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2007년 개정교육과정에서 초등학교 ``바른생활``·``도덕``의 전통윤리교육의 특성을 분석하고 그 과제를 제시한 것이다. 초등학교 도덕교육이 성공적이지 못한 이유가, 주지주의 도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737391
2010
Korean
초등학교 ; 도덕교육 ; 도덕과 ; 바른생활 ; 전통윤리교육 ; 개정교육과정 ; 교과서 ; 습관화 ; elementary school ; moral education ; moral subject ; right Living course ; the traditional ethics education ; revised curriculum ; moral text book ; habits education
100
KCI등재
학술저널
301-327(27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2007년 개정교육과정에서 초등학교 ``바른생활``·``도덕``의 전통윤리교육의 특성을 분석하고 그 과제를 제시한 것이다. 초등학교 도덕교육이 성공적이지 못한 이유가, 주지주의 도덕...
이 글은 2007년 개정교육과정에서 초등학교 ``바른생활``·``도덕``의 전통윤리교육의 특성을 분석하고 그 과제를 제시한 것이다. 초등학교 도덕교육이 성공적이지 못한 이유가, 주지주의 도덕교육의 결과로 인한 기본생활과 예절의 습관화의 실패에 있다는 성찰을 바탕으로, 이러한 기본생활습관교육이 바로 전통윤리교육이라는데 초점을 두고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초등학교 ``바른생활``·``도덕``은 우리 조상들이 강조하였던 기본생활습관교육에서 벗어나지 않으며, ``바른생활``은 초등학교 전 학년의 기본생활습관 형성을 위하여 목표와 내용의 상세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도덕``의 18개 가치덕목은 시민사회생활에 필요한 가치덕목과 전통윤리덕목의 조화이긴 하지만 주로 전자에 중점이 있으며, 목표와 내용의 상세화도 전통윤리교육 측면에서는 다소 미흡한 점이 있다. 교과서 집필이 현재 진행 중이기 때문에 완결된 분석은 어렵지만, 교육과정과 1,2학년 ``바른생활``·``생활의 길잡이``, 3,4학년 1학기 ``도덕``?``생활의 길잡이``에 드러난 전통윤리교육에 대한 관점을 분석할 때,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전통윤리교육이 보다 원리적·심층적으로 다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한국적 도덕교육론 정립, 동서양 도덕교육론의 균형 잡힌 시각 제시, 교육과정 구성과 교과서 집필에 있어서 전통윤리교육전공자들의 적극적 참여, 전통문화 내지 동양사상의 정수를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 활용 등에 주의를 기울여 전통윤리교육이 활성화 되어야 한다. 아울러 초등학교 전통윤리교육을 위해 요구되는 과제로는, 18개 가치덕목의 선정 기준과 원칙 마련, ``서양윤리와 동양윤리``·``현대윤리와 전통윤리``의 조화를 위한 적용 원리 마련, 전통윤리의 본질과 가치를 현대사회에 적합한 내용으로 구성, 기본적인 태도와 몸가짐·예절 등은 ``바른생활`` 교과에서 완전학습을 통해 습관화, 전통 가치의 다양한 활용, 미래사회의 새로운 변화에 대한 대비, 현대사회 제반문제에 대한 대응 등을 들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I will analyze the traditional ethics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s moral subject focussing on `07 revised curriculum. Then I will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ethics education and bring up tasks concerned with...
In this study, I will analyze the traditional ethics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s moral subject focussing on `07 revised curriculum. Then I will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ethics education and bring up tasks concerned with it. The failure of mor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in most cases, was due to the intellectualism of moral education that has resulted in lack of habits of decency and manners in the students` daily life. The right living course and the moral subject are as good as traditional living habits education was emphasized by our ancestors. To let students to practice of eighteen values or virtues in the moral text book, we need to make detailed in education`s goal and contents. But the older the students is the more difficult the habits education. Then the habits education at the first and second year students is much better than other year students. The moral text in `07 revised curriculum is not complete written. For this reason, maybe my analysis related this subject will be continued the next study. The problem of the traditional ethics education is a poor role of the specialist, and their lack belief of that. In order to solving these problems, The participating persons have to convict the role and effect of the traditional ethics education. In conclusion, the most important task of the moral subject is the spread of the goal, contents, belief of the traditional ethics education to the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in elementary education.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승희, "초등학교 전통윤리교육의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 한국윤리학회 1 (1): 197-221, 2008
2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생활의 길잡이(3-1, 4-1)" 서울교육대학교 도덕국정도서 편찬위원회 2010
3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도덕(3-1, 4-1)" 서울교육대학교 도덕국정도서 편찬위원회 2010
4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 바른생활(1-1, 1-2, 2-1, 2-2)"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09
5 도민재, "전통사회 ‘小學’ 교육과 청소년 예절교육의 방향" 한국유교학회 (32) : 275-298, 2008
6 장승희, "외경윤리교육론 정립을 위한 시론" 한국윤리학회 1 (1): 35-62, 2009
7 김태익, "손의 퇴화"
8 교육과학기술부, "생활의 길잡이(1-1, 1-2, 2-1, 2-2)"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09
9 교육과학기술부, "바른생활(1-1, 1-2, 2-1, 2-2)"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09
10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에 따른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Ⅲ) : 국어, 도덕, 사회"
1 장승희, "초등학교 전통윤리교육의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 한국윤리학회 1 (1): 197-221, 2008
2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생활의 길잡이(3-1, 4-1)" 서울교육대학교 도덕국정도서 편찬위원회 2010
3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도덕(3-1, 4-1)" 서울교육대학교 도덕국정도서 편찬위원회 2010
4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 바른생활(1-1, 1-2, 2-1, 2-2)"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09
5 도민재, "전통사회 ‘小學’ 교육과 청소년 예절교육의 방향" 한국유교학회 (32) : 275-298, 2008
6 장승희, "외경윤리교육론 정립을 위한 시론" 한국윤리학회 1 (1): 35-62, 2009
7 김태익, "손의 퇴화"
8 교육과학기술부, "생활의 길잡이(1-1, 1-2, 2-1, 2-2)"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09
9 교육과학기술부, "바른생활(1-1, 1-2, 2-1, 2-2)"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09
10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에 따른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Ⅲ) : 국어, 도덕, 사회"
11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에 따른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Ⅱ) : 우리들은 1학년, 바른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 특별활동"
12 교육인적자원부,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 [별책 2]: 초등학교 교육과정"
13 교육인적자원부,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 [별책 15]: 바른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 우리들은 1학년 교육과정"
14 정호훈, "16세기 말 栗谷 李珥의 敎育論-{擊蒙要訣} {學校模範}을 중심으로-" 한국사상사학회 25 : 1-38, 2005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2-2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Ethics Studies Association ->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 ![]() |
2014-02-24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Ethics Studies -> Journal of Ethics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12-20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국민윤리학회 -> 한국윤리학회 | ![]() |
2006-12-2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국민윤리연구 -> 윤리연구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Ethics Studies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3 | 0.43 | 0.4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1 | 0.4 | 0.578 | 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