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제주지역 장수노인들의 부양체계와 복지수준에 대한 실태와 문제점을 탐색함으로써 장수노인들의 삶의 질적 수준 향상, 사회적 부양 정책 수립 및 향후 장수와 관련된 제반 정책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7007970
2010
Korean
331.5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333-388(56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제주지역 장수노인들의 부양체계와 복지수준에 대한 실태와 문제점을 탐색함으로써 장수노인들의 삶의 질적 수준 향상, 사회적 부양 정책 수립 및 향후 장수와 관련된 제반 정책 ...
본 연구는 제주지역 장수노인들의 부양체계와 복지수준에 대한 실태와 문제점을 탐색함으로써 장수노인들의 삶의 질적 수준 향상, 사회적 부양 정책 수립 및 향후 장수와 관련된 제반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조사와 설문지 면접조사가 사용되었고, 특히 359명의 85세 이상 장수노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는 장수노인의 주거환경, 경제생활, 건강상태 및 의료서비스, 가족관계 및 부양대책, 여가 및 사회생활, 노인복지정책 및 서비스, 일반사항 등 장수노인의 사회적 부양체계가 분석되었다. 그리고 향후 제주장수노인의 복지대책을 위해서 소득보장, 보건의료서비스보장, 부양대책, 일자리 프로그램, 주거보장, 여가생활,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지역사회보호 등에 대한 방안이 제시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tent to which social nursing system and welfare level in Jeju`s elderly people over 85-year old have exposed. It is also focused on seeking out some significant and optimal policies to improve the existing social nursing...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tent to which social nursing system and welfare level in Jeju`s elderly people over 85-year old have exposed. It is also focused on seeking out some significant and optimal policies to improve the existing social nursing system and welfare practices for Jeju`s old-oldest people. Both literature review and social survey were used as a research method, especially relying on in-depth interview survey based on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Given to the elderly in Jeju, the primary factors such as residence environment, economic life, health service status, family nursing problem, leisure and social participation, and social service policy, and so on for themselves were analyzed based on in-depth interview data collecting from 359 old-oldest ones. This study implies future welfare policies(i.e., income, health care service, nursing, residence, leisure, community care program, etc.) for Jeju`s elderly people, thus to be initiated by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With advent of aging society, this study would be expected to be a sort of cornerstone to make Jeju people prepare for those welfare policies.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상철, "현대재가복지론" 현학사 2002
2 박삼옥, "한국의 장수인과 장수지역"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3 전경수, "한국 백세인의 문화적 특성: 제주도를 중심으로. in: 한국인의 백세인" 서울대학교출판부 109-136, 2002
4 김익기, "한국 노인의 삶" 미래인력연구센터 1999
5 고승한, "제주지역의 노후생활 실태와 정책과제" 제주특별자치도여성능력개발본부 2006
6 고승한, "제주지역의 노인복지욕구수요조사" 제주발전연구원 2005a
7 고양숙, "제주지역 장수노인의 식생활 특성" 제주학회 23 : 95-130, 2003
8 배종면, "제주지역 장수노인 및 장수노인 건강수준 조사" 제주발전연구원 2004
9 김진영, "제주지역 노인의 여가활동 조사연구 : 여가활동 유형 및 만족도를 중심으로" 탐라문화연구소 (35) : 291-324, 2009
10 제주도, "제주장수지역 이미지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2002
1 서상철, "현대재가복지론" 현학사 2002
2 박삼옥, "한국의 장수인과 장수지역"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3 전경수, "한국 백세인의 문화적 특성: 제주도를 중심으로. in: 한국인의 백세인" 서울대학교출판부 109-136, 2002
4 김익기, "한국 노인의 삶" 미래인력연구센터 1999
5 고승한, "제주지역의 노후생활 실태와 정책과제" 제주특별자치도여성능력개발본부 2006
6 고승한, "제주지역의 노인복지욕구수요조사" 제주발전연구원 2005a
7 고양숙, "제주지역 장수노인의 식생활 특성" 제주학회 23 : 95-130, 2003
8 배종면, "제주지역 장수노인 및 장수노인 건강수준 조사" 제주발전연구원 2004
9 김진영, "제주지역 노인의 여가활동 조사연구 : 여가활동 유형 및 만족도를 중심으로" 탐라문화연구소 (35) : 291-324, 2009
10 제주도, "제주장수지역 이미지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2002
11 고승한, "제주장수마을의 향후 발전방향과 과제" 제주발전연구원 2005b
12 고승한, "제주장수마을 선정 및 장수이미지 제고를 위한 상품개발 기초조사" 제주도·제주발전연구원 2006a
13 고승한, "제주장수마을 및 장수노인 생활풍속도 조사" 제주도·제주발전연구원 2006b
14 고승한, "제주장수노인의 사회적 부양체계와 복지대책 방안" 제주발전연구원 2008
15 김진영, "제주사회와 복지" 제주대학교출판부 2006
16 전경수, "제주도 장수자의 노동경험과 노동윤리" 제주학회 23 : 131-153, 2003
17 김혜숙, "제주도 장수자의 가족생활에 관한 연구" 제주학회 23 : 67-94, 2003
18 김진영, "제주 장수노인의 인구현황과 일상생활 수행능력" 제주학회 23 : 1-26, 2003
19 통계청 KOSIS, "전국주민등록인구통계"
20 정광중, "장수마을의 지리적 환경과 제조건에 관한 시론적 연구" 제주학회 23 : 37-66, 2003
21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22 고승한, "세계장수지역과의 문화교류 활성화 방안 연구" 제주발전연구원 2007
23 최선화,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양서원 2000
24 전경수, "민속으로서 제주장수와 성장동력으로서의 장수산업: 실천인류학의 사례" 97-110, 2008
25 제주특별자치도, "노인장애인복지과 내부자료"
26 고승한, "고령화시대의 노인복지대책" 제주발전연구원 2004
27 한경혜, "고령화사회와 가족. in: 고령사회의 밝은 미래" (사)한국노인과학학술단체연합회 59-66, 2007
28 제주특별자치도, "2007 주민등록인구통계"
29 통계청, "2005 인구주택총조사 100세이상 고령자 조사"
대만(臺灣) 포농족(布農族),제주도(濟州島),궁고도(宮古島)의 서사시(敍事詩)와 신화(神話) 비교(比較)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2019-05-1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AMLA CULTURAL INSTITUTE -> Research Institute for the Tamla Culture | |
2017-06-14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탐라문화연구소 -> 탐라문화연구원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2 | 0.52 | 0.5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4 | 0.62 | 0.913 | 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