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리더십과 공동체성이 숲 휴양 · 치유 사업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 강원도 산촌 사례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613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숲 휴양 · 치유 사업 도입에 대해 산촌의 주민들이 어떻게 받아들이며, 이러한 수용성과 마을의 리더십 및 공동체성이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숲 휴�...

      이 연구는 숲 휴양 · 치유 사업 도입에 대해 산촌의 주민들이 어떻게 받아들이며, 이러한 수용성과 마을의 리더십 및 공동체성이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숲 휴양 · 치유 자원으로서 그 가치가 높은 지역으로 강원도 고성군 장신2리와 양양군 어성전2리, 어성전1리를 연구 대상지로 설정하고, 마을의 리더십과 공동체성, 사업 수용성을 조사하기 위해 마을 지도자 면접조사와 주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장신2리는 어성전1리나 어성전2리와 비교하여 마을발전 인식, 이웃 관계, 공동 활동 경험 등 공동체성과 리더십이 더 높게 나타났다.이러한 마을 간 차이는 이장의 역할, 사업 경험, 원주민과 귀농 · 귀촌인 구성 등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을 거주기간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었는데, 10년 이하 단기거주자는 10년 초과 장기거주자에 비해 리더십을 낮게 평가하고, 이웃 관계와 공동 활동의 사회자본이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회귀분석 결과 숲 휴양 · 치유 사업 수용성과 상관관계가 가장 높은 요인은 공동 활동 경험이었고, 마을 발전에 대한 인식이 다음으로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다른 두 요인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었는데, 현재의 리더십과 이웃관계는 낮게 평가하지만 사업 수용성은 높은 경우가 있기 때문으로 추론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다수의 주민들은 리더십을 전반적으로 성공적인 사업을 위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how receptive mountain villagers are to forest recreation and therapy projects and focused on leadership and communality as factors impacting on their receptiveness. Three potential forest recreation and therapy project sites, Jang...

      This study analyzed how receptive mountain villagers are to forest recreation and therapy projects and focused on leadership and communality as factors impacting on their receptiveness. Three potential forest recreation and therapy project sites, Jangsin 2-ri (Goseong-gun), Eoseongjeon 1-ri and Eoseongjeon 2-ri (Yangyang-gun) were selected as research sites where interviews and surveys were conducted of the village leaders and villagers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ed Jangsin 2-ri was higher than Eoseongjeon 1-ri and Eoseongjeon 2-ri in leadership and communality such as village development, relationship with neighbors and community activity. The difference in leadership and communality between the villages were largely due to the different village leaders’ roles, experiences with village development projects, and population structures (residence period). Compared with long-term residents over 10 years, short-term residents under 10 years underestimated leadership and their relationship with neighbors and community activity were weak.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highest factor in the correlation with the receptiveness of forest recreation & therapy project was community activity and the recognition of village development was the next most important factor. Two other factors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cause there were cases that current leadership, relationship with neighbors were underestimated but the receptiveness of the project was high. However, as a whole,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a successful project was recognized as leadership.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 Ⅱ. 이론적 고찰
      • Ⅲ. 연구 범위와 방법
      • Ⅳ. 연구 결과
      • Ⅴ. 결론
      • I. 서론
      • Ⅱ. 이론적 고찰
      • Ⅲ. 연구 범위와 방법
      • Ⅳ. 연구 결과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순진, "환경갈등의 예방·완화·해소를 위한 환경영향평가제도 개선방안: 시민참여적 사회영향평가의 제도화를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15 (15): 283-312, 2004

      2 박창규, "지역주민의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에 대한 인식이 농촌관광개발 인식과 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제지리학회 14 (14): 419-436, 2011

      3 유수진, "지역주민 태도에 의한 수변공간 개발 형태 분석- 여주시를 중심으로 -" 한국조경학회 41 (41): 171-184, 2013

      4 류시영, "지역사회개발에 대한 주민인식과 지지도 -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을 중심으로 -" 한국관광산업학회 (37) : 249-266, 2012

      5 채종헌,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통한 사회통합 증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2014

      6 전대욱, "지역공동체 주도의 발전전략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2

      7 박병춘, "지역공동체 성공요인 및 정책적 시사점 - 지역공동체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학회 20 (20): 1-26, 2013

      8 이현수, "지역공공개발사업 주민참여 영향요인 분석- 전북혁신도시건설 사업을 중심으로 -" 한국자치행정학회 29 (29): 89-110, 2015

      9 염미경, "지역개발과 주민이해의 정치:중문관광단지 인근 마을공동체의 사례" 한국사회학회 41 (41): 1-31, 2007

      10 주상현, "지속가능한 커뮤니티비즈니스 형성요인과 정책과제 - 완주군 CB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자치행정학회 28 (28): 219-249, 2014

