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대생의 얼굴 만족여부에 따른 얼굴 이미지 인식과 외모관리행동에 관한 연구 = Facial Image Perception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Based on Female University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Fac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723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s purpose was to identify facial image perception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based on female university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faces. Methods: With SPSS 23.0, 322 surveys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t-test. Results: Analysis of facial image perception showed that importance was recognized in the order of balance·skin, features·hair, and face shape, and facial satisfaction was recognized in the order of features·hair, balance·skin, and face shape. Examination of facial image perception showed high facial importance, but relatively low facial satisfaction. Division of facial satisfaction into a low-satisfaction group and a high-satisfaction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The low facial satisfaction group reflected higher importance of the face than the high facial satisfaction group. I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the low facial satisfaction group showed greater belief that low facial satisfaction should be complemented through plastic surgery, makeup, and hair care than the high facial satisfaction group.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kin care and weight control.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a difference in facial image perception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based on female university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faces. Therefore, educati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to have appropriate perception about their appearance, including the face, is necessary.
      번역하기

      Purpose: This study’s purpose was to identify facial image perception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based on female university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faces. Methods: With SPSS 23.0, 322 surveys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

      Purpose: This study’s purpose was to identify facial image perception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based on female university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faces. Methods: With SPSS 23.0, 322 surveys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t-test. Results: Analysis of facial image perception showed that importance was recognized in the order of balance·skin, features·hair, and face shape, and facial satisfaction was recognized in the order of features·hair, balance·skin, and face shape. Examination of facial image perception showed high facial importance, but relatively low facial satisfaction. Division of facial satisfaction into a low-satisfaction group and a high-satisfaction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The low facial satisfaction group reflected higher importance of the face than the high facial satisfaction group. I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the low facial satisfaction group showed greater belief that low facial satisfaction should be complemented through plastic surgery, makeup, and hair care than the high facial satisfaction group.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kin care and weight control.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a difference in facial image perception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based on female university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faces. Therefore, educati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to have appropriate perception about their appearance, including the face, is necessa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여대생들의 얼굴 만족여부에 따른 얼굴 이미지 인식과 외모관리행동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총 322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으며, SPSS ver.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분석, 요인 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 분석 및 t-test 등을 실시하였다. 결과: 얼굴 이미지 인식을 분석한 결과, 전체조화·피부, 이목구비·헤어, 얼굴형태의 순서로 중요도를 인식하며, 이목구비·헤어, 전체조화·피부, 얼굴형태의 순서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얼굴 중요도는 높으나 얼굴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후 얼굴 만족여부를 저만족 집단과 고만족 집단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얼굴 저만족 집단이 얼굴 고만족 집단보다 얼굴 중요도를 좀 더 높게 평가하고 있었고, 얼굴 만족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외모관리행동에서 얼굴 저만족 집단은 자신의 얼굴에 대한 저만족을 성형, 메이크업, 헤어관리 등을 통하여 보완하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피부관리, 체중조절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는 여대생들의 얼굴 만족여부에 따라 얼굴 이미지 인식과 외모관리행동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뷰티 산업의 잠재 고객인 여대생들에게 얼굴을 비롯한 외모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가지도록 교육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번역하기

      목적: 본 연구는 여대생들의 얼굴 만족여부에 따른 얼굴 이미지 인식과 외모관리행동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총 322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으며, SPSS ver.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

      목적: 본 연구는 여대생들의 얼굴 만족여부에 따른 얼굴 이미지 인식과 외모관리행동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총 322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으며, SPSS ver.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분석, 요인 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 분석 및 t-test 등을 실시하였다. 결과: 얼굴 이미지 인식을 분석한 결과, 전체조화·피부, 이목구비·헤어, 얼굴형태의 순서로 중요도를 인식하며, 이목구비·헤어, 전체조화·피부, 얼굴형태의 순서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얼굴 중요도는 높으나 얼굴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후 얼굴 만족여부를 저만족 집단과 고만족 집단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얼굴 저만족 집단이 얼굴 고만족 집단보다 얼굴 중요도를 좀 더 높게 평가하고 있었고, 얼굴 만족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외모관리행동에서 얼굴 저만족 집단은 자신의 얼굴에 대한 저만족을 성형, 메이크업, 헤어관리 등을 통하여 보완하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피부관리, 체중조절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는 여대생들의 얼굴 만족여부에 따라 얼굴 이미지 인식과 외모관리행동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뷰티 산업의 잠재 고객인 여대생들에게 얼굴을 비롯한 외모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가지도록 교육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IkuoDaibo, "화장행동의 사회심리학 -아름다움의 사회성 -" 한국의류산업학회 4 (4): 223-228, 2002

      2 유태순, "화장 전과 후의 얼굴이미지 측정도구개발"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32) : 281-294, 2011

      3 백경진, "한국여성의 얼굴이미지 유형별 형성요소와 메이크업 디자인의 효과" 한국복식학회 64 (64): 1-20, 2014

      4 이민지,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가 외모관심도, 외모관리행동, 외모콤플렉스, 얼굴만족도, 신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 39 (39): 323-336, 2015

      5 김선희, "외모에 대한 사회 문화적 태도와 외모관리행동에 대한 연구- 20대 여성을 중심으로 -" 대한가정학회 41 (41): 99-108, 2003

