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근로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건강이상과의 관련성 = The 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Health Problem According to Working Condi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387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growing body of literature has documented that job stress increases the risk of adverse health outcom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magnitude of job stress according to working condition, and to examine its impact on employees' health ou...

      A growing body of literature has documented that job stress increases the risk of adverse health outcom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magnitude of job stress according to working condition, and to examine its impact on employees' health outcomes. Data were from the ‘2006 Korean Working Condition Survey’. A total of 6,793 waged employees who aged 20 years and over, and were working at least for one year. Job stress consists of seven domains, hazardous working environment(11 items), physical overload(5 items),work demand(5 items), lack of job control(5 items), job insecurity(1 item),insufficient reward(4 items) and emotional labor( 1 item). Seven domains of job stres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 using the tertile(low risk group,moderate group, and high risk group). Ill health (adverse health outcome) was categorized into physical, psychological, and occupational injury during the past one year.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job stress and ill health. All statistics were analyzed using the PASW (ver 18.0), a p<0.05 was considered significant.
      As a result, 22.7-35.1% of total sample were the high risk group of job stress according to the working condition. The proportion of the high risk group was higher in female than in male. I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job stress was associated with physical and psychological ill health, and occupational injuries after adjustment for the demographcs, job characteristics, and health-related behaviors. In male employees, job stress is more likely to increase the risk of general ill health (OR: 1.51~2.54), physical ill health(OR: 1.56~2.57),psychological ill health(OR: 1.87~2.33), and occupational injuries(OR: 1.78~3.30).
      In female, job stress is more likely to increase the risk of general ill health(OR:1.56~2.79), physical ill health(OR: 1.40~3.14), psychological ill health(OR:1.47~2.79), and occupational injuries(OR: 2.46~6.39).
      This result suggests that job stress plays a pivotal role in developing ill health and occupational injuriy.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make an endeavor to reduce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burden of employe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번 연구는 근로환경에 따라 직무스트레스를 세분화하여 근로자의 어떠한 건강이상과 관련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2006년 취업자 근로환경’ 조사자료를 활용하여 취업기간...

      이번 연구는 근로환경에 따라 직무스트레스를 세분화하여 근로자의 어떠한 건강이상과 관련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2006년 취업자 근로환경’ 조사자료를 활용하여 취업기간이 1년 이상인 전국의 만 20세 이상 임금 근로자 6,97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직무스트레스는 위해작업환경, 신체적 부담, 직무요구도, 직무자율성결여, 직업불안정, 보상부적절, 감정노동 등 7개 영역에 대하 조사하였고, 각 직무 스트레스 영역은 3분위수에 의거 저, 중, 고 3집단으로 분류하였으며,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건강이상 간의 교차비를 구하였다.
      분석 결과, 근로환경에 따른 고위험 직무스트레스 노출 근로자는 위해작업환경 35.1%, 신체적 부담34.4%, 직무요구도 35.1%, 직무자율성결여 37.8%, 직업불안정 37.8%, 보상부적절 25.2%, 감정노동22.7%였다. 근로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직업특성, 건강행태를 보정한 후 근로환경별 고위험 직무스트레스와 건강이상과의 교차비를 분석한 결과, 남성 근로자의 전반적인 건강은 1.51배~2.54배, 육체적 건강1.56배~2.57배, 정신적 건강 1.87배~2.33배, 손상 1.78배~3.30배 높았으며, 여성근로자의 전반적인 건강은 1.56베~2.79배 육체적 건강 1.40배~3.14배, 정신적 건강 1.47배~2.79배, 손상 2.46배~6.39배 높았다.
      근로자가 어떠한 근로환경에 노출되어 있느냐에 따라 직무스트레스 수준 및 건강이상에 영향을 미치게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업무 중 주로 노출되는 근로환경에 따른 근로자의 신체적, 정신적 긴장감 완화와 심리적 부담감을 줄이기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영미, "한국과 일본 근로자의 프리젠티즘과 스트레스, 건강문제, 결근율, 생산성의 관계" 한국산업위생학회 19 (19): 202-212, 2009

      2 최은숙, "한국 근로자의 업무관련성 스트레스와 위험요인" 한국간호과학회 39 (39): 549-561, 2009

      3 조흠학,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개별근로관계 보호에 관한 고찰 - 화물, 덤프, 간병인, 대리운전, 퀵서비스배달원을 중심으로 -" 한국비교노동법학회 14 : 200-261, 2008

      4 박정선, "취업자 근로환경조사 2006"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07

      5 장세진, "직무스트레스 고위험군 특성에따른 매뉴얼 및 지원프로그램 개발 연구"

      6 정달영, "중소 사업장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업무상 손상에 미치는 영향" 대한직업환경의학회 22 (22): 37-47, 2010

      7 오영아, "제조업 근로자의 작업환경인지도와 스트레스와의 관련성 연구" 대한직업환경의학회 14 (14): 301-314, 2002

      8 홍경자, "전문직 여성의 직무 스트레스, 직업 만족도, 건강: 간호사와 교사 그룹을 중심으로" 한국간호과학회 32 (32): 570-579, 2002

      9 정종도, "장기간의 전신진동, 부적절한 작업자세와 관련된 경추부 추간판탈출증" 대한직업환경의학회 21 (21): 396-405, 2009

      10 장세진, "우리나라 직장인 스트레스의 역학적 특성" 대한예방의학회 38 (38): 25-37, 2005

      1 이영미, "한국과 일본 근로자의 프리젠티즘과 스트레스, 건강문제, 결근율, 생산성의 관계" 한국산업위생학회 19 (19): 202-212, 2009

