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역사적 내러티브에 의존한 해석이 주를 이루었던 대릉하 유역의 청동예기에 대하여 새로운 해석을 했다. 특히 그동안 간과되었왔던 제 3의 요소인 북방초원문화의 유입을 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831907
2021
-
고조선 ; 청동예기 ; 기자 ; 네트워크 ; 유목문화 ; Ancient Chosun ; Chinese ritual vessel ; Network ; Nomad culture
900
KCI등재
학술저널
5-36(32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역사적 내러티브에 의존한 해석이 주를 이루었던 대릉하 유역의 청동예기에 대하여 새로운 해석을 했다. 특히 그동안 간과되었왔던 제 3의 요소인 북방초원문화의 유입을 감...
본 논문에서는 역사적 내러티브에 의존한 해석이 주를 이루었던 대릉하 유역의 청동예기에 대하여 새로운 해석을 했다. 특히 그동안 간과되었왔던 제 3의 요소인 북방초원문화의 유입을 감안하여 농-목 복합지대로 재편된 상말주초라는 문화적 현상에서 이 문제에 접근했다. 그 결과 중원계통 청동기의 매납 현상은 상말주초의 상황에서 중국계 유이민이 기원전 15세기 이후 농-목 복합지대가 되어 인구가 급감한 대릉하 유역으로 이동하면서 유목문화에 기반한 집단과 공존하며 독특한 제사체계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드러난 흔적임을 밝혔다. 요서지역을 중심으로 복합사회가 발달한 내몽골 동남부/하북/대릉하 일대의 문화유형은 크게 3가지로 나뉜다. 제사위주의 북동촌-위영자유형, 청동제련기술에 기반한 청동제련 기술을 담당한 집단(희작구유형), 전차와 카라숙 계통의 무기를 사용하는 집단(백부-소하남유형), 그리고제사를 담당한 집단(북동촌-위영자 유형) 등으로 나뉜다. 이들은 시기적으로 기원전 13~9세기사이에 지역을 달리해서 각자의 세력을 형성했다. 물론, 그들은 복합사회를 이루고 살았음은 분명하지만, 국가로서의 체제를 가지지 못했다. 하지만 각자의 특성을 갖추고 병존하면서 이후 고조선 성립의 기반이 된다. 이 시기에 등장하는 대릉하 유역의 청동예기를 남긴 사람들은 제사체계를 기반으로 이 지역의 새로운 세력의 형성에 참여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제사 용기는 ‘화변력’의 전통, 도마계통의 청동기, 동물 장식의 도입, 입석 제사유구 등당시 중국 북방지역의 농-목 복합지대에서 맞게 재창조되었다. 이렇게 재편되는 사회에서 중원지역의 청동기를 제사체계에서 적극적으로 사용되는 데에는 상말주초라는 상황으로 은계의 유이민이 발생했고 중원 청동예기의 도입이 용이했던 상황도 일조했다. 하지만, 이후 연국이 공고화되고 이러한 제사용기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게 되었다. 이에 위영자문화 단계에서는 소형의예기 1~2기를 묻는 것으로 한정되었다. 이후 그마저도 공급이 어려워지면서 제사체계는 유라시아 전차문화의 확산에 따라 이 지역으로 도입된 다뉴경의 전통과 비파형동검으로 재편되었다. 이러한 농-목 전환기의 문화 재편 과정에서 보이는 ‘중원예기의 선호’와 ‘초원계 전차와 무기의선호’라는 두 전통은 중국 북방지역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바, 당시 동아시아와 유라시아 초원의 네트워크가 형성된 것의 소산이라 볼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the author gives a new interpretation of the appearance of the Chinese bronze vessel in the region Daling River Basin during the late Shang to early Zhou period, in which interpretation based on historical narrative was predominant. In ...
