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경험적 내러티브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Aspects of Personal Narratives of First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931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경험적 내러티브 양상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2016년 10월과 2017년 2월에 초등학교 1학년 1개 반을 대상으로 발표 상황에서 주말...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경험적 내러티브 양상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2016년 10월과 2017년 2월에 초등학교 1학년 1개 반을 대상으로 발표 상황에서 주말 지낸 이야기와 겨울 방학 보낸 이야기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 1학년 내러티브의 발달 수준은 3.6수준이며, c-unit의 개수는 2.3개였다. 그리고 초등학교 1학년 경험적 내러티브를 살펴보니 시간-사건-자신의 감정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자신의 경험 중에서 중요한 사건을 선택하여 발표하였다.
      경험적 내러티브 양상에는 성별 차이가 있었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1.6수준 높고, C-unit의 개수는 약 1개 더 많았다. 남학생은 단문으로 짧고 간결하게 말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여학생은 복문으로 길게 이야기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듣기-말하기 지도방법과 교재 개발에 도움을 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aspects of personal narrative discourses of first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researcher analyzed 41 narrative discourses in a class generated from first graders in Sejong. The persona...

      This study explores the aspects of personal narrative discourses of first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researcher analyzed 41 narrative discourses in a class generated from first graders in Sejong. The personal narrative discourses are created on October 2016 and February 2017. They are about the students’ experiences during the weekend and winter vacation. The students selected and presented one important event that occurred during their weekend and vacation. Analysis shows that the students presented their personal narratives using a time-event-emotion structure. In addition, it shows that the level of development, in terms of structure, is 3.6 and 2.3 C-units on average.
      Researcher compared and noted the gender differences in narrative discourses. The level of the female students’ narratives are 1.6 higher and have one more C-units than male students. Furthermore, male students tend to speak short, concise sentences while female students speak with longer and more complex sentences. Therefore, the results are beneficial in developing the listening and speaking aspects of textbooks as well as the teaching methods used with first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정란, "화법교육에서 자아 인식에 관한 실태와 교육적 시사점" 한국화법학회 (24) : 69-100, 2014

      2 김기순, "학령전기 아동의 연령에 따른 이야기 회상 산출 능력"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3 서현석, "초등학교 5·6학년의 경험적 내러티브 분석 연구-학급 내 발표 상황에서 생성된 담화를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학회 (56) : 107-130, 2015

      4 유동엽, "초등학교 4학년의 이야기 능력 발달에 관한 연구" 국어교육연구소 (31) : 107-140, 2013

      5 유동엽, "초등학교 1학년의 이야기 능력 발달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41) : 133-181, 2009

      6 안정아,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텍스트 구성 능력 연구-일기 텍스트를 중심으로" 배달말학회 (53) : 427-455, 2013

      7 서현석, "초등학교 1·2학년의 경험적 내러티브 양상 연구-학급에서의 발표 상황을 중심으로-" 한국화법학회 (23) : 121-139, 2013

      8 권유진, "이야기 다시말하기(story-retelling) 과제를 통한 초등 저학년 아동의 이야기 능력"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1 (11): 72-89, 2006

      9 김홍남, "유치원의 경험 이야기나누기 활동에서 나타난 만 3세반 유아의 일상적 내러티브 특징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0 이영자, "유아의 개인적 내러티브와 가상적 내러티브의 구조 발달 양상 및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5 (25): 173-206, 2005

      1 김정란, "화법교육에서 자아 인식에 관한 실태와 교육적 시사점" 한국화법학회 (24) : 69-100, 2014

      2 김기순, "학령전기 아동의 연령에 따른 이야기 회상 산출 능력"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3 서현석, "초등학교 5·6학년의 경험적 내러티브 분석 연구-학급 내 발표 상황에서 생성된 담화를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학회 (56) : 107-130, 2015

      4 유동엽, "초등학교 4학년의 이야기 능력 발달에 관한 연구" 국어교육연구소 (31) : 107-140, 2013

      5 유동엽, "초등학교 1학년의 이야기 능력 발달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41) : 133-181, 2009

      6 안정아,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텍스트 구성 능력 연구-일기 텍스트를 중심으로" 배달말학회 (53) : 427-455, 2013

      7 서현석, "초등학교 1·2학년의 경험적 내러티브 양상 연구-학급에서의 발표 상황을 중심으로-" 한국화법학회 (23) : 121-139, 2013

      8 권유진, "이야기 다시말하기(story-retelling) 과제를 통한 초등 저학년 아동의 이야기 능력"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1 (11): 72-89, 2006

      9 김홍남, "유치원의 경험 이야기나누기 활동에서 나타난 만 3세반 유아의 일상적 내러티브 특징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0 이영자, "유아의 개인적 내러티브와 가상적 내러티브의 구조 발달 양상 및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5 (25): 173-206, 2005

      11 김봉석, "유아 내러티브 교육의 교육학적 조건과 함의"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57-76, 2012

      12 Robert E. Owens, Jr, "언어발달" 시그마프레스 2001

      13 Gail E. Myers, "대인관계와 의사소통" 집문당 1995

      14 정미라, "논리적 사고를 촉진하는 교사의 발문이 5세 유아의 개인적 내러티브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431-448, 2010

      15 조인숙, "내러티브의 두 가지 이론과 교육에의 시사점 탐구" 한국교육철학회 (60) : 165-191, 2016

      16 조성문, "남녀 유아의 어휘 발달 연구" 한국언어문화학회 (25) : 157-181, 2004

      17 김정란, "국어과 표현교육을 위한 사고과정 연구-경험 말하기 사고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99) : 93-122, 2014

      18 이삼형, "구어 말뭉치의 어휘 분석을 통한 인지적 사고 발달 양상 연구" 한국언어문화학회 (59) : 397-418, 2016

      19 Abbott, H. P., "The Cambridge introduction to narrativ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20 Snow, C. E., "Social sources of narrative skills at home and at school" 10 : 87-103, 1990

      21 Bruner, J., "Narratives from the crib" Harvard University Press 73-97, 1989

      22 McCabe, A., "Narrative development: Six approache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137-174, 1997

      23 Silver, L. D., "Linguistic and pictorial narratives in preschool children: An exploration of the development of symbolic represen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2000

      24 Nelson, K., "Language in cognitive develop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25 McCabe, A., "Developing narrative structure" Lawrence Erlbaum Associate Publishers 137-173, 199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10-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ln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KCI등재
      2017-05-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Association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7 1.07 1.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4 1.04 1.728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