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분주토기의 발생과정과 확산배경 = The Origins and Diffusion of the Bunju Potteries from Mahan Tomb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387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의 墳周土器는 계통에 따라 壺形, 筒A形, 筒B形으로 구분되는데, 壺形은 아산만권의 분묘제사에서 술을 공헌하는데 사용되었던 원통형 특수토기가 3세기 말~4세기 초 금강 하류지역의 마...

      한국의 墳周土器는 계통에 따라 壺形, 筒A形, 筒B形으로 구분되는데, 壺形은 아산만권의 분묘제사에서 술을 공헌하는데 사용되었던 원통형 특수토기가 3세기 말~4세기 초 금강 하류지역의 마한 제국 수장묘에서 분구 장엄용으로 변용된 다음 영산강 서북지역을 중심으로 확산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筒A形은 5세기 중엽경 영산강유역권 마한 제국 수장묘에서 당시 일본에서 성행하였던 원통형과 호통형 埴輪 set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현지 기대의 기형과 도립 분할 제작기법이 가미되어 독자적인 유형으로 성립된 다음 주변지역으로 확산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筒B形은 5세기 말~6세기 초 영산강유역권의 일본식 장고분에서 사용되었던것으로서 장고분 뿐만 아니라 墳周土器, 墳周木器 등의 墳周物까지 일본에서 기원하되 그 제작에 있어서는 현지 공인들이 참여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한국 분주토기의 확산과 소멸 배경에 있어, 壺形과 筒A形은 호남지역, 특히 영산강유역권을 중심으로 마한 제국의 수장층 사이에서 자신들의 무덤에 분주토기를 장식하는 것이 신분에 걸맞는 것이라는 인식 속에서 확산되다가 6세기 중엽경 백제의 병합에 따른 규제로 인하여 현지에서 중단되었지만 부분적으로 일본으로 파급되었다. 筒B形은 일본의 망명 세력이 일본의 전통을 따르면서 지속되어 나가다가 6세기 중엽경 백제의 병합에 따른 규제로 인하여 완전히 소멸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commonly argued that the Bunju potteries placed on or around the mounds of Mahan tombs has originated from the cylindrical potteries found in the wood coffin tombs of the Asan Bay area. In this paper, however, I argue that the Bunju potteries ca...

      It is commonly argued that the Bunju potteries placed on or around the mounds of Mahan tombs has originated from the cylindrical potteries found in the wood coffin tombs of the Asan Bay area. In this paper, however, I argue that the Bunju potteries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which are Jar, Cylindrical A, and Cylindrical B, and that each type had different origin and developmental processes. First, the Jar type was initially made around the late 3rd and the early 4th century AD by imitating the cylindrical pottery used for religiously serving wine in the wood coffins of the Asan Bay area and then was diffused to the souethrn Mahan area. Second, the Cylindrical A type that is primarily found in jar-coffin tombs of the mid 5th century AD was made under the influence of the Japanese cylindrical Haniwa, but went through an independent developmental process by incorporating local styles. Third, the Cylindrical B type found in the Japanese style keyhole-shaped tombs from the late 5th century AD until the first half of the 6th century AD was a direct imitation of the Japanese Haniwa. The fact that the Bunju potteries excavated on or around the mounds of the tombs persisted only in the last Mahan area until the first half of the 6th century AD strongly suggests that the Mahan people maintained its power and remained independent of Baekje. It is also highly likely that some Mahan elites who used traditional jar-coffin tombs and the Jar and the Cylindrical A type pottery went into exile to Japan in the process of Baekje’s expansion in the mid 6th century A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Mahan and Japan more seriousy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穴澤咊光, "羅州潘南古墳群" 古代學硏究會 70 : 15-30, 1973

      2 서성훈, "羅州 潘南古墳群" 국립광주박물관 1988

      3 박형열, "호남지역 분주토기의 제작방법 변화로 본 편년과 계통성" 영남고고학회 (69) : 118-155, 2014

      4 이영철, "호남지역 분주토기 조사현황에 따른 성과와 과제"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전남대학교박물관 93-117, 2014

      5 김용성, "한대의 무덤과 그 제사의 기원" 학연문화사 2006

      6 이상엽, "한국원통형토기(분주토기)의 연구 현황과 과제"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전남대학교박물관 123-146, 2014

      7 이진희, "한국 서남부지역 양이부호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0

      8 박순발, "한, 일 고대인의 흙과 삶" 국립전주박물관 134-151, 2001

      9 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충북 옥산 생활체육공원 조성부지내 문화재 발굴조사"

      10 임영진, "전남지역 석실봉토분의 백제 계통론 재고" 호남고고학회 6 : 123-157, 1997

      1 穴澤咊光, "羅州潘南古墳群" 古代學硏究會 70 : 15-30, 1973

      2 서성훈, "羅州 潘南古墳群" 국립광주박물관 1988

      3 박형열, "호남지역 분주토기의 제작방법 변화로 본 편년과 계통성" 영남고고학회 (69) : 118-155, 2014

      4 이영철, "호남지역 분주토기 조사현황에 따른 성과와 과제"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전남대학교박물관 93-117, 2014

      5 김용성, "한대의 무덤과 그 제사의 기원" 학연문화사 2006

      6 이상엽, "한국원통형토기(분주토기)의 연구 현황과 과제"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전남대학교박물관 123-146, 2014

      7 이진희, "한국 서남부지역 양이부호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0

      8 박순발, "한, 일 고대인의 흙과 삶" 국립전주박물관 134-151, 2001

      9 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충북 옥산 생활체육공원 조성부지내 문화재 발굴조사"

