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사물에 나타난 키치의 현상학적-실존론적 해석에 관한 연구 : - 마르틴 하이데거를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869490

      • 저자
      • 발행사항

        용인 :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5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경희대학교 대학원 , 조형디자인학과 , 2015. 8

      • 발행연도

        2015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740 판사항(20)

      • 발행국(도시)

        경기도

      • 형태사항

        ix, 124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장광집
        참고문헌 : p. 118-120

      • 소장기관
        •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는 우리 삶에서 말로 명확하게 표현하고 그것의 개념을 이야기할 수 있는 것과 말이나 그림으로 명확하게 설명할 수 없는 것들을 만난다. 말로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것들은 우리가 눈으로 명확하게 볼 수 있는 것이며, 표상할 수 있는 사물, 형이상학적 개념, 학문 등이 여기에 속한다. 하지만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것은 명확하게 실체를 파악하기가 어려우며, 논증할 수 없는 것들, 예를 들어 인간의 마음 및 감정과 관련된 것들이 여기에 속한다.
      전자에 해당하는 명증적인 것들은 우리 삶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후자에 해당하는 말로 표현하기 어려워 개념을 쉽게 잡을 수 없는 요소들 또한 우리 인간의 삶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더불어, 후자에 해당하는 비명증적인 것들은 디자인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우리가 설명하기 어려운 것일지라도 그것을 마음으로 느끼면서 우리의 삶을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것들 중에서 사회문화적 현상인 키치라는 것이 있다. 이러한 키치 현상도 그것의 본질을 밝히기 위한 많은 노력과 수고가 수십 년간 지속되었으나 그 본질은커녕 인간과의 기본적인 관계조차 해명되지 않은 채 많은 의견들만 난무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이유는 지금까지 키치 연구에 동원된 연구방법들이 모두 눈에 보이는 것을 표상하는 형이상학적 방법론과 개념의 인과성에 의존하는 논리학적 방법론에만 의존하고 있어서 현상 속에 숨어 있는 키치의 본질을 도저히 발견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키치 같은 현상들, 즉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것들을 알아내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의 연구방법들을 활용해 볼 수 있겠으나 이들 가운데에서도 시초를 찾다보면 하이데거에 의해 연구된 현상학과 해석학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하이데거의 현상학적-실존론적 해석학을 통해 우리 사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키치 현상을 해석하여 그것의 본질과 인간의 관계성을 해명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 2장에서는 문헌을 조사함으로 키치 현상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여기서는 첫째, 키치의 정의 및 그것의 사회·문화적 의미에 대한 학문적 해명을 살피고, 그 해명에 대한 문제점과 그 문제의 원인을 조사하였다. 둘째, 조사되어진 키치의 학문적 해명에 대한 문제점과 그 원인을 분석하여 현상학적-실존론적 해석학이 키치를 해명하기 위한 적절한 방법임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3장과 4장에서는 하이데거가 집필한 문헌을 조사함으로써 존재 해석에 대한 결과인 존재 구조를 집중적으로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1) 존재 구조를 밝히는 해석학적 방법론을 탐구하고, 2) 해석학으로 해명된 존재 구조의 의미를 현존재, 사유, 사물, 기술에 대한 해석에만 적용하는 식으로 조사 범위를 국한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5장은 본 연구의 결과에 해당하는 것으로 하이데거의 현상학적-실존론적 해석학을 통해 현존재와 사물의 존재 구조를 밝히고 그것의 연관성을 추적하여 키치의 존재구조를 밝혔다. 여기에서 키치의 의미는 ‘염려 없는-봄을 원함’, ‘염려 없는-봄’ 그리고 ‘무시간성’으로 해석되었다. 이러한 키치의 해석은 키치가 인간의 실존인 염려를 외로움 또는 권태로 회피하게 하여 본래적 실존양식으로 살아가는 것을 방해한다는 부정적 의미를 갖는다. 또한 실제 현상이 존재론적 구조로 밝혀지는 과정을 제시하기 위해 ‘끙개’와 ‘키치 사물로서의 만년필’을 현상학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6장은 결론으로 본 연구의 디자인적 의의와 한계 및 차후 연구를 위한 연구의 조건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인 하이데거의 실존론적 해석의 방법과 키치의 해석이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논의하였다.

