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북지역 백제와 가야의 교통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780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전북지역에서 축적된 고고학 자료를 내륙 교통로의 조직망에 대입시켜 전북지역 백제와 가야의 교통로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성기 백제의 간선 교통로가 통과하는 섬진강 유역은 마한의 지...

      전북지역에서 축적된 고고학 자료를 내륙 교통로의 조직망에 대입시켜 전북지역 백제와 가야의 교통로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성기 백제의 간선 교통로가 통과하는 섬진강 유역은 마한의 지배층 무덤인 말무덤을 제외하면 가야계 중대형 고총이나 가야계 최고급 위세품이 발견되지 않았다. 일제강점기부터 지명의 음상사와 단편적인 고고학 자료 만을 근거로 기문이 있었던 곳으로 비정되었지만 가야계 소국이 없는 것으로 보았다. 백제의 웅진 천도와 그에 따른 백제의 정치적인 혼란기를 틈타 장수 및 운봉지역의 가야가 그 주변지역으로 진출하였다. 장수지역의 가야는 금남호남정맥을 넘어 섬진강 상·중류지역과 진안고원의 금산·진안권을, 운봉지역의 가야는 백두대간을 넘어 섬진강 하류지역을 한 동안 가야의 영향권에 편입시켰다. 장수지역의 가야에 의해 강력한 방어체계가 구축됨으로써 한성기 백제의 간선 교통로가 차단되었고, 결국 웅진기 백제의 간선 교통로가 전주를 거쳐 호남정맥의 슬치를 넘는 루트로 재편성되었다. 동진강 하구의 가야포를 가야의 거점포구로 비정하였다. 대가야를 비롯한 영남 내륙지역과 전북 동부지역에 기반을 둔 가야계 소국들이 남제 등 중국과 교류할 때 주로 이용했던 국제교역항으로 추론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the changing processes of the roads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were studied by substituting the accumulated archeological data into the inland traffic network of the time. In the basin of the Seomjin-gang (river) where the main lines ...

      In this paper, the changing processes of the roads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were studied by substituting the accumulated archeological data into the inland traffic network of the time. In the basin of the Seomjin-gang (river) where the main lines of Hanseong Baekje passed through, there was no middle or large sizes of tombs, nor the highest grade of prestige goods of the Gaya kingdom excavated except some horse tombs which belonged to the Mahan's ruling class. Since Japanese colonial rule, researchers have estimated that there was Gimun based on the homonyms of place names and fragmental archeological data, but they concluded that there was no Gayarelated state there. Baekje's transfer of its capital toWungjin and the following political confusion permitted Jangsu region Gaya and Wunbong region Gaya to advance towards Baekje area. Jangsu region Gaya crossed Geumnam-Honam Jeongmaek and occupied the upper and middle Seomjin-gang areas and Geumsan and Jinan ranges of the Jinan Height. AndWunbong region Gaya crossed Baekdudaegan and took over the lower Seomjin-gang area for some time. Because of the strong defense system constructed by Jangsu region Gaya, the main roads of Hanseong Baekje were blocked. Thus, a new main road system was reorganized centering around Gongju. Gaya port in the Dongjin-gang basin is estimated to have been the central one of Gaya. The port is estimated to have been functioned as an international port when the small states of Gaya founded in Youngnam inland area and the eastern area of Jeollabuk-do traded with foreign nations in Chin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한성기 간선 교통로와 가야의 발전상
      • Ⅲ. 웅진기 간선 교통로의 재편성과 의미
      • Ⅳ. 동진강 하구의 가야포와 내륙 교통로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한성기 간선 교통로와 가야의 발전상
      • Ⅲ. 웅진기 간선 교통로의 재편성과 의미
      • Ⅳ. 동진강 하구의 가야포와 내륙 교통로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승옥, "龍潭댐 無文土器時代 文化의 社會組織과 變遷過程" 호남고고학회 19 : 63-95, 2004

