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스캠퍼기법을 활용한 한국무용 움직임 창작법을 개발하고, 이를 한국무용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양적 효과와 질적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 달성...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7077774
서울 : 동덕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학위논문(박사) -- 동덕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 무용융합콘텐츠학과 , 2024. 8
2024
한국어
685.12 판사항(6)
서울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dance movement creation methods using the scamper technique
vi, 126 p. : 삽화, 도표 ; 27 cm.
동덕여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윤수미
부록 수록
참고문헌 : p. 95-101
I804:11021-00000010772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스캠퍼기법을 활용한 한국무용 움직임 창작법을 개발하고, 이를 한국무용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양적 효과와 질적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 달성...
본 연구는 스캠퍼기법을 활용한 한국무용 움직임 창작법을 개발하고, 이를 한국무용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양적 효과와 질적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스캠퍼기법과 한국무용 기본 춤사위를 활용하여 KMC(Korean Dance Movement Creation) 프로그램의 단계와 목표를 도출하였다. 이후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내용의 타당도를 검증받은 후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KMC 프로그램이 한국무용전공 대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양적 연구 방법과 질적 연구 방법을 병행하여 움직임 창작 능력에 미치는 창의성 현상을 탐구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지역에 소재한 D대학교의 무용학과에 재학 중이며 선정 기준에 맞는 한국무용전공자 10명으로 선정하였다. 프로그램은 총 8회기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연구 참여자에게 창의성 검사지 언어A형(Thinking Creatively with Words, TTCT: Vernal)을 KMC 프로그램 시행 전·후에 배포하여 작성된 검사지를 회수하였다. 이후 창의성 향상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통계 프로그램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WIN 25.0 버전을 사용하여 대응표본 t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질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일지, 관찰일지, 심층면담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귀납적 분석방법으로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스캠퍼기법을 이론적 근거로 하여 한국무용전공 대학생의 창의성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KMC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내용 타당도를 입증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째, KMC 프로그램 참여 여부에 따른 한국무용전공 대학생의 창의성 사전‧사후검사 차이검증결과, KMC 프로그램은 대상자의 창의성과 창의성 하위영역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KMC 프로그램의 질적 효과는 ‘확산적 사고와 새로운 접근 능력 확장’, ‘창의적이고 다양한 움직임 창작 능력 형성’, ‘관계형성의 새로운 인식’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KMC 프로그램은 한국무용전공 대학생의 창의성 향상과 움직임 창작 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독창적인 무용가로서 성장하는 데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교수법과 창의적인 무용 창작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을 시도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