      6 권우영, "연령별 여성소비자의 얼굴만족도, 외모관리 동기와 퍼머넌트메이크업 행동에 관한연구" 한국피부과학연구원 11 (11): 321-330, 2013

      7 박수향, "여성의 외모가 직장생활에 미치는 영향 - 은행근무 대상자를 중심으로 -" 한국생활과학회 18 (18): 757-768, 2009

      8 김지양, "여대생의 자기이미지와 미디어관여가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17 (17): 164-178, 2013

      9 서란숙, "여대생의 외모관리행동과 외모의 중요성이 외모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미용학회 18 (18): 180-186, 2012

      10 김영란, "여대생의 미용관심 요인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피부과학연구원 8 (8): 263-273, 2010

      1 IkuoDaibo, "화장행동의 사회심리학 -아름다움의 사회성 -" 한국의류산업학회 4 (4): 223-228, 2002

      2 유태순, "화장 전과 후의 얼굴이미지 측정도구개발"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32) : 281-294, 2011

      3 백경진, "한국여성의 얼굴이미지 유형별 형성요소와 메이크업 디자인의 효과" 한국복식학회 64 (64): 1-20, 2014

      4 이민지,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가 외모관심도, 외모관리행동, 외모콤플렉스, 얼굴만족도, 신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 39 (39): 323-336, 2015

      5 김선희, "외모에 대한 사회 문화적 태도와 외모관리행동에 대한 연구- 20대 여성을 중심으로 -" 대한가정학회 41 (41): 99-108, 2003

      6 권우영, "연령별 여성소비자의 얼굴만족도, 외모관리 동기와 퍼머넌트메이크업 행동에 관한연구" 한국피부과학연구원 11 (11): 321-330, 2013

      7 박수향, "여성의 외모가 직장생활에 미치는 영향 - 은행근무 대상자를 중심으로 -" 한국생활과학회 18 (18): 757-768, 2009

      8 김지양, "여대생의 자기이미지와 미디어관여가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17 (17): 164-178, 2013

      9 서란숙, "여대생의 외모관리행동과 외모의 중요성이 외모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미용학회 18 (18): 180-186, 2012

      10 김영란, "여대생의 미용관심 요인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피부과학연구원 8 (8): 263-273, 2010

      11 송미영, "얼굴의 형태적 특성과 메이크업에 의한 얼굴 이미지 연구" 한국생활과학회 14 (14): 143-153, 2005

      12 최수경, "얼굴만족도와 화장의 심리적 변인과의 관계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5 (15): 365-374, 2009

      13 배정숙, "성인 여성의 메이크업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메이크업 표현과 사용정도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 28 (28): 332-343, 2004

      14 박은아, "문화적 자기개념(self-construals)에 따른 외모중시 가치관과 외모관리행동"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10 (10): 251-274, 2009

      15 오인영, "메이크업과 헤어스타일 유형에 따른 TV 뉴스 여자 앵커의 인상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 30 (30): 1636-1647, 2006

      16 조혜란, "대학생의 성에 따른 신체만족도와 외모향상행동과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 16 (16): 148-159, 2007

      17 Kaiser SB,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symbolic appearances in context" Fairchild Pubns 134-424, 1996

      18 Workman JE, "The role of cosmetics in impression formation" 10 : 63-67, 1991

      19 Guthrie M, "The effects of facial image and cosmetic usage on perceptions of brand personality" 12 : 164-181, 2008

      20 Yoon SY, "The effect of hair style for impression formation" 5 : 73-84, 2001

      21 Cunningham MR, "Measuring the physical in physical attractiveness: quasi-experiments on the sociobiology of female facial beauty" 50 : 925-935, 1986

      22 Theberge L, "Importance of cosmetics related to aspects of the self" 48 : 827-830, 1979

      23 Hassin R, "Facing faces : studies on the cognitive aspects of physiognomy" 78 : 837-852, 2000

      24 Ryan MS, "Clothing: a study in human behavior" Holt, Rinehart and Winston Publisher 260-261, 1966

      25 Lee HO, "Appearance satisfaction of female consumers: toward the relationships with appearance types and perceptions" 38 : 93-102, 2000

      26 Lee MY, "A study on beauty care behaviors according to female undergraduates’ aesthetic consciousness:centering on behaviors in skin care, weight control and cosmetic surgery" 4 : 111-126, 2009

      27 홍수남, "20-40대 여성의 외모만족도가 미용관리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피부과학연구원 10 (10): 829-836, 2012

      28 홍수남, "20-30대 미혼여성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이 뷰티행동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상디자인학회 16 (16): 77-89,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8-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주식회사 진셀팜 -> 한국피부과학연구원
      영문명 : Korea Institute for Skin and Clinical Sciences -> Korea Institute of Dermatological Sciences
      KCI등재
      2016-04-2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아시안뷰티화장품저널 ->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KCI등재
      2016-02-2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피부미용학회지 -> 아시안뷰티화장품저널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Aesthetic and Cosmetology ->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03-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Aesthetic Society -> Korean Journal of Aesthetic and Cosmetolog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1 0.51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5 0.602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