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면교육 공백에 따른 평생교육 담당자의 인식과 역할 변화 = The Change of lifelong educators’ role and perspective in the absence of face-to-face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768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lifelong educators’ dilemma and change of role and perspective in the era of covid-19 that has caused the absence of face-to-face education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Methods To achieve this purpose, researchers adopted the case study methods. Researchers analyzed lifelong educators’ realities and dilemma in the recent rapid environmental change and explored how they responded to them.
      Results As results, researchers found that lifelong educators faced dilemma related with managing programs, using educational methods and developing educational capacities. Facing dilemma, they tried to investigate and apply alternatives o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During these processes, lifelong educators changed and reestablished their roles and perspectives related with lifelong education.
      Conclu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researchers discussed the future direction of lifelong education.
      번역하기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lifelong educators’ dilemma and change of role and perspective in the era of covid-19 that has caused the absence of face-to-face education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Methods To achieve thi...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lifelong educators’ dilemma and change of role and perspective in the era of covid-19 that has caused the absence of face-to-face education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Methods To achieve this purpose, researchers adopted the case study methods. Researchers analyzed lifelong educators’ realities and dilemma in the recent rapid environmental change and explored how they responded to them.
      Results As results, researchers found that lifelong educators faced dilemma related with managing programs, using educational methods and developing educational capacities. Facing dilemma, they tried to investigate and apply alternatives o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During these processes, lifelong educators changed and reestablished their roles and perspectives related with lifelong education.
      Conclu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researchers discussed the future direction of lifelong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평생교육 담당자들이 코로나19 시대에 직면하게 된 딜레마 상황과 그에 대한 대안모색 과정에서 경험한 역할 및인식의 변화과정을 전환학습 관점을 통해 탐색해 보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해 5년 이상 경험을 가진 평생교육 담당자 6명과 5년 미만의 경험을 가진 담당자 1명 등 경력 및 농촌, 도시, 복합지역등 지역적 요소를 고려하여 총 7명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참여관찰 및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활용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를 주제분석기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최근의 급격한 환경 변화 속에서 평생교육 담당자들은 학습 방법의 변화에 따른 학습 접근성과 기회의 측면에서 시작하여, 주요 영역의 변화와 학습의 질적 측면 등 다양한 영역에서 혼란과 딜레마 상황을 경험하게 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평생교육 담당자들은 대안을 모색하고 실행하는 과정 속에서 자신들의 역할을 다시 재구성하였으며, 기존의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을 변화및 확장시켜 나갔다.
      결론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들은