In this paper, the author gives a new interpretation of the appearance of the Chinese bronze vessel in the region Daling River Basin during the late Shang to early Zhou period, in which interpretation based on historical narrative was predominant.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the influx of nomadic culture from the northern region, which had been overlooked so far. This led to the attention of the sedentarystockbreeding complex zone, which spread to the region due to climate and environmental changes during the late Shang and early Zhou periods. As a result, the hoards of bronze ware from the Chinese central plain resultedr ofm the migration during the late Shang to early Zhou period. These migrants with Chinese vessels participate in forming a new phase of archaeological culture. Between the 13th and 11th centuries BC, three major cultures co-exist around the Liaoxi region. 1) the Beitongcun-weiyingzi type - the bearer of Chinese bronze vessels, 2) Xizhagou type - bronze metallurgy of Seima-Turbino style, 3) Biafu-Xiaohenan type - the bearer of the chariot equipment and bronze weapon of kasrauk style. Beitongcunweiyingzi type left behind Daling River Basin s Chinese bronze vessel participated in forming a new complex society based on the ritual system. With the advent of a new complex society, a new ritual system was required, and this imported Chinese vessel, mainly used for boiling and cooking, was utilized. In addition, elements of nomadic culture also mixed on this new ritual system, such as tripod with Decorated Rim(Huabianli), dish for meat, Animal style Decoration on bronze, the existence use of Menhir. Another reason for adopting this Chinese bronze vessel concerned the political situation during the late Shang to early Zhou. However, as the Yan state consolidated in the Hebei and ruled over the neighboured region, the supply of these Chinese bronze vessels become unstable. Thus, this tradition gradually disappeared in weiyingzi phase. Instead, the bronze age culture of the Daling river basin adopted bronze mirrors with knobs and lute-shaped daggers. As such, the appearance of the Chinese ritual vessels on the Daling River Basin demonstrated the formation of a network of East Asian and Eurasian steppe during the 13th and 11th centuries BC.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遼寧省博物館工作隊, "遼寧朝陽縣魏營子西周墓和古遺址" 5 : 1977
