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15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초등 음악과 교과역량 및 성취기준에 관한 델파이 조사연구 = A Delphi Survey on Elementary Music Competency and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2015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초등 음악과 내용체계 구성을 위해 2015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초등 음악과 교과역량과 성취기준이 발달장애학생의 음악적 교과역량을 함양하고 교수·학습 및 평가에 적절한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15 초등학교 음악과 교과용 도서에 집필진으로 참여한 현장 교사, 특수교육과, 음악교육 전공교수 총 20명을 대상으로 4개의 음악과 교과역량, 하위요소, 23개의 3-4학년군 성취기준과 24개의 5-6학년군 성취기준의 적합도와 중요도에 대한 델파이 조사를 2회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교과역량, 하위요소, 성취기준에 대한 적합도와 중요도에 대한 평균, 분산, 내용타당도 비율(CVR), 합의도와 수렴도를 계산하고, 서술형 응답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해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였다. 연구결과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초등 3-4학년군 음악과 교과역량에서 1개, 조작적 정의, 하위요소에서 3개의 문항이 적합도와 중요도가 낮았다. 또한 3-4학년군 음악과 성취기준 23개 중 성취기준 13개, 5-6학년군 음악과 성취기준 24개 중 14개가 부적합으로 판명되었다. 이에 최종적으로 음악적 표현, 음악적 감성, 음악적 소통, 음악적 창의성이 교과역량으로 제안되었고, 3-4학년군에서는 17개, 5-6학년군에서는 14개의 성취기준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재의 기본 교육과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대한 문제점과 새롭게 고시될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초등 음악과 교육과정의 방향이 논의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초등 음악과 내용체계 구성을 위해 2015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초등 음악과 교과역량과 성취기준이 발달장애학생의 음악적 교과역량을 함양...

      본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초등 음악과 내용체계 구성을 위해 2015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초등 음악과 교과역량과 성취기준이 발달장애학생의 음악적 교과역량을 함양하고 교수·학습 및 평가에 적절한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15 초등학교 음악과 교과용 도서에 집필진으로 참여한 현장 교사, 특수교육과, 음악교육 전공교수 총 20명을 대상으로 4개의 음악과 교과역량, 하위요소, 23개의 3-4학년군 성취기준과 24개의 5-6학년군 성취기준의 적합도와 중요도에 대한 델파이 조사를 2회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교과역량, 하위요소, 성취기준에 대한 적합도와 중요도에 대한 평균, 분산, 내용타당도 비율(CVR), 합의도와 수렴도를 계산하고, 서술형 응답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해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였다. 연구결과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초등 3-4학년군 음악과 교과역량에서 1개, 조작적 정의, 하위요소에서 3개의 문항이 적합도와 중요도가 낮았다. 또한 3-4학년군 음악과 성취기준 23개 중 성취기준 13개, 5-6학년군 음악과 성취기준 24개 중 14개가 부적합으로 판명되었다. 이에 최종적으로 음악적 표현, 음악적 감성, 음악적 소통, 음악적 창의성이 교과역량으로 제안되었고, 3-4학년군에서는 17개, 5-6학년군에서는 14개의 성취기준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재의 기본 교육과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대한 문제점과 새롭게 고시될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초등 음악과 교육과정의 방향이 논의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 to find out whether the 2015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lementary music, subject competency, and achievement standards are appropriate to cultivate the musical core competency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elphi surveys were conducted twice on four music education competencies, sub-elements, 3rd-4th grade achievement standards, and 5th-6th grade achievement standards. The average, standard deviation, content validity ratio(CVR), convergence, and consensus on subject competency, sub-elements, and achievement criteria were analyzed, and 20 expert opinions were collected through content analysis on descriptive responses. As a result of the Delphi survey analysis, it was found that one competency area was inappropriate in the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and three competency areas were statistically inadequate in operational definitions and sub-elements. In addition, 13 out of 23 music and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3rd-4th grades and 14 out of 24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5th- 6th grades were found to be unsuitable. By adding or modifying the new subject competencies, sub-elements, and achievement standards to the existing ones, the subject competencies of musical expression, musical sensibility, musical communication, and musical creativity were ultimately proposed. Total 17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3rd-4th grade and 14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5th-6th grade were finally presented. Through this study, the direction of the 2022 revised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in elementary music curriculum was presented by seeking ways to improve problems in the current basic music curriculum.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 to find out whether the 2015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lementary music, subject competency, and achievement standards are appropriate to cultivate the musical core competency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 to find out whether the 2015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lementary music, subject competency, and achievement standards are appropriate to cultivate the musical core competency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elphi surveys were conducted twice on four music education competencies, sub-elements, 3rd-4th grade achievement standards, and 5th-6th grade achievement standards. The average, standard deviation, content validity ratio(CVR), convergence, and consensus on subject competency, sub-elements, and achievement criteria were analyzed, and 20 expert opinions were collected through content analysis on descriptive responses. As a result of the Delphi survey analysis, it was found that one competency area was inappropriate in the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and three competency areas were statistically inadequate in operational definitions and sub-elements. In addition, 13 out of 23 music and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3rd-4th grades and 14 out of 24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5th- 6th grades were found to be unsuitable. By adding or modifying the new subject competencies, sub-elements, and achievement standards to the existing ones, the subject competencies of musical expression, musical sensibility, musical communication, and musical creativity were ultimately proposed. Total 17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3rd-4th grade and 14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5th-6th grade were finally presented. Through this study, the direction of the 2022 revised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in elementary music curriculum was presented by seeking ways to improve problems in the current basic music curriculu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현석, "한국 교육과정의 현실과 미래 과제: Speculative Essay Inquiry" 한국교육과정학회 34 (34): 69-101, 2016