      1 윤순진, "환경갈등의 예방·완화·해소를 위한 환경영향평가제도 개선방안: 시민참여적 사회영향평가의 제도화를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15 (15): 283-312, 2004

      2 박창규, "지역주민의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에 대한 인식이 농촌관광개발 인식과 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제지리학회 14 (14): 419-436, 2011

      3 유수진, "지역주민 태도에 의한 수변공간 개발 형태 분석- 여주시를 중심으로 -" 한국조경학회 41 (41): 171-184, 2013

      4 류시영, "지역사회개발에 대한 주민인식과 지지도 -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을 중심으로 -" 한국관광산업학회 (37) : 249-266, 2012

      5 채종헌,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통한 사회통합 증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2014

      6 전대욱, "지역공동체 주도의 발전전략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2

      7 박병춘, "지역공동체 성공요인 및 정책적 시사점 - 지역공동체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학회 20 (20): 1-26, 2013

      8 이현수, "지역공공개발사업 주민참여 영향요인 분석- 전북혁신도시건설 사업을 중심으로 -" 한국자치행정학회 29 (29): 89-110, 2015

      9 염미경, "지역개발과 주민이해의 정치:중문관광단지 인근 마을공동체의 사례" 한국사회학회 41 (41): 1-31, 2007

      10 주상현, "지속가능한 커뮤니티비즈니스 형성요인과 정책과제 - 완주군 CB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자치행정학회 28 (28): 219-249, 2014

      11 김예지, "지속가능한 산촌을 위한 관광 커뮤니티 비즈니스 사례 연구"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1 (21): 25-38, 2017

      12 박기관, "지방정부 농촌지역개발정책의 평가와 함의: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주민평가를 중심으로" 경인행정학회 17 (17): 101-123, 2017

      13 노병찬, "주민주도형 마을 만들기 참여 만족도에 따른 사회적 자본 차이 분석: 자발적 공동체 참여 경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20 (20): 241-259, 2016

      14 산림청, "제2차 산촌진흥기본계획" 산림청 2017

      15 산림청, "제1차 산촌진흥기본계획(안)" 산림청 2017

      16 김태현, "정부3.0 기반 지역기피시설 주민수용성 평가 방안(II)"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6

      17 김이수, "정보화마을공동체 활성화의 결정요인에 관한 설명적 연구 : 전라북도 정보화마을주민들의 인식도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19 (19): 201-227, 2015

      18 김종호, "일본의 산촌활성화 및 녹색·생태관광 정책과 사례" 국립산림과학원 2016

      19 염미경, "신재생에너지시설입지에대한지역주민들의태도 -풍력발전단지 입지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24 : 181-221, 2009

      20 모타니 고스케, "숲에서 자본주의를 껴안다 - 산촌자본주의가능한 대안인가 유토피아인가?" 동아시아 2015

      21 최현, "선흘1리 마을만들기와 공동자원의 지속가능성" 한국환경사회학회 21 (21): 41-69, 2017

      22 이재완, "서울시 마을공동체 사업의 주민참여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정책인지도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17 (17): 409-437, 2014

      23 김현진, "산촌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산림치유 적용방안" 농업생명과학연구원 50 (50): 45-57, 2016

      24 서정원, "산촌생태마을 운영·관리 체계 개발 및 제도 개선" 국립산림과학원 2015

      25 김의경, "산촌생태마을 보고서" 산림청 산림휴양치유과 2014

      26 임재해, "산촌마을 공동체의 약화 원인과 지속 요인" 23 : 5-59, 2011

      27 서정원, "산지관광 활성화를 위한 산림분야 제도적 기반 구축 방안" 국립산림과학원 2016

      28 서정원, "산림휴양치유마을 조성 방안 및 모델 개발" 국립산림과학원 2017

      29 윤주, "사회적 자본이 지역사회 관광개발 성과에 미치는 영향 -녹색농촌체험마을을 중심으로-" 한국관광학회 37 (37): 77-96, 2013

      30 윤순진, "사회적 수용성 높은 숲관리 정책 수립을 위한 대안적 접근방안 모색" 미래창조과학부 2017

      31 심원섭, "사회적 경제 관점에서 본 내생적 지역관광발전의 과제와 정책적 함의" 한국관광학회 41 (41): 101-125, 2017

      32 유리화, "사회서비스와 연계를 통한 산림치유 확대방안" 국립산림과학원 2017

      33 이재완, "마을만들기 사업의 참여경험이 평가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61) : 29-51, 2017

      34 김주원, "마을공동체역량진단과 지원체계구축방안" 강원발전연구원 2016

      35 하현상, "마을공동체 성과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중앙정부지원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51 (51): 421-459, 2017