      10 임영진, "전남지역 석실봉토분의 백제 계통론 재고" 호남고고학회 6 : 123-157, 1997

      11 최성락, "원통형토기의 연구현황과 과제" 호남고고학회 42 : 125-157, 2012

      12 한국문화재보호재단, "울산 하삼정고분군 Ⅰ" 2009

      13 안재호, "왜5왕 문제와 한일관계" 경인문화사 319-398, 2005

      14 전용호, "영암 옥야리 방대형고분 출토 원통형토기 조사 및 연구 성과 검토"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전남대학교박물관 31-61, 2014

      15 임영진, "영산강유역권 왜계고분의 피장자와 ‘임나일본부’" 부경역사연구소 (35) : 225-256, 2014

      16 우재병, "영산강유역 전방후원분 출토 원통형토기에 대한 시론"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31 : 39-56, 2000

      17 서현주, "영산강유역 고분 토기 연구" 학연문화사 2006

      18 김낙중, "영산강유역 고분 연구" 학연문화사 2009

      19 충남역사문화연구원, "아산 명암리 밝지므레 유적" 2011

      20 한국고고환경연구소, "아산 갈매리(Ⅲ지역) 유적" 2007

      21 임영진, "송학동고분군" 동아대박물관 41-60, 2001

      22 임영진, "몽촌토성의 연대와 성격, In 백제 초기문화의 고고학적 재조명" 한국고고학회 23-37, 1987

      23 영남문화재연구원, "대구 팔달동 유적 Ⅰ" 2000

      24 임영진, "광주 월계동의 장고분 2기" 한국고고학회 31 : 237-264, 1994

      25 신민철, "곡교천유역 원삼국시대 원통형토기의 성격과 의미" 호남고고학회 46 : 25-60, 2014

      26 林永珍, "韓國 墳周土器의 起源과 變遷" 호남고고학회 17 : 83-111, 2003

      27 坂靖, "韓半島의 埴輪과 日本列島, In 한국 원통형토기(분주토기)의 연구 현황과 과제"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전남대학교박물관 153-169, 2014

      28 謝治秀, "輝煌三十年-山東考古成就巡禮" 科學出版社 2008

      29 浙江省博物館, "越地范金 (浙江省博物館典藏大系)" 浙江古籍出版社 2009

      30 施加農, "蕭山古陶瓷" 文物出版社 2007

      31 近藤義郞, "蒜山原四つ塚古墳群" 岡山縣八束村 1992

      32 安吉縣博物館, "苕水流長" 浙江撮影出版社 2012

      33 一瀨和夫, "王の墓と奉仕する人びと" 山川出版社 88-103, 2004

      34 長興縣博物館, "物阜長興-長興文物精華" 浙江人民美術出版社 2009

      35 한영희, "淸堂洞" 1993

      36 임영진, "榮山江流域 石室封土墳의 性格" 역사문화학회 3 (3): 231-257, 2000

      37 임영진, "東アジアと日本の考古學" 司成社 3-26, 2002

      38 土生田純之, "朝鮮半島の前方後圓墳" 專修大學人文科學硏究所 26 : 1996

      39 有光敎一, "昭和13年度古蹟調査報告" 朝鮮總督府 1940

      40 몽촌토성발굴조사단, "整備, 復元을 위한 夢村土城發掘調査報告" 1984

      41 那珂川町敎育委員會, "小丸古墳群" 1985

      42 日田市敎育委員會, "天滿古墳群(2號墳) 現地說明會資料 (油印物)"

      43 谷井濟一, "大正6年度古蹟調査略報告" 朝鮮總督府 1920

      44 이영철, "壺形墳周土器 登場과 時點" 호남고고학회 25 : 75-99, 2007

      45 埼玉縣敎育委員會, "埼玉古墳群發掘調査報告書 第7集" 1989

      46 坂靖, "埴輪生産の系譜" 79 : 37-34, 2002

      47 近藤義郞, "埴輪の起源" 考古學硏究會 13 (13): 13-36, 1967

      48 高橋徹, "圓筒埴輪-九州" 9 : 81-89, 1992

      49 前原市敎育委員會, "國史蹟釜塚古墳(第3次發掘調査現地說明會資料 (油印物)"

      50 太田博之, "古墳時代中期東日本土の埴輪製作技法と渡來工人" 25 : 47-65, 2008

      51 岸木圭, "北部九州における圓筒埴輪の規格性" 九州考古學會 71 : 34-52, 1996

      52 大竹弘之, "前方後圓墳と古代日朝關係" 同成社 79-125, 2002

      53 小栗明彦, "全南地方出土 埴輪의 意義" 충남대 백제연구소 32 : 111-149, 2000

      54 小栗明彦, "光州月桂洞1號墳出土埴輪の評價" 古代學硏究會 137 : 31-42, 1997

      55 이상엽, "中西部地域 出土 圓筒形土器의 性格 檢討" 한국고대학회 (31) : 162-196, 2009

      56 楊寬, "中國古代陵寢制度史硏究" 上海人民出版社 2003

      57 董淑燕, "中國古代酒文化" 中國書店 2012

      58 裘琤, "中國古代漆器藝術" 中國書店 2012

      59 임영진, "中國 六朝磁器의 百濟 導入背景" 한국고고학회 (83) : 4-47, 2012

      60 황용훈, "三佛金元龍敎授停年退任紀念論叢Ⅰ" 一志社 429-449, 1987

      61 김원용, "三上次男博士喜壽記念論文集(考古編)" 平凡社 231-237, 1985

      62 奈良 縣立橿原考古學硏究所, "ホケノ山古墳(公開講演會資料)"

      63 鐘方正樹, "2條突帶の圓筒埴輪" 埴輪檢討會 1 : 109-131,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1 1.11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6 1.16 2.001 0.6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