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斷石山 神仙寺 磨崖佛의 圖像學的 再考 ‒ 삼국시대 授記三尊과 반가상 도상의 전개 ‒ = An Iconographic Approach to the Buddhist Rock Carvinga at Sinseon-sa Temple on Mt. Danseo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809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Buddhist rock carvings of Sinseon-sa Temple on Mt. Danseok can b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first group consists of four statues on the north wall. In this paper I interpreted these images as conveying a message of the “assurance of future ...

      The Buddhist rock carvings of Sinseon-sa Temple on Mt. Danseok can b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first group consists of four statues on the north wall. In this paper I interpreted these images as conveying a message of the “assurance of future enlightenment”. I also suggest that the image of the pensive bodhisattva symbolizes “a person on the boundaries between different dimension”.
      The second group is a Buddha triad consisting of a large Buddhist statue on the eastern side of the north wall and two other figures, one on the east wall and one on the south wall. According to the epigraphy carved into the rock in situ, these statues represent Maitreya Buddha and two bodhisattvas, who look more like monks than bodhisattvas.
      Therefore, if the “two bodhisattvas” mentioned in the epigraphy refers to these two attendant images, I suggest their identities must be Asaṅga and Vasubandhu, the two half-brothers who developed the Yogâcāra system under the teachings of Maitreya.
      The third group consists of two Buddhist dedicator images and one standing small bas relief Buddha. The two dedicator images are supposed to be the bodhisattva disciples described in the epigraphy. So the “two bodhisattvas” mentioned in the epigraphy may also refer to these two standing imag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단석산 신선사 마애불상군은 크게 세 그룹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하나는북벽에 묘사된 네 구의 존상으로서 불입상-보살입상-불입상-반가상이 열지어 있는 구성이다. 본 논고에서는 이...

      단석산 신선사 마애불상군은 크게 세 그룹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하나는북벽에 묘사된 네 구의 존상으로서 불입상-보살입상-불입상-반가상이 열지어 있는 구성이다. 본 논고에서는 이들을 수기도상으로 보고 과거불의 수기로부터 미륵보살(반가상)에 대한 수기로 이어지는 과정으로 해석하였다. 또한삼국시대에 제작된 반가상의 도상적 의미를 중국 돈황막고굴 반가상의 도상적 맥락적을 통해 “경계에 있는 자”로서의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보았다.
      두 번째 그룹은 북벽 동편 바위면의 대형 불입상 및 협시인 동⋅남벽의 마애입상이다. 두 협시는 승려 형상을 하고 있음에도 명문은 ‘미륵불과 두 보살’ 로 지칭하고 있다. 기존에는 두 입상 중 한 구는 민머리의 지장보살, 다른 한구는 정병을 든 관음보살로 보거나, 혹은 가섭⋅아난존자로 보았다. 본 논고는 미륵불을 협시하면서 승려이자 보살로 불릴 수 있는 존재는 유식불교를개창한 무착과 세친일 것으로 추정하였다.
      세 번째 그룹은 북벽 서편 하단의 두 공양자상과 편단우견 불입상 1구이다.
      특히 두 공양자상은 명문에 등장한 발원 주체인 보살계 제자로서 이들이 조성한 ‘미륵과 두 보살’ 중의 보살이 바로 그들 자신인 이들 공양자상을 지칭할 가능성도 있음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성현, "초기대승불교의 계상변화와 그 발전" 한국불교학회 18 : 1993

      2 정영호, "중원봉황리마애반가상과 불⋅보살군" 한국미술사학회 (146⋅147) : 1980

      3 石松日奈子, "중국 북조기 미륵상의 재검토-하생미륵과 성왕상" 동양미술사학회 4 : 2016

      4 강우방, "이기백선생고희기념한국사학논총 上" 일조각 1994

      5 최원식, "신라의 보살계 수용 및 유포" 국사편찬위원회 29 : 1992

      6 주수완, "신라석조반가사유상 연구" 동국대 불교미술문화재연구소 3⋅4 : 1997

      7 이만, "신라 의빈의 유식사상" 한국불교학회 17 : 1992

      8 양은경, "신라 단석산 마애불 - 공양주와 조성시기를 중심으로 -" 부산경남사학회 (62) : 73-100, 2007

      9 문명대, "선방사(배리) 삼존석불입상의 고찰" 국립중앙박물관 23 : 1978

      10 문명대, "백제마애삼존불상의 신연구" 동국대 불교미술문화재연구소 2 : 1995

      1 신성현, "초기대승불교의 계상변화와 그 발전" 한국불교학회 18 : 1993

      2 정영호, "중원봉황리마애반가상과 불⋅보살군" 한국미술사학회 (146⋅147) : 1980

      3 石松日奈子, "중국 북조기 미륵상의 재검토-하생미륵과 성왕상" 동양미술사학회 4 : 2016

      4 강우방, "이기백선생고희기념한국사학논총 上" 일조각 1994

      5 최원식, "신라의 보살계 수용 및 유포" 국사편찬위원회 29 : 1992

      6 주수완, "신라석조반가사유상 연구" 동국대 불교미술문화재연구소 3⋅4 : 1997

      7 이만, "신라 의빈의 유식사상" 한국불교학회 17 : 1992

      8 양은경, "신라 단석산 마애불 - 공양주와 조성시기를 중심으로 -" 부산경남사학회 (62) : 73-100, 2007

      9 문명대, "선방사(배리) 삼존석불입상의 고찰" 국립중앙박물관 23 : 1978

      10 문명대, "백제마애삼존불상의 신연구" 동국대 불교미술문화재연구소 2 : 1995

      11 문명대, "백제 서산 마애삼존불상의 도상해석" 한국미술사학회 (221⋅222) : 1999

      12 권덕주, "대당서역기" 우리출판사 1983

      13 신현숙, "당 규기와 신라 원측의 상위설 연구(Ⅰ)" 한국불교학회 4 : 1979

      14 고혜련, "단석산 미륵삼존불 도상 재고" 신라사학회 (29) : 411-440, 2013

      15 岡澤公子, "興福寺北圓堂安置の無著⋅世親像の名稱に關する一考察" 早稻田大學美術史學會 35 : 1997

      16 黃壽永, "李弘稙博士回甲紀念史學論叢" 신구문화사 1969

      17 石松日奈子, "北魏佛敎造像史の硏究" ブリュッケ 2005

      18 宮治昭, "佛敎學セミナ-" 大谷大學 佛敎學會 2005

      19 서영일, "中原 鳳凰里 磨崖佛 菩薩像群의 造成主體와 그 目的 硏究" 한국문화사학회 (18) : 90-104, 2002

      20 김리나, "三國時代의 捧持寶珠形 菩薩立像 硏究:百濟와 日本의 像을 중심으로" 국립중앙박물관 37 : 1985

      21 Hose, Rajeshwari, "Kizil on the Silk road; Crossroad of commerce & meeting of minds" Marg Publications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7 0.27 0.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5 0.34 0.743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