      2 안승모, "龍潭댐 水沒地區의 新石器文化-鎭安 갈머리遺蹟을 中心으로" 호남고고학회 19 : 25-61, 2004

      3 김태식, "호남 동부지역의 가야사, in 전남 동부지역의 가야문화"

      4 李熙濬, "토기로 본 大伽耶의 圈域과 그 변천, in 加耶史硏究"

      5 이기길, "진안 진그늘유적 구석기문화층의 성격과 의미" 호남고고학회 19 : 5-23, 2004

      6 김주성, "죽막동유적의 쇠퇴와 태안마애삼존불" 한국상고사학회 40 : 57-76, 2003

      7 송화섭, "전북 해양문화와 새만금, in 전북의 역사와 문화유산"

      8 조명일, "전북 동부지역 봉수의 분포양상, in 호남지역 문화유적 발굴성과"

      9 곽장근, "전북 동부지역 가야와 백제의 역학관계" 백제문화연구소 2 (2): 29-60, 2010

      10 이형우, "장수 침곡리 구석기유적"

      1 김승옥, "龍潭댐 無文土器時代 文化의 社會組織과 變遷過程" 호남고고학회 19 : 63-95, 2004

      2 안승모, "龍潭댐 水沒地區의 新石器文化-鎭安 갈머리遺蹟을 中心으로" 호남고고학회 19 : 25-61, 2004

      3 김태식, "호남 동부지역의 가야사, in 전남 동부지역의 가야문화"

      4 李熙濬, "토기로 본 大伽耶의 圈域과 그 변천, in 加耶史硏究"

      5 이기길, "진안 진그늘유적 구석기문화층의 성격과 의미" 호남고고학회 19 : 5-23, 2004

      6 김주성, "죽막동유적의 쇠퇴와 태안마애삼존불" 한국상고사학회 40 : 57-76, 2003

      7 송화섭, "전북 해양문화와 새만금, in 전북의 역사와 문화유산"

      8 조명일, "전북 동부지역 봉수의 분포양상, in 호남지역 문화유적 발굴성과"

      9 곽장근, "전북 동부지역 가야와 백제의 역학관계" 백제문화연구소 2 (2): 29-60, 2010

      10 이형우, "장수 침곡리 구석기유적"

      11 이근우, "웅진・사비기 백제와 대가야, in 고대 동아시아와 백제"

      12 양기석, "웅진도읍기의 백제" 백제문화사 2007

      13 곽장근, "웅진기 백제와 가양의 역학관계 연구" 백제연구소 (44) : 85-124, 2006

      14 최영준, "영남대로와 문경, in 길 위의 역사, 고개의 문화"

      15 주보돈, "새로운 大加耶史의 定立을 위하여- 硏究上의 새로운 跳躍을 기대하며" 영남문화연구원 13 (13): 7-60, 2008

      16 김승옥, "상운리 Ⅰ・Ⅱ・Ⅲ"

      17 차용걸, "산성, in 백제의 건축과 토목" 백제문화사 2007

      18 한영희, "부안 죽막동 제사유적 발굴조사 진전보고" 4 : 1992

      19 김종만, "백제토기, in 백제의 미술" 백제문화사 2007

      20 김재홍, "백제시대 수전농업의 발전단계 -금강유역의 자료를 중심으로, in 백제와 금강" 2007

      21 金泰植, "미완의 문명 7백년 가야사" 푸른역사 2002

      22 윤명철, "동아지중해와 고대일본" 청노루 1996

      23 이희준, "대가야 토기 양식 확산 재론" 영남문화연구원 (13) : 111-164, 2008

      24 강원종, "남원 운봉지역의 고대 관방체계" 호남고고학회 27 : 38-70, 2007

      25 장명엽, "남원 봉대리 고분군 Ⅰ, in 2009・2010 호남지역 문화유적 발굴성과"

      26 조효식, "낙동강 중류역 삼국시대 성곽의 분류와 특징" 한국대학박물관협회 (67) : 71-92, 2006

      27 方東仁, "교통, in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97

      28 곽장근, "고고학으로 본 새만금해역, in 서해안의 전통문화와 교류"

