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요새화된 유럽과 이민 망명정책의 전망 = Fortress Europe and Migration/Asylum Policies in the EU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088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urrent migrant crisis in the European Union created a series of turbulence at the level of European integration among member states and Brussels. This paper tries to verify the fact that fortress Europe scenario will be strengthened with the ongoing crisis aggravating and increasing pattern of the new isolationism.
      Throughout the research, it can be admit that within a short term period Europe shall be more blocked with fervent attitude of the citizens who are against with Islamic migrants. But from longer perspective, it is necessary to prepare development and cooperation plan to win over the root causes of the migratory influx. Capacity building projects would be preferable to provision of rescue funds since those refugees cannot survive even when the civil war terminated.
      In fact self-help or self-reliance is needed for the feasible and desirable futures of the migrants.
      번역하기

      Current migrant crisis in the European Union created a series of turbulence at the level of European integration among member states and Brussels. This paper tries to verify the fact that fortress Europe scenario will be strengthened with the ongoing ...

      Current migrant crisis in the European Union created a series of turbulence at the level of European integration among member states and Brussels. This paper tries to verify the fact that fortress Europe scenario will be strengthened with the ongoing crisis aggravating and increasing pattern of the new isolationism.
      Throughout the research, it can be admit that within a short term period Europe shall be more blocked with fervent attitude of the citizens who are against with Islamic migrants. But from longer perspective, it is necessary to prepare development and cooperation plan to win over the root causes of the migratory influx. Capacity building projects would be preferable to provision of rescue funds since those refugees cannot survive even when the civil war terminated.
      In fact self-help or self-reliance is needed for the feasible and desirable futures of the migra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시리아 난민사태는 유럽연합의 이민망명정책에 대한 일대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이논문은 이 사태로 유럽이 더욱 요새화되었는가를 기본 질문으로 하고 있다. 유럽이 그간 이룩해온 쉥겐협정과 더블린규정은 난민사태로 위기에 봉착하고 있다. 세계화의 부정적인 유산을 강조하는 신고립주의의 등장은 다원주의를 거부하면서 이민과 난민에 대한 거부감을 드러내고 있다. 비록 과도한 유입으로 인해 유럽연합 회원국내 여론이 부정적이지만 장기적 시각에서는 인구구조를 감안할 때 선별적 노동력의 유입이 불가피해보인다. 연구를 통해 단기적인 차원에서 외형적 요새화는 진행되고 있으나 중장기적으로 이민과 난민문제에 대한 근원요인을 해소하는 노력이 병기되어야 할 것이다. 중기적으로는 유럽연합 인근국에 존재하는 난민들에 대한 역량강화와 같은 프로그램이 바람직하며 장기적으로는 이민의 뿌리요인을 제거하기 위한 개발협력이 필수적임을 강조하고있다.
      번역하기

      시리아 난민사태는 유럽연합의 이민망명정책에 대한 일대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이논문은 이 사태로 유럽이 더욱 요새화되었는가를 기본 질문으로 하고 있다. 유럽이 그간 이룩해온 쉥겐...

      시리아 난민사태는 유럽연합의 이민망명정책에 대한 일대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이논문은 이 사태로 유럽이 더욱 요새화되었는가를 기본 질문으로 하고 있다. 유럽이 그간 이룩해온 쉥겐협정과 더블린규정은 난민사태로 위기에 봉착하고 있다. 세계화의 부정적인 유산을 강조하는 신고립주의의 등장은 다원주의를 거부하면서 이민과 난민에 대한 거부감을 드러내고 있다. 비록 과도한 유입으로 인해 유럽연합 회원국내 여론이 부정적이지만 장기적 시각에서는 인구구조를 감안할 때 선별적 노동력의 유입이 불가피해보인다. 연구를 통해 단기적인 차원에서 외형적 요새화는 진행되고 있으나 중장기적으로 이민과 난민문제에 대한 근원요인을 해소하는 노력이 병기되어야 할 것이다. 중기적으로는 유럽연합 인근국에 존재하는 난민들에 대한 역량강화와 같은 프로그램이 바람직하며 장기적으로는 이민의 뿌리요인을 제거하기 위한 개발협력이 필수적임을 강조하고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선희, "프랑스의 난민정책: EU 공동난민정책의 영향을 중심으로" EU연구소 (42) : 27-63, 2016

      2 김시홍, "지구적 이민, 정체성과 다문화주의 -중동부유럽을 중심으로-"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5 (5): 357-391, 2003

      3 김시홍, "이탈리아의 이민과 다문화주의" 국제지역연구센터 9 (9): 51-72, 2005

      4 김시홍, "유럽연합의 이민정책" 1-14, 2003

      5 송태수, "유럽연합 이민정책의 현황과 전망"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39) : 43-68, 2009

      6 이선필, "유럽연합 공동이민망명정책의 발전과 배타성 연구-유럽정체성과 이민의 안보화를 중심으로" EU연구소 (23) : 3-27, 2008

      7 김시홍, "유럽시민권과 쉥겐 그리고 지중해이민모델" (29) : 2-5, 2012

      8 Anthias, Floya, "Transnational Mobilities, Migration Research and Intersectionality:Towards a translocational frame" 2 (2): 102-110, 2012

      9 Wunderlich, Daniel, "Towards Coherence of EU External Migration Policy? Implementing a Complex Theory" 51 (51): 26-40, 2013

      10 Aras, N. Ela Gokalp, "The international migration and foreign policy nexus: the case of Syrian refugee crisis and Turkey" 12 (12): 193-208, 2015

      1 박선희, "프랑스의 난민정책: EU 공동난민정책의 영향을 중심으로" EU연구소 (42) : 27-63, 2016

      2 김시홍, "지구적 이민, 정체성과 다문화주의 -중동부유럽을 중심으로-"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5 (5): 357-391, 2003

