용고는 전세 수취가 어려운 상황에서 공물 수취제도의 개선을 꾀한 것이었고 가호둔전은 조선의 호급둔전으로 이어졌다. 즉 고려말 문제 상황으로 지적되었던 것 중 상당수는 외부 환경이 안정되며 해결되었으며 당시 활동한 유신들과 조선 건국 후 활동했던 유신들이 공통적으로 지향하는 바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형수, "충혜왕의 폐위와 고려 유자儒者들의 공민왕 지원 배경" 한국국학진흥원 (19) : 539-569, 2011

      2 류주희, "조선초 비개국파 유신의 정치적 동향" 29 : 1998

      3 김성준, "조선수령칠사와 『牧民心鑑』" 21 : 1988

      4 소순규, "조선 태종대 미곡 확보 정책과 戶給屯田制의 시행" 역사연구소 (104) : 1-44, 2021

      5 신동훈, "조선 초기 향교 연구" 가톨릭대학교 2021

      6 박연호, "정도전의 과거 제도 및 학교 정책 개혁 구상과 그 제도적 귀결" 한국교육사상학회 28 (28): 121-147, 2014

      7 이형우, "우왕의 왕권강화 노력과 그 좌절" 23 : 1997

      8 이영, "왜구의 단계별 침구 양상과 고려의 대응"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181-212, 2012

      9 임용한, "여말선초의 수령제 개혁론"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소 1 : 1996

      10 강상택, "여말선초의 둔전에 관한 일고찰" 14·15 : 1988

      1 김형수, "충혜왕의 폐위와 고려 유자儒者들의 공민왕 지원 배경" 한국국학진흥원 (19) : 539-569, 2011

      2 류주희, "조선초 비개국파 유신의 정치적 동향" 29 : 1998

      3 김성준, "조선수령칠사와 『牧民心鑑』" 21 : 1988

      4 소순규, "조선 태종대 미곡 확보 정책과 戶給屯田制의 시행" 역사연구소 (104) : 1-44, 2021

      5 신동훈, "조선 초기 향교 연구" 가톨릭대학교 2021

      6 박연호, "정도전의 과거 제도 및 학교 정책 개혁 구상과 그 제도적 귀결" 한국교육사상학회 28 (28): 121-147, 2014

      7 이형우, "우왕의 왕권강화 노력과 그 좌절" 23 : 1997

      8 이영, "왜구의 단계별 침구 양상과 고려의 대응"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181-212, 2012

      9 임용한, "여말선초의 수령제 개혁론"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소 1 : 1996

      10 강상택, "여말선초의 둔전에 관한 일고찰" 14·15 : 1988

      11 소순규, "여말선초 전제개혁의 역사적 성격에 대한 재검토 - ‘사전개혁’ 에 대한 비판적 관점에서 -" 한국사연구회 (190) : 83-116, 2020

      12 홍영의, "공민왕대 후반의 정국운영과 신돈의 집정" 한국중세사학회 (62) : 81-111, 2020

      13 이익주, "공민왕대 개혁의 추이와 신흥유신의 성장" 15 : 1995

      14 백인호, "공민왕 20년의 개혁과 그 성격" 동아대학교 박물관 7 : 1991

      15 이진실, "고려후기 명덕태후의 행적과 정치적 성격" 한남대학교 2016

      16 박찬수, "고려시대 교육제도사 연구" 경인문화사 2001

      17 박종진, "고려시기 재정운영과 조세제도" 서울대학교출판부 2002

      18 박종진, "고려시기 공물의 수취구조" 6 : 1993

      19 김광철, "고려사 편년화와 고려실록 체제의 재구성" 한국중세사학회 (30) : 149-185, 2011

      20 박종진, "고려말의 濟用財와 그 성격" 2 : 1988

      21 홍영의, "고려말 정치사 연구" 혜안 2005

      22 이숙경, "고려 충숙왕비 명덕태후의 정치적 역할" 6 : 2006

      23 박재우, "고려 성균관의 성립과 운영" 수선사학회 (74) : 173-212, 2020

      24 안병우, "고려 둔전에 관한 일고찰" 10 : 1984

      25 "高麗史節要"

      26 "高麗史"

      27 李亨雨, "高麗 禑王代의 政治的 推移와 政治勢力 硏究"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9

      28 강지언, "高麗 禑王代(1374年-88年)政治勢力의 硏究"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6

      29 민현구, "高麗 恭愍王代 중엽의 정치적 변동" 진단학회 (107) : 37-67, 2009

      30 "睿宗實錄"

      31 "東文選"

      32 "太祖實錄"

      33 "太宗實錄"

      34 "元史"

      35 "三峯集"

      36 이정란, "『高麗史』 「辛禑傳」의 편찬방식과 자료적 성격" 고려사학회 (48) : 7-43, 2012

      37 이익주, "14세기 후반 고려-원 관계의 연구" 동북아역사재단 (53) : 351-397,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