      첫째, 인간과 세상의 관계를 주객의 관계로 보지 않는 하이데거의 이론은 객체로 디자인 대상을 다루던 기존 디자인의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는 대안을 제공하는 이론적 기반이 될 수 있다.
      둘째, 실존에 중심을 둔 하이데거의 이론은 디자인의 가장 근본적 목적인 사물의 사용성에 대한 연구를 체계화하는 데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와 사물의 관계를 연구함으로써 최근 환경디자인에 있어서 문제시되고 있는 주민참여를 통한 환경디자인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구체적 방법에 근접할 수 있다.
      셋째로 인간의 실존방식을 분석함으로써 최근 확장된 디자인 영역인 서비스디자인과 범죄예방디자인과 같은 주민 또는 사용자의 참여가 필요한 사업에서 디자이너들이 그들에게 보다 효율적으로 접근하고 협조를 얻어 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이론적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넷째로 본 연구에서 수행한 버네큘러(vernacular) 사물을 현상학적-실존론적 해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들이 현대의 디자인에 적절하게 적용된다면 현대 디자인을 뛰어넘을 수 있는, 보다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해낼 수 있다.
      다섯째로 본 연구에서는 키치 현상을 인간의 실존을 방해하는 부정적인 의미로 해석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았을 때 키치 사물을 생산해내는 디자이너들은 실존적인 생활을 위한 사물을 생산하기 위하여 보다 윤리적인 통찰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는 키치의 명확한 규정이 있어야만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현상학적-실존론적 해석학은 실증적 목적의 학문이 아니기 때문에 객관성을 담보하려면 많은 학자들의 이론과 비교되고 분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하이데거의 이론만 해도 상당히 방대하고 난해하다. 본 연구의 이와 같은 물리적 한계로 인해 하이데거의 이론으로만 키치 현상을 해석하였다. 현상의 본질을 보다 본질적으로 밝힐 수 있는 차후의 연구를 위해서는 다양한 해석학자와 현상학자의 이론을 바탕으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고 현상학적-실존론의 효과적인 실제적 적용을 위해서 많은 이론가와 디자이너들의 관심과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우리는 우리 삶에서 말로 명확하게 표현하고 그것의 개념을 이야기할 수 있는 것과 말이나 그림으로 명확하게 설명할 수 없는 것들을 만난다. 말로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것들은 우리가 ...

      우리는 우리 삶에서 말로 명확하게 표현하고 그것의 개념을 이야기할 수 있는 것과 말이나 그림으로 명확하게 설명할 수 없는 것들을 만난다. 말로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것들은 우리가 눈으로 명확하게 볼 수 있는 것이며, 표상할 수 있는 사물, 형이상학적 개념, 학문 등이 여기에 속한다. 하지만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것은 명확하게 실체를 파악하기가 어려우며, 논증할 수 없는 것들, 예를 들어 인간의 마음 및 감정과 관련된 것들이 여기에 속한다.
      전자에 해당하는 명증적인 것들은 우리 삶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후자에 해당하는 말로 표현하기 어려워 개념을 쉽게 잡을 수 없는 요소들 또한 우리 인간의 삶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더불어, 후자에 해당하는 비명증적인 것들은 디자인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우리가 설명하기 어려운 것일지라도 그것을 마음으로 느끼면서 우리의 삶을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것들 중에서 사회문화적 현상인 키치라는 것이 있다. 이러한 키치 현상도 그것의 본질을 밝히기 위한 많은 노력과 수고가 수십 년간 지속되었으나 그 본질은커녕 인간과의 기본적인 관계조차 해명되지 않은 채 많은 의견들만 난무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이유는 지금까지 키치 연구에 동원된 연구방법들이 모두 눈에 보이는 것을 표상하는 형이상학적 방법론과 개념의 인과성에 의존하는 논리학적 방법론에만 의존하고 있어서 현상 속에 숨어 있는 키치의 본질을 도저히 발견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키치 같은 현상들, 즉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것들을 알아내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의 연구방법들을 활용해 볼 수 있겠으나 이들 가운데에서도 시초를 찾다보면 하이데거에 의해 연구된 현상학과 해석학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하이데거의 현상학적-실존론적 해석학을 통해 우리 사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키치 현상을 해석하여 그것의 본질과 인간의 관계성을 해명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 2장에서는 문헌을 조사함으로 키치 현상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여기서는 첫째, 키치의 정의 및 그것의 사회·문화적 의미에 대한 학문적 해명을 살피고, 그 해명에 대한 문제점과 그 문제의 원인을 조사하였다. 둘째, 조사되어진 키치의 학문적 해명에 대한 문제점과 그 원인을 분석하여 현상학적-실존론적 해석학이 키치를 해명하기 위한 적절한 방법임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3장과 4장에서는 하이데거가 집필한 문헌을 조사함으로써 존재 해석에 대한 결과인 존재 구조를 집중적으로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1) 존재 구조를 밝히는 해석학적 방법론을 탐구하고, 2) 해석학으로 해명된 존재 구조의 의미를 현존재, 사유, 사물, 기술에 대한 해석에만 적용하는 식으로 조사 범위를 국한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5장은 본 연구의 결과에 해당하는 것으로 하이데거의 현상학적-실존론적 해석학을 통해 현존재와 사물의 존재 구조를 밝히고 그것의 연관성을 추적하여 키치의 존재구조를 밝혔다. 여기에서 키치의 의미는 ‘염려 없는-봄을 원함’, ‘염려 없는-봄’ 그리고 ‘무시간성’으로 해석되었다. 이러한 키치의 해석은 키치가 인간의 실존인 염려를 외로움 또는 권태로 회피하게 하여 본래적 실존양식으로 살아가는 것을 방해한다는 부정적 의미를 갖는다. 또한 실제 현상이 존재론적 구조로 밝혀지는 과정을 제시하기 위해 ‘끙개’와 ‘키치 사물로서의 만년필’을 현상학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6장은 결론으로 본 연구의 디자인적 의의와 한계 및 차후 연구를 위한 연구의 조건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인 하이데거의 실존론적 해석의 방법과 키치의 해석이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논의하였다.