      3 김시홍, "이탈리아의 이민과 다문화주의" 국제지역연구센터 9 (9): 51-72, 2005

      4 김시홍, "유럽연합의 이민정책" 1-14, 2003

      5 송태수, "유럽연합 이민정책의 현황과 전망"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39) : 43-68, 2009

      6 이선필, "유럽연합 공동이민망명정책의 발전과 배타성 연구-유럽정체성과 이민의 안보화를 중심으로" EU연구소 (23) : 3-27, 2008

      7 김시홍, "유럽시민권과 쉥겐 그리고 지중해이민모델" (29) : 2-5, 2012

      8 Anthias, Floya, "Transnational Mobilities, Migration Research and Intersectionality:Towards a translocational frame" 2 (2): 102-110, 2012

      9 Wunderlich, Daniel, "Towards Coherence of EU External Migration Policy? Implementing a Complex Theory" 51 (51): 26-40, 2013

      10 Aras, N. Ela Gokalp, "The international migration and foreign policy nexus: the case of Syrian refugee crisis and Turkey" 12 (12): 193-208, 2015

      11 Takle, Marianne, "The Treaty of Lisbon and the European Border Control Regime" 8 (8): 280-299, 2012

      12 Reslow, Natasja, "The Role of Third Countries in EU Migration Policy: The Mobility Partnerships" 14 : 393-415, 2012

      13 이규영, "The European Union Migration Policy: Focusing on Continuities and Changes after the Fifth EU Enlargement" 한국유럽학회 26 (26): 131-158, 2008

      14 Chou, Meng-Hsuan, "The European Security Agenda and the External Dimension of EU Asylum and Migration Cooperation" 10 (10): 541-559, 2009

      15 Amin, Shahid M., "The EU’s Global Approach to Migration: Towards an EU Immigration Policy with Particular Referene to Muslim Immigrants" 30 (30): 6-22, 2014

      16 Arcarazo, Diego Acosta, "The Development, Application and Implications of an EU Rule of Law in the Area of Migration Policy" 51 (51): 179-193, 2013

      17 Leonard, Sarah, "The Creation of FRONTEX and the Politics of Institutionalisation in the EU External Borders Policy" 5 (5): 371-388, 2009

      18 Yazgan, Pinar, "Syrian Crisis and Migration" 12 (12): 181-192, 2015

      19 Ljungholm, Doina Popescu, "Social Rights of Asylum Seekers and Refugees in the EU" 13 : 164-169, 2014

      20 Barnickel, Christiane, "Shifting Patterns and Reactions –Migration Policy in the New EU Member States" 27 (27): 466-492, 2013

      21 Ghimis Andreia, "Schengen in the spotlight: a Europe with or without borders?" European Policy Centre 2016

      22 Ferreira, Maria, "Risk Politicization Strategies in EU Migration and Asylum Policies" 1 (1): 155-183, 2010

      23 Vollmer, Bastian A., "Policy Discourses on Irregular Migration in the EU – Number Games and Political Games" 13 : 317-339, 2011

      24 Cardwell, Paul James, "New Modes of Governance in the External Dimension of EU Migraton Policy" 51 (51): 54-66, 2013

      25 Lavenex, Sandra, "Multilevelling EU external governance: the role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 the diffusion of EU migration policies" 42 (42): 554-570, 2016

      26 Garnier, Adele, "Migration Management and Humanitarian Protection: The UNHCR’s Resettlement Expansionism and Its Impact on Policy-making in the EU and Australia" 40 (40): 942-959, 2014

      27 Biffl, Gudrun, "Independence migration commissions in Europe: The case of Austria" 11 (11): 43-53, 2014

      28 Thielemann Eiko R., "How effective are national and EU policies in the area of forced migration" 31 (31): 21-37, 2012

      29 Allwood, Gill, "Horizontal policy coordination and gender mainstreaming: The case of the European Union’s Global Approach to Migration and Mobility" 48 : 9-17, 2015

      30 Triandafyllidou, Anna, "Governing Irregular Migration and Asylum at the Borders of Europe: Between Efficiency and Protection" (6) : 1-26, 2014

      31 Bu"yu"kbay, Can, "Europe’s New Political Engine: Germany’s Role in EU’s foreign and security policy" The Finnish Institute of International Studies 193-208, 2016

      32 Lindstrom, Channe, "European Union Policy on Asylum and Immigration. Addressing the Root Causes of Forced Migration: A Justice and Home Affairs Policy of Freedom, Security and Justice" 39 (39): 587-605, 2005

      33 Modiga, Georgeta, "European Perspectives Approach to Asylum and Migration" European Integration: Realities and Perspectives 174-181, 2012

      34 Pirjola, Jari, "European Asylum Policy – Inclusions and Exclusions under the Surface of Universal Human Rights Language" 11 : 347-366, 2009

      35 Bin Talai, El Hassan, "Europe and the future of international refugee policy"

      36 강유덕, "EU의 난민처리 문제와 시사점" (116) : 195-201, 2016

      37 박선희, "EU의 공동이민망명정책의 외재화와 그 문제점" 한국유럽학회 29 (29): 39-64, 2011

      38 이종서, "EU의 공동이민⋅망명정책: 초국적 대응 프로그램의 배경과 한계" 한국유럽학회 28 (28): 169-201, 2010

      39 Triandafyllidou, Anna, "Disentangling the Migration and Asylum Knot. Dealing with Crisis Situations and Avoiding Detention" San Domenico di Fiesole 2013

      40 Cassarino, Jean-Pierre, "Channelled Policy Transfers: EU-Tunisia Interactions on Migration Matters" 16 : 97-123,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2 0.32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2 0.639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