2 遼寧省文物考古硏究所, "遼寧喀左縣高家洞商周墓" 4 : 1998
3 喀左縣博物館, "遼寧喀左縣山灣子出土殷周靑銅器" 1977 (1977): 1977
4 遼寧省博物館, "遼寧喀左縣北洞村發現殷代靑銅器)" 4 : 1973
5 喀左縣文化館, "遼寧喀左縣北洞村出土的殷周靑銅器" 1974 (1974): 1974
6 克什克騰旗文化館, "遼寧克什克騰旗天寶同 現商代銅" 5 : 1977
7 배진영, "출토 자료로 본 고죽" 이화사학연구소 (33) : 283-300, 2006
8 강인욱, "초기 고조선 네트워크의 형성과 비파형동검문화 —기술, 무기, 제사를 중심으로" 한국고고학회 (106) : 46-75, 2018
9 강인욱, "청동기시대 고대 북방 유라시아와 동북아시아의 네트워크 -전차의 확산을 중심으로-" 한국고대학회 (66) : 5-43, 2021
10 이성규, "중국사학계에서 본 고조선" 49 : 2011
1 遼寧省博物館工作隊, "遼寧朝陽縣魏營子西周墓和古遺址" 5 : 1977
2 遼寧省文物考古硏究所, "遼寧喀左縣高家洞商周墓" 4 : 1998
3 喀左縣博物館, "遼寧喀左縣山灣子出土殷周靑銅器" 1977 (1977): 1977
4 遼寧省博物館, "遼寧喀左縣北洞村發現殷代靑銅器)" 4 : 1973
5 喀左縣文化館, "遼寧喀左縣北洞村出土的殷周靑銅器" 1974 (1974): 1974
6 克什克騰旗文化館, "遼寧克什克騰旗天寶同 現商代銅" 5 : 1977
7 배진영, "출토 자료로 본 고죽" 이화사학연구소 (33) : 283-300, 2006
8 강인욱, "초기 고조선 네트워크의 형성과 비파형동검문화 —기술, 무기, 제사를 중심으로" 한국고고학회 (106) : 46-75, 2018
9 강인욱, "청동기시대 고대 북방 유라시아와 동북아시아의 네트워크 -전차의 확산을 중심으로-" 한국고대학회 (66) : 5-43, 2021
10 이성규, "중국사학계에서 본 고조선" 49 : 2011
11 金正烈, "요하유역의 초기 청동기 문화" 동북아역사재단 2009
12 최호현, "요서지역 출토 상주(商周) 청동용기 연구 - 황하중류유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동북아역사재단 (63) : 71-124, 2019
13 조원진, "요서지역 출토 상주 청동기와 기자조선 문제" 백산학회 (88) : 101-127, 2010
14 이형구, "요서지방의 고조선 - 전개 동정 이전의 요서지방의 기자조선" 고조선단군학회 18 : 31-56, 2008
15 이유표, "요서 출토 상말주초 족씨(族氏) 명문(銘文)에 대한 일고찰" 동북아역사재단 (63) : 125-175, 2019
16 이후석, "요령지역 비파형동검의 등장과 그 배경" 한국고고학회 (111) : 46-85, 2019
17 민후기, "연(燕)의 형성 전후 접경의 변화 - 상(商) 후기, 서주(西周) 초기 태항산맥(太行山脈) 동쪽 출토 청동기 명문(銘文)의 분석" 동북아역사재단 (63) : 177-230, 2019
18 강인욱, "스키토-시베리아 문화의 기원과 러시아 투바의 아르잔 1호 고분" 중앙아시아학회 20 (20): 127-151, 2015
19 심재훈, "상쟁하는 고대사 서술과 대안 모색: [詩經] “韓奕”편 다시 읽기" 국학연구원 (137) : 253-319, 2007
20 오대양, "비파형동검 등장 이전 청동기문화의 변동- 遼西地域 魏營子文化를 中心으로 " 영남고고학회 (83) : 127-167, 2019
21 강인욱, "동북아시아 고고학 개론" 동북아역사재단 2020
22 강인욱, "기원전 13~9세기 카라숙 청동기의 東進과 요동ㆍ한반도의 초기 청동기문화" 호서고고학회 (21) : 1-48, 2009
23 董新林, "魏营子文化初步研究" 1 : 2000
24 林永昌, "辽西地区铜器窖藏性质再分析" 30, 34 : 2007
25 郭大顺, "辽河流域“北方式青铜器”的发现与研究" 1993 (1993): 1993
26 王立新, "論克什克騰旗喜鵲溝銅鑛遺址及相關問題" 4 : 2015
27 杜金鵬, "試論夏家店下層文化中的二里頭文化因素" (3) : 1995
28 이유표, "西周 초기 ‘箕子’의 朝鮮 冊封 가능성 검토: 諸侯 冊封 양상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34) : 65-97, 2017
29 霍耀, "花边鬲研究" 吉林大學 2018
30 韩嘉谷, "花边鬲寻踪—谈我国北方长城文化带的形成"
31 郭大順, "考古學文化論集一" 文物出版社 1987
32 绥德县博物馆马润臻, "缓德发现两件青铜器" 2 : 1984
33 王云刚, "绥中冯家发现商代窖藏铜器" (1) : 1996