      첫째, 인간과 세상의 관계를 주객의 관계로 보지 않는 하이데거의 이론은 객체로 디자인 대상을 다루던 기존 디자인의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는 대안을 제공하는 이론적 기반이 될 수 있다.
      둘째, 실존에 중심을 둔 하이데거의 이론은 디자인의 가장 근본적 목적인 사물의 사용성에 대한 연구를 체계화하는 데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와 사물의 관계를 연구함으로써 최근 환경디자인에 있어서 문제시되고 있는 주민참여를 통한 환경디자인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구체적 방법에 근접할 수 있다.
      셋째로 인간의 실존방식을 분석함으로써 최근 확장된 디자인 영역인 서비스디자인과 범죄예방디자인과 같은 주민 또는 사용자의 참여가 필요한 사업에서 디자이너들이 그들에게 보다 효율적으로 접근하고 협조를 얻어 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이론적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넷째로 본 연구에서 수행한 버네큘러(vernacular) 사물을 현상학적-실존론적 해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들이 현대의 디자인에 적절하게 적용된다면 현대 디자인을 뛰어넘을 수 있는, 보다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해낼 수 있다.
      다섯째로 본 연구에서는 키치 현상을 인간의 실존을 방해하는 부정적인 의미로 해석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았을 때 키치 사물을 생산해내는 디자이너들은 실존적인 생활을 위한 사물을 생산하기 위하여 보다 윤리적인 통찰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는 키치의 명확한 규정이 있어야만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현상학적-실존론적 해석학은 실증적 목적의 학문이 아니기 때문에 객관성을 담보하려면 많은 학자들의 이론과 비교되고 분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하이데거의 이론만 해도 상당히 방대하고 난해하다. 본 연구의 이와 같은 물리적 한계로 인해 하이데거의 이론으로만 키치 현상을 해석하였다. 현상의 본질을 보다 본질적으로 밝힐 수 있는 차후의 연구를 위해서는 다양한 해석학자와 현상학자의 이론을 바탕으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고 현상학적-실존론의 효과적인 실제적 적용을 위해서 많은 이론가와 디자이너들의 관심과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 범위 및 방법 3
      • II. 키치의 현상 4
      • 2.1. 키치 현상 연구의 배경 및 목적 4
      • Ⅰ. 서 론 1
      •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 범위 및 방법 3
      • II. 키치의 현상 4
      • 2.1. 키치 현상 연구의 배경 및 목적 4
      • 2.2. 키치의 어원 및 정의 4
      • 2.2.1. 키치의 어원 4
      • 2.2.2. 키치의 정의 5
      • 2.3. 키치의 발생 6
      • 2.4. 키치의 특성 11
      • 2.4.1. 키치적 대상의 특성 11
      • 2.4.2. 키치적 태도의 특성 19
      • 2.5. 소결 20
      • 2.6. 기존 키치 연구의 비판 및 새로운 연구방법을 위한 대안적 논의 21
      • III. 하이데거의 현존재 해석 24
      • 3.1. 현존재 해석에 대한 연구 목적 및 방법 24
      • 3.2. 존재의 의미에 대한 물음 24
      • 3.2.1. 존재에 대한 물음 24
      • 3.2.2. 존재에 대한 물음의 형식적 구조 26
      • 3.2.3. 존재 일반을 해석하기 위한 현존재의 존재론 27
      • 3.2.4. 탐구방식으로서의 현상학 28
      • 3.3. 현존재의 존재구성틀: 세계-내-존재 30
      • 3.3.1. 존재의 기초 30
      • 3.3.2. 현존재 31
      • 3.3.3. 현존재의 근본 구성틀: 세계-내-존재 일반 32