      29 이남석, "경기・충청지역 분구묘의 검토, in 분구묘의 신지평"

      30 金元龍, "高靈壁畵古墳調査報告" 2 : 1967

      31 林永珍, "高興 吉頭里 雁洞古墳 試掘調査 槪報" 7 : 2006

      32 趙榮濟, "陜川 玉田古墳群 Ⅴ M10・M11・M18號墳"

      33 群山大學校 博物館, "長水郡의 山城과 烽燧" 2002

      34 池健吉, "長水 南陽里 出土 靑銅器・鐵器 一括遺物" 2 : 1990

      35 全北大學校 全羅文化硏究所, "鎭安地方文化遺蹟地表調査報告書" 1989

      36 群山大學校 博物館, "鎭安 黃山里 古墳群" 2001

      37 尹德香, "鎭安 臥停 百濟城, in 섬진강 주변의 백제산성"

      38 韓南大學校中央博物館, "錦山郡文化遺蹟分布地圖" 2003

      39 忠淸南道歷史文化院, "錦山 栢嶺山城" 2007

      40 全北大學校 博物館, "臥亭遺蹟" 2001

      41 金泰植, "百濟의 加耶地域 關係詞:交涉과 征服, in 百濟의 中央과 地方"

      42 李漢祥, "百濟耳飾에 대한 기초적 연구" 3 : 2000

      43 盧重國, "百濟政治史硏究" 一潮閣 1988

      44 梁起錫, "百濟 熊津時代와 武寧王, in 百濟武寧王陵"

      45 서영일, "漢城 百濟時代 山城과 地方統治" 한국문화사학회 (24) : 5-26, 2005

      46 金承玉, "湖南地域 馬韓 住居址의 編年" 11 : 2000

      47 곽장근, "湖南 東部地域 山城 및 烽燧의 分布樣相" 영남문화연구원 (13) : 211-261, 2008

      48 李宗哲, "松菊里型 住居址에 대한 硏究" 12 : 2000

      49 尹德香, "斗洛里"

      50 文化財管理局, "文化遺蹟總覽" 1975

      51 全榮來, "扶安地方 古代圍郭遺蹟과 그 遺物" 4 : 1975

      52 田中俊明, "大加耶聯盟の興亡と任那" 吉川弘文館 1992

      53 李文基, "大伽耶의 對外關係, in 加耶史硏究"

      54 朴天秀, "大伽耶의 古代國家 形成, in 碩晤尹容鎭敎授停年退任紀念論叢" 1996

      55 成正鏞, "大伽倻와 百濟, in 大加耶와 周邊諸國"

      56 全榮來, "古沙夫里"

      57 姜鳳龍, "古代 東北亞 沿岸航路와 榮山江・洛東江流域, in 加耶, 洛東江에서 榮山江으로"

      58 尹德香, "南陽里" 2000

      59 全榮來, "南原, 草村里古墳群發掘調査報告書" 12 : 1981

      60 全榮來, "南原, 月山里古墳群發掘調査報告"

      61 全榮來, "南原 尺門里山城 調査報告" 12 : 1981

      62 金泰植, "加耶聯盟史" 一潮閣 1993

      63 輕部慈恩, "公州に於ける百濟古墳" 24 (24): 1934

      64 韓修英, "全北地方의 土壙墓" (1) : 2001

      65 趙明一, "全北地域 烽燧의 分布樣相과 性格" 全北大學校大學院 2009

      66 전상학, "全北 東部地域 竪穴式 石槨墓의 構造 硏究" 호남고고학회 25 : 101-130, 2007

      67 全州歷史博物館, "任實郡文化遺蹟分布地圖" 2007

      68 全榮來, "任實 金城里 石槨墓群" 3 : 1974

      69 全榮來, "井邑 雲鶴里 古墳群" 3 : 1974

      70 양기석, "5세기 후반 한반도 정세와 대가야, in 5~6세기 동아시아의 국제정세와 대가야"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7-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ncient Historical Association -> The Society for Ancient Korean History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9 1.69 1.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4 1.57 3.46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