      2 최은숙, "한국 근로자의 업무관련성 스트레스와 위험요인" 한국간호과학회 39 (39): 549-561, 2009

      3 조흠학,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개별근로관계 보호에 관한 고찰 - 화물, 덤프, 간병인, 대리운전, 퀵서비스배달원을 중심으로 -" 한국비교노동법학회 14 : 200-261, 2008

      4 박정선, "취업자 근로환경조사 2006"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07

      5 장세진, "직무스트레스 고위험군 특성에따른 매뉴얼 및 지원프로그램 개발 연구"

      6 정달영, "중소 사업장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업무상 손상에 미치는 영향" 대한직업환경의학회 22 (22): 37-47, 2010

      7 오영아, "제조업 근로자의 작업환경인지도와 스트레스와의 관련성 연구" 대한직업환경의학회 14 (14): 301-314, 2002

      8 홍경자, "전문직 여성의 직무 스트레스, 직업 만족도, 건강: 간호사와 교사 그룹을 중심으로" 한국간호과학회 32 (32): 570-579, 2002

      9 정종도, "장기간의 전신진동, 부적절한 작업자세와 관련된 경추부 추간판탈출증" 대한직업환경의학회 21 (21): 396-405, 2009

      10 장세진, "우리나라 직장인 스트레스의 역학적 특성" 대한예방의학회 38 (38): 25-37, 2005

      11 고상백, "새로운 작업조직 시스템이 직업성 긴장수준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대한예방의학회 36 (36): 9-76, 2003

      12 이미숙, "고령화연구패널자료를 이용한 노년기 건강불평등의 구조 분석" 한국보건사회학회 (25) : 5-33, 2009

      13 WHO, "http://www.who.int/occupational_health/topics/stressatwp/en/"

      14 WHO, "http://www.who.int/occupational_health/topics/brunpres0307.pdf"

      15 Antila, J., "Working Life Barometer in the Baltic Countries 2002" Ministry of Labour Finland Labour 2002

      16 Lewchuk W, "Working Conditions under Lean Production: A Worker-based Benchmarking Study" 2 : 60-81, 1996

      17 Karntz G, "Total workload, work stress and perceived symptoms in Swedish male and female white-collar employees" 15 (15): 209-214, 2005

      18 Landsbergis P.A, "The Impact of Lean Production and Related New Systems of Work Organization on Worker Health" 4 (4): 108-130, 1999

      19 WHO, "The Health Report 2001-Mental health: New understanding" WHO 2001

      20 Trevisan MO, "Short- and long-term association between uric acid and a natural disaster" 59 : 109-113, 1997

      21 Stansfeld SA, "Psychosocial work characteristics and social support as predictors of SF-36 health functioning: the Whitehall II study" 60 (60): 247-255, 1998

      22 Stavroula L., "Protecting workers' health series No. 3"

      23 Malgorzata M., "OSH in figures: stress at work-facts and figures" Eropean communities 2009

      24 Kim, HJ., "Job strain and the risk for occupational injury in small-to medium-sized manufacturing enterprises: A prospective study of 1,209 Korean Employees" 52 (52): 322-330, 2009

      25 Jackson PR, "Impact of Just-in-time on Job Content, Employee attitude and Wellbeing: A Longitudinal Study" 39 : 1-16, 1996

      26 Mearns K., "Human and Organizational Factors in Offshore Safety" 15 : 144-160, 2001

      27 Goetzel R. Z., "Health Enhancement Research Organization(HERO) Research Committee. The relationship between modifiable health risks and Health care expenditures: an analysis of the multi-employer HERO health risk and cost database" 40 (40): 843-854, 1998

      28 European Commission, "Guidance on work-relate stress: Spice of life or kiss of death?"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s of the European Communities 2000

      29 Nolen-Hoeksema, S, "Gender Differences in Depression"

      30 European Commission, "European Agency for Safety and Health at work: Research on work-related stress"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s of the European Communities 2000

      31 Dvorak J, "Epidemiology, physical examination, and neurodiagnostics" 23 (23): 2663-2673, 1998

      32 Brotheridge CM, "Emotional labor and burnout: comparing two perspectives of “People Work”" 60 : 17-39, 2002

      33 Rugulies R, "Effort-reward imbalance at work and risk of sleep disturbances. Cross-sectional and prospective results from the Danish Work Environment Cohort Study" 66 (66): 75-83, 2009

      34 Aboa-Éboulé C, "Effort-reward imbalance at work and recurrent coronary heart disease events: a 4-year prospective study of post-myocardial infarction patients" 73 (73): 436-447, 2011

      35 Shirom A, "Effects of work overload and burnout on cholesterol and triglycerides levels: the moderating effects of emotional reactivity among male and female employees" 2 (2): 275-288, 1997

      36 Murata K, "Does job stress affect injury due to labor accident in Japanese male and female blue-collar workers?" 38 : 246-251, 2000

      37 Thoits PA., "Dimensions of life events that influence psychological distress: an evaluation and synthesis of the literature, In Psychosocial Stress: Trends in Theory and Research" Academic Press 33-103, 1983

      38 James GD, "Assessing cardiovascular risk and stress-related blood pressure variability in young women employed in wage jobs" 8 : 743-749, 199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7-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Association of Health and Medical Sociology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18 학술지등록 한글명 : 보건과 사회과학
      외국어명 : Health and Social Science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5 1.45 1.8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03 2.13 2.507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