      2 민경훈, "특수학교 음악교육의 의미와 2015 개정 특수교육 음악과 기본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한국음악교육공학회 (33) : 39-58, 2017

      3 박남수, "특수학교 교사의 기본 교육과정 평가에 대한 인식과 실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9 (59): 275-299, 2020

      4 전병운, "특수교육 교육과정 실행의 문제점 및 실천 과제" 1-24, 2018

      5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고시 제2015-74호"

      6 박재경,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진로 역량 도출 및 타당화"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2 (22): 17-36, 2016

      7 강은영, "일반교육과정을 적용받는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정당한 평가를 실현하기 위한 평가 방법 탐색- 세분화된 평가준거에 기초한 평가를 중심으로 -"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12 (12): 63-85, 2019

      8 양소영, "음악역량 함양을 위한 창의적 사고과정 기반 초등음악창작수업 사례 개발" 한국예술교육학회 16 (16): 119-138, 2018

      9 교육부, "음악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10 장근주, "음악 교과 역량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 및 평가 실태 조사" 미래음악교육학회 4 (4): 89-110, 2019

      1 강현석, "한국 교육과정의 현실과 미래 과제: Speculative Essay Inquiry" 한국교육과정학회 34 (34): 69-101, 2016

      2 민경훈, "특수학교 음악교육의 의미와 2015 개정 특수교육 음악과 기본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한국음악교육공학회 (33) : 39-58, 2017

      3 박남수, "특수학교 교사의 기본 교육과정 평가에 대한 인식과 실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9 (59): 275-299, 2020

      4 전병운, "특수교육 교육과정 실행의 문제점 및 실천 과제" 1-24, 2018

      5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고시 제2015-74호"

      6 박재경,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진로 역량 도출 및 타당화"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2 (22): 17-36, 2016

      7 강은영, "일반교육과정을 적용받는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정당한 평가를 실현하기 위한 평가 방법 탐색- 세분화된 평가준거에 기초한 평가를 중심으로 -"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12 (12): 63-85, 2019

      8 양소영, "음악역량 함양을 위한 창의적 사고과정 기반 초등음악창작수업 사례 개발" 한국예술교육학회 16 (16): 119-138, 2018

      9 교육부, "음악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10 장근주, "음악 교과 역량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 및 평가 실태 조사" 미래음악교육학회 4 (4): 89-110, 2019

      11 정진원, "역량중심 교육과정 사례 분석 및 음악교육에의 시사점: 영국과 뉴질랜드를 중심으로" 과학교육연구소 52 (52): 489-505, 2013

      12 민경훈, "역량 기반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논의" 한국예술교육학회 18 (18): 143-161, 2020

      13 강은영, "대안평가 적격성 판단을 위한 의사결정과정 탐색 연구 -학습자 특성 및 국가수준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한국통합교육학회 13 (13): 75-100, 2018

      14 오세웅, "기본 교육과정에 의한 교과의 ‘교과 역량’에 대한 비판적 재해석"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12 (12): 135-157, 2019

      15 교육부, "기본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5-81호)"

      16 강은영, "기본 교육과정 성취기준 재해석을 통한 평가준거 성취기준과 평가기준 개발 방향 탐색"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3 (63): 135-163, 2020

      17 이원희, "교육목표는 성취기준으로 대체될 것인가?" 36 (36): 41-61, 2015

      18 백남진, "교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의 개선 방향 탐색: 한국과 미국 과학 교육과정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2 (32): 101-131, 2014

      19 이근호, "OECD Education 2030 교육과정 조사에 따른 역량 중심 교육과정 비교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20 Paraskevas, A., "Beyond consensus : An alternative use of delphi inquiry in hospitality research" 24 (24): 907-924, 2012

      21 Lawshe, C. D.,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18 (18): 563-575, 1975

      22 정윤우, "2015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과학과 성취기준 분석을 통한 성취기준 진술 방안"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12 (12): 71-91, 2019

      23 강옥화,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음악 교과서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독일 바이에른 주 음악과 특수교육 교육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예술교육학회 14 (14): 171-193, 2016

      24 김지혜,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반영된 음악 교과 역량 분석" 한국음악교육학회 48 (48): 33-51, 2019

      25 박지현,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교과 역량 함양을 위한 교과서 모형 개발" 한국음악교육학회 47 (47): 105-125, 2018

      26 교육부,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27 김재우,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특징 분석 - 호주 사회과 교육과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8 (48): 27-48, 2016

      28 고진복, "2011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중 기본교육과정초등학교 국어과 성취기준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49 (49): 193-213,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3 0 1.289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