      • 3.4. 세계의 세계성 34
      • 3.4.1. 세계 일반의 세계성이라는 개념 34
      • 가) 주위세계성 및 세계성 자체의 분석 36
      • 3.4.2. 주위세계에서 만나게 되는 존재자의 존재 36
      • 3.4.3. 주위세계의 세계적합성 39
      • 3.4.4. 사용사태와 유의미성, 세계의 세계성 40
      • 나) 주위세계의 주위차원과 현존재의 공간성 43
      • 3.4.5. 세계내부적인 손안의 것의 공간성 43
      • 3.4.6. 세계-내-존재의 공간성 45
      • 3.4.7. 현존재의 공간성과 공간 45
      • 3.5. 더불어 있음과 자기 자신으로 있음으로서의 세계-내-존재. 그들 46
      • 3.5.1. 현존재는 누구인가라는 실존론적인 물음의 단초 46
      • 3.5.2. 타인들의 공동현존재와 일상적인 더불어 있음 47
      • 3.5.3. 일상적인 자기 자신으로서 있음과 그들 47
      • 3.6. 안에-있음 그 자체 48
      • 3.6.1. 안에-있음에 대한 주제적 분석이 가지는 과제 48
      • 가) 거기에의 실존적 구성 49
      • 3.6.2. 처해 있음 49
      • 3.6.3. 이해 50
      • 3.6.4. 이해와 해석 51
      • 3.6.5. 해석의 파생양태인 발언 52
      • 3.6.6. 거기에-있음과 말. 언어 54
      • 나) 거기에의 일상적 존재와 현존재의 빠져 있음 54
      • 3.6.7. 잡담 55
      • 3.6.8. 호기심 56
      • 3.6.9. 애매함 57
      • 3.6.10. 빠져있음과 내던져져 있음 57
      • 3.7. 현존재의 구조전체에 대한 해석: 염려 59
      • 3.7.1. 현존재의 구조 전체의 근원적인 전체성에 대한 물음 59
      • 3.7.2. 현존재의 불안이라는 근본적 처해 있음 60
      • 3.7.3. 현존재의 존재는 염려 62
      • 3.8. 요약 및 현상학적-실존론적 해석의 특징 63
      • 3.8.1. 현존재 존재 해석의 요약 63
      • 3.8.2. 현상학적-실존론적 해석의 특징 65
      • IV. 하이데거의 존재 일반의 현상학적 해석 68
      • 4.1. 존재 일반의 현상학적 해석의 목적 68
      • 4.2. 사유에 대한 현상학적-존재론적 분석 68
      • 4.2.1. 사유의 원인 68
      • 4.2.2. 사유의 배움 69
      • 4.2.3. 사유의 본질: 사려 70
      • 4.3. 사물에 대한 현상학적-존재론적 분석 72
      • 4.3.1. 단지의 해석: 텅빔 72
      • 4.3.2. 단지의 제작 73
      • 4.3.3. 사물의 사용: 선사 75
      • 4.3.4. 사물의 본질: 불러 모음 77
      • 4.4. 기술에 대한 현상학적-존재론적 분석 79
      • 4.4.1. 기술의 도구적 본질 79
      • 4.4.2. 도구의 원인 80
      • 4.4.3. 도구의 존재양식 83
      • 4.4.4. 탈은폐로서의 기술 85
      • 4.4.5. 닦아 세움의 세 가지 방식 86
      • 4.4.6. 현대기술의 본질 90
      • 4.4.7. 존재의 역운으로서의 현대기술 93
      • 4.5. 요약 및 소결 95
      • V. 키치의 현상학적-존재론적 해석 98
      • 5.1. 키치 현상의 해석의 목적 및 방법 98
      • 5.2. 현존재의 존재양식 98
      • 5.2.1. 현존재의 본래적 존재 양식 98
      • 5.2.2. 본래적 존재에서 빠져있음으로서의 현존재 99
      • 5.2.3. 그들-자신으로서 존재함 100
      • 5.3. 사물과 키치 102
      • 5.3.1. 사물과 사물성 102
      • 5.3.2. 키치 사물의 제작 105
      • 5.3.3. 키치적 사물의 사용 108
      • 5.4. 키치 현상의 해석 108
      • 5.4.1. 전체적인 키치 현상의 현상학적-실존론적 해석 108
      • 5.4.2. 키치 사물의 실제적 해석 110
      • 5.5. 소결 112
      • VI. 결론 114
      • 6.1. 요약 114
      • 6.2. 연구의 의의 및 한계 114
      • 참고 문헌 118
      • Abstract 121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현택수, "문화와 권력", 나남출판, 1996