      36 송미령, "마을개발사업의 성과와 주민참여의 관계 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 17 (17): 293-320, 2005

      37 하민철, "도시지역의 사회적 자본 수준과 정책수용성 연구" 한국자치행정학회 27 (27): 363-387, 2013

      38 김근식, "다차원적 편익지각이 원자력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한국행정연구소 55 (55): 207-245, 2017

      39 정문수, "농총 마을공동체발전과 공동자원 관리: 함양군 송전리 세동마을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공간환경학회 27 (27): 243-273, 2017

      40 이해진, "농촌지역개발사업 성과의 차이와 농촌사회 발전에 대한 함의" 한국농촌사회학회 22 (22): 7-48, 2012

      41 박대식, "농촌주민이 인식하는 귀농ㆍ귀촌이 농촌 지역사회에 미치는 사회경제적 영향"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8 (28): 653-667, 2017

      42 송인하, "농촌성에 따른 귀농인과 원주민 간갈등 내용과 갈등 해결 방식에 대한 연구" 지역사회학회 17 (17): 31-66, 2016

      43 김정태, "농촌마을 내 사회자본이 주민주도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 : 업무담당자들의 시각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5 (25): 51-64, 2014

      44 이병원, "농촌관광사업에서 마을주민들이 인식하는 갈등의 원인 및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관광학회 15 (15): 93-122, 2008

      45 김기홍, "농촌‘마을’사회자본 탐구를 위한 이론의 구성" 한국농촌사회학회 16 (16): 7-42, 2006

      46 당인숙, "농촌 마을만들기 참여주민의 공동체 의식 영향요인" 한국농촌지도학회 24 (24): 265-278, 2017

      47 나명찬, "농촌 마을공동체사업 활성화를 위한 주민 인식 및 요구 탐색 - 체험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14 (14): 55-86, 2018

      48 임경수, "농산어촌의 내생적 발전을 위한 지도자의 역할" 2 : 147-162, 2007

      49 박영민, "내생적 지역발전과 지방자치단체의 딜레마" 한국국정관리학회 24 (24): 97-118, 2014

      50 박대식, "귀농・귀촌인의 지역사회참여 실태와 관련 요인" 한국농촌사회학회 25 (25): 41-87, 2015

      51 김정섭, "귀농인의 사회⋅경제 활동과 함의" 한국농촌지도학회 21 (21): 53-89, 2014

      52 마상진, "귀농귀촌인의 정착실태 장기추적조사: 3차년도(2016)"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6

      53 김철규, "귀농귀촌인의 성공적 정착과 농촌사회 발전 방안 연구" 한국사회학회 2011

      54 마상진 Ma, Sang-Jin, "귀농·귀촌 시기별 귀농·귀촌 과정 및 경제·지역사회활동 실태 변화 분석"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7 (47): 1-21, 2015

      55 이명호, "공동체의 위기와 복원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향촌공동체와 마을공동체를 중심으로" 동양사회사상학회 19 (19): 87-115, 2016

      56 최현, "공동자원의 지속가능성과 마을만들기 전략 : 제주 가시리의 사례" 한국공간환경학회 26 (26): 267-295, 2016

      57 이영길, "강원도 농촌지역 정부지원 공동시설 활성화 방안" 강원연구원 2014

      58 민경택, "‘산촌 사회경제 조사’를 위한 기초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3

      59 Fukuyama, F., "Trust: The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sperity" Free Press 1995

      60 Vanclay, F., "Social Impact Assessment:Guidance for Assessing and Managing the Social Impacts of Projects" International Association or Impact Assessment 2015

      61 Patten, E., "Scoping Review of the Exclusion and Inclusion of Rural Newcomers in Community Participation" 23 : 127-135, 2015

      62 Van Assche, K., "Rural Development: Knowledge & Expertise in Governance" Wageningen Academic Publishers 2015

      63 Rogers, J. C., "Public Perceptions of Opportunities for Community-based Renewable Energy Projects" 36 (36): 4217-4226, 2008

      64 Kraska-Miller, M., "Nonparametric Statistics for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CRC Press 2014

      65 Mattessich, P. W., "Community Building: What Makes It Work: A Review of Factors Influencing Successful Community Building" Wilder Publishing Center 1997

      66 Thomson, A. M., "Collaboration Processes: Inside the Black Box" 66 (66): 22-32, 2006

      67 Putnam, R. D., "Bowling Alone: The Collapse and Revival of American Community" Simon & Schuster Paperbacks 2000

      68 나란희, "AHP법을 이용한 농촌전통테마마을사업의 성과" 농업생명과학연구원 44 (44): 57-68,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8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92 1.172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