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國語 敎師의 文法 授業 公開 經驗에 대한 事例硏究 = A Case Study on a Korean Teacher’s Experience of an Open Grammar Cla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195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n the basis of a case study on a Korean teacher’s experience of an open grammar class, it is argued that such a class can be defined not as ‘a place for sharing teaching-learning methods’ but as ‘a place for compe- tition between grammar education views’. To do so, this study conducts an episodic interview and analyzes the participant’s experience of preparation for an open class, teaching performance, appraisal, and his reflection. To supplement this analysis, the study also analyzes the teaching-learning scenario in the case class and the teaching materials used.
      This study investigate not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but the tension between views on grammar education within an open grammar class. This study shows that Korean teacher’s grammar education views are not static but dynamic, so it can be changed by reconstruction of experience.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a case study in that it suggests a necessity of qualitative research on experiences of teaching grammar.
      번역하기

      On the basis of a case study on a Korean teacher’s experience of an open grammar class, it is argued that such a class can be defined not as ‘a place for sharing teaching-learning methods’ but as ‘a place for compe- tition between grammar educ...

      On the basis of a case study on a Korean teacher’s experience of an open grammar class, it is argued that such a class can be defined not as ‘a place for sharing teaching-learning methods’ but as ‘a place for compe- tition between grammar education views’. To do so, this study conducts an episodic interview and analyzes the participant’s experience of preparation for an open class, teaching performance, appraisal, and his reflection. To supplement this analysis, the study also analyzes the teaching-learning scenario in the case class and the teaching materials used.
      This study investigate not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but the tension between views on grammar education within an open grammar class. This study shows that Korean teacher’s grammar education views are not static but dynamic, so it can be changed by reconstruction of experience.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a case study in that it suggests a necessity of qualitative research on experiences of teaching gramma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本稿는 國語 敎師의 文法 授業 公開 經驗에 대한 事例硏究를 통해 文法 公開 授業이 ‘敎授․學習 方法 共有의 場’이 아닌 ‘文法敎育觀 角逐의 場’으로 規定될 수도 있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授業 公開를 둘러싼 일련의 과정과 환경적 요인을 폭넓게 고려하기 위해 에피소드 인터뷰를 통해 수업 준비, 시행, 평가회 등 수업을 둘러싼 硏究參與者의 제반 경험을 분석하였고, 敎授․學習 指導案과 기타 授業 資料도 補助的 資料로 參照하였다.
      本稿는 文法 授業 公開 經驗을 단순히 교수․학습 방법 측면에서 다루지 않고 그 이면에 존재하는 文法敎育觀 간의 緊張 關係에 주목하여 문법 수업 공개의 의미를 새롭게 조명하였다. 또, 문법 수업 공개 과정에 나타난 敎授 經驗에 주목함으로써 國語 敎師의 文法敎育觀이 經驗의 再構成을 통해 변화하는 動的 對象임을 밝혔다. 본고는 이러한 논의를 통해 문법 교수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했다는 점에서 事例硏究로서의 意義를 갖는다.
      번역하기

      本稿는 國語 敎師의 文法 授業 公開 經驗에 대한 事例硏究를 통해 文法 公開 授業이 ‘敎授․學習 方法 共有의 場’이 아닌 ‘文法敎育觀 角逐의 場’으로 規定될 수도 있다는 점을 논의하...

      本稿는 國語 敎師의 文法 授業 公開 經驗에 대한 事例硏究를 통해 文法 公開 授業이 ‘敎授․學習 方法 共有의 場’이 아닌 ‘文法敎育觀 角逐의 場’으로 規定될 수도 있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授業 公開를 둘러싼 일련의 과정과 환경적 요인을 폭넓게 고려하기 위해 에피소드 인터뷰를 통해 수업 준비, 시행, 평가회 등 수업을 둘러싼 硏究參與者의 제반 경험을 분석하였고, 敎授․學習 指導案과 기타 授業 資料도 補助的 資料로 參照하였다.
      本稿는 文法 授業 公開 經驗을 단순히 교수․학습 방법 측면에서 다루지 않고 그 이면에 존재하는 文法敎育觀 간의 緊張 關係에 주목하여 문법 수업 공개의 의미를 새롭게 조명하였다. 또, 문법 수업 공개 과정에 나타난 敎授 經驗에 주목함으로써 國語 敎師의 文法敎育觀이 經驗의 再構成을 통해 변화하는 動的 對象임을 밝혔다. 본고는 이러한 논의를 통해 문법 교수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했다는 점에서 事例硏究로서의 意義를 갖는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시정곤, "현대국어 형태론의 탐구" 월인 2006