      2 염재철, "존재와 예술",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4

      3 이남인, "현상학과 해석학",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4

      4 Martin Heidegger, "신상희 옮김, 숲길", 나남, 2008

      5 박일호, "진지한 예술과 키치", 미학, Vol.52, 2007

      6 이승종, "크로스오버 하이데거", 생각의 나무, 2010

      7 구연상, 이기상, "존재와 시간 용어해설", 까치, 1998

      8 T. W. Adorno, "홍승용 옮김, 미학 이론", 문학과지성사, 1984

      9 Martin Heidegger, "이기상 옮김, 존재와 시간", 까치 글방, 1997

      10 김수진, "키치, 유치해도 네가 좋아!", 방통대학보, 2010

      1 현택수, "문화와 권력", 나남출판, 1996

      2 염재철, "존재와 예술",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4

      3 이남인, "현상학과 해석학",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4

      4 Martin Heidegger, "신상희 옮김, 숲길", 나남, 2008

      5 박일호, "진지한 예술과 키치", 미학, Vol.52, 2007

      6 이승종, "크로스오버 하이데거", 생각의 나무, 2010

      7 구연상, 이기상, "존재와 시간 용어해설", 까치, 1998

      8 T. W. Adorno, "홍승용 옮김, 미학 이론", 문학과지성사, 1984

      9 Martin Heidegger, "이기상 옮김, 존재와 시간", 까치 글방, 1997

      10 김수진, "키치, 유치해도 네가 좋아!", 방통대학보, 2010

      11 Penny Sparke, "김난령 옮김, 디자인의 역사", 예경, 2004

      12 Penny Sparke, "이희명 옮김, 디자인의 탄생", 안그래픽스, 2013

      13 Abraham Moles, "엄광현 옮김, 키치란 무엇인가?", 시각과 언어, 1995

      14 소광희, "하이데거 “존재와 시간” 강의", 문예출판사, 2003

      15 김희영, "에술과 문화의 영역에 대한 재고", 미술이론과 현장 제5호, null

      16 김동훈, "키치 개념에 대한 존재론적 고찰", 새한철학회, 새한철학회 논문집, 제65집 , 제3권, 2011

      17 柳美子, "Kitsch의 생성과 그 기능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디자인 연구소, 미술디자인논문집, no.4, 1999

      18 Gabriele Thuller, "황종민 옮김, 어떻게 이해할까? 키치", 미술문화, 2007

      19 진중권, "호모 코레아니쿠스, 웅진 지식하우스", 서울, 2007

      20 Walter Benjamin, "최성만 옮김,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도서출판 길, 2007

      21 라영균, "키치와 예술 , 세계문학비교연구 제37집", 년 겨울, 2011

      22 Martin Heidegger, "이기상 신상희 박찬국 옮김, 강연과 논문", 이학사, 2008

      23 조중걸, "키치, 우리들의 행복한 세계, 프로네시스", 서울, 2007

      24 Lakshmi Bhaskaran, "정무환 옮김, 한권으로 읽는 20세기 디자인", 시공아 트, 2006

      25 W. Blattner, "한상현 옮김,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 입문", 서광사, 2012

      26 Adrian Forty, "허보윤 옮김, 욕망의 사물, 디자인의 사회사", 일빛, 2004

      27 임병희, "안락함과 미에 대한 욕구 충족으로서의 키치",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독어교육 제55집, 2012

      28 이기상, "현대 기술의 본질: 도발과 닦달 , 강연과 논문", 이학사, 2008

      29 정진우, "하이데거 실존주의 이론의 디자인 적용에 대한 연구", 한국정책학 연구, Vol.9, No.1, 2014

      30 김소연, "미적, 미 외적 현상으로서의 키치, 그 가치평가를 위한 소론", 한국미학예술학회, 미학 예술학 연구, Vol.3-4, 1994

      31 박기웅, 조정연, "현대소비사회에서의 취향과 유행의 상관성과 대중문화의 역 할",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2,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