34 赵凌烟, "箕子朝鲜的考古学探索" 西北大學校 2016
35 박대재, "箕子 관련 商周靑銅器 銘文과 箕子東來說" 한국고대학회 (32) : 111-149, 2010
36 白川靜, "白川靜著作集 別卷: 金文通釋" 平凡社 2006
37 町田章, "白川静博士古稀記念中国文史論叢" 立命館大学人文学会 1981
38 洪猛, "燕山一带抄道沟类铜器窖藏的文化归属及其他" 1 : 2017
39 瓯燕, "燕國開拓祖國北疆的歷史功績" 1999 (1999): 1999
40 喀左縣博物館, "熱河凌源縣海島營子村發現的古代靑銅器" 1955 (1955): 1955
41 이형구, "渤海沿岸 大凌河流域 箕子朝鮮의 遺蹟ㆍ遺物" 9 : 1996
42 小川茂樹, "殷末周初の東方經略に就いて(下)" 11 (11): 1940
43 甲元眞之, "東北アジアの靑銅器文化と社會" 同成社 2006
44 廣川守, "東北アジアの考告學硏究" 同朋含 1995
45 藤田亮策, "朝鮮考古學硏究" 高桐書院 1948
46 北京市文物管理处, "文物资料丛刊2" 文物出版社 1978
47 北京市文物管理處, "文物資料叢刊 2" 1978
48 蘇赫, "從昭盟發現的大型銅器試論北方的早期銅文明" 2 : 1982
49 山西省考古研究所, "山西靈石旌介村商墓" 1986 (1986): 1986
50 吉县文物工作站, "山西吉县出土商代青铜器" 1985 (1985): 1985
51 常怀颖, "山西保德林遮峪铜器墓年代及相关问题" 9 : 2014
52 劉淑娟, "山灣子殷周靑銅器斷代及銘文簡釋" 2 : 1991
53 魏凡, "就出土靑銅器探索遼寧商文化問題" (5) : 1983
54 송호정, "大凌河流域 殷周 靑銅禮器 사용 집단과 箕子朝鮮" 한국고대사학회 (38) : 5-36, 2005
55 이형구, "大凌河流域의 殷末周初 靑銅器文化와 箕子 및 箕子朝鮮" 5 : 1991
56 徐坚, "喀左铜器群再分析: 从器物学模式到行为考古学取向" 4 : 2010
57 遼寧省文物考古硏究所, "喀左和尙溝墓地" 2 : 1989
58 심재훈, "商周 청동기를 통해 본 箕族의 이산과 성쇠" 역사학회 (200) : 371-418, 2008
59 曹斌, "匽侯铜器与燕国早期世系" 5 : 2016
60 晏琬, "北京辽宁出土铜器与周初的燕" 5 : 1975
61 北京市文物管理处, "北京市延庆县西拔子村窖藏铜器" 1979 (1979): 1979
62 北京市文物管理处, "北京地区的又一重要考古收获—昌平白浮西周木槨墓的新启示" 1976 (1976): 1976
63 韩炳华, "再论晋陕高原商代青铜文化的谱系" 15 : 2018
64 郑绍宗, "兴隆小河南发现北方式青铜器概况" 4 : 1994
65 李海艳, "关于义县花尔楼出土青铜器的解读" 21 : 2018
66 宮本一夫, "中國古代北疆史の考古學的硏究" 中國書店 2000
67 강인욱, "中國 北方地帶와 夏家店上層文化의 청동투구에 대하여-기원전 11~8세기 중국 북방 초원지역의 지역간 상호교류에 대한 접근-" 한국고대학회 (25) : 531-577, 2006
68 韓茂莉, "中国北方农牧交错带的形成与气候变迁" 10 : 2005
69 Окладников А.П., "Триподы за Байкалом" (3) : 1959
70 Киселёв С.В., "Неолит и бронзовый век Китая. (По материалам научной командир овки в КНР)" (4) : 244-266, 1960
71 Новгородова Э.А., "Древняя Монголия (Некоторые проблемы хронологии и этнок ультурной истории)" ГРВЛ 384-, 1989
72 Janz, L., "Pastoralism and Ideological Resistance to Agriculture in Northeast Asia: from Prehistoric to Modern Times" 18 : 28-52, 2007
73 Falkenhausen L.V., "On the historiographical orientation of Chinese archaeology" 67 : 839-849, 1993
74 조법종, "2000년대 이후 중국학계의 고조선연구 -단군, 기자조선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고대학회 (54) : 5-40, 2017
베트남 전쟁의 ‘베트남화’에 대한 주월한국군의 인식과 대응 : 제2대 사령관 이세호의 역할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 | 0.6 | 0.7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3 | 0.59 | 1.723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