      2 남가영, "학습자 오개념 형성 요인으로서의 교과서 -중학교 국어 교과서 ‘단어형성법’ 관련 단원을 중심으로-" 우리말글학회 57 : 109-137, 2013

      3 Glesne. C., "질적 연구자 되기" 아카데미프레스 2006

      4 Flick, U., "질적 연구방법" 한울아카데미 2002

      5 Seidman, I., "질적 연구 방법으로서의 면담" 학지사 2006

      6 Creswell, J. W., "질적 연구 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학지사 2007

      7 이홍우, "지식의 구조와 교과" 교육과학사 2006

      8 엄태동, "존 듀이의 경험과 교육" 원미사 2001

      9 진영은, "수업 전문성 재개념화 연구 동향 및 과제" 한국열린교육학회 17 (17): 47-71, 2009

      10 심영택, "수업 비평적 글쓰기 방법에 관한 연구" 국어교육학회 (39) : 379-402, 2010

      1 시정곤, "현대국어 형태론의 탐구" 월인 2006

      2 남가영, "학습자 오개념 형성 요인으로서의 교과서 -중학교 국어 교과서 ‘단어형성법’ 관련 단원을 중심으로-" 우리말글학회 57 : 109-137, 2013

      3 Glesne. C., "질적 연구자 되기" 아카데미프레스 2006

      4 Flick, U., "질적 연구방법" 한울아카데미 2002

      5 Seidman, I., "질적 연구 방법으로서의 면담" 학지사 2006

      6 Creswell, J. W., "질적 연구 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학지사 2007

      7 이홍우, "지식의 구조와 교과" 교육과학사 2006

      8 엄태동, "존 듀이의 경험과 교육" 원미사 2001

      9 진영은, "수업 전문성 재개념화 연구 동향 및 과제" 한국열린교육학회 17 (17): 47-71, 2009

      10 심영택, "수업 비평적 글쓰기 방법에 관한 연구" 국어교육학회 (39) : 379-402, 2010

      11 Yin, R. K., "사례연구방법" 한경사 2009

      12 Bruner, J. E., "브루너 교육의 과정" 배영사 1960

      13 남가영, "문법교육론 자리매김의 두 방향- 문법교육 담론의 생산적 읽기를 바탕으로" 국어교육연구소 (19) : 471-508, 2007

      14 남가영, "문법 탐구 경험의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15 주세형, "문법 지식의 교육적 가치 재발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33 : 561-589, 2005

      16 박혜진, "단어형성법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17 김광해, "국어지식 교육론"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18 김경주, "국어과 수업 전문성의 관점에서 보는 국어 교사의 수업 행위와 그 의미" 청람어문교육학회 (45) : 7-32, 2012

      19 정혜승, "국어과 교과서 채택 기준과 채택한 교과서에 대한 교사의 반응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독서학회 (25) : 347-383, 2011

      20 남가영, "국어 교사의 검정 교과서 선정 경험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4 (14): 53-81, 2011

      21 엄훈, "교실 수업 공개와 참관을 통한 두 국어 교사의 변화와 성장의 체험" 국어교육학회 (19) : 359-418, 2004

      22 오현아, "‘정확성’ 중심 문법 교육관에 대한 반성적 고찰" 한국국어교육학회 (80) : 295-318, 2008

      23 교육과학기술부, "2013년 교원능력개발평가제 시행 기본계획"

      24 정혜승,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국어과 교과서 채택 방식과 맥락" 한국독서학회 (24) : 439-473,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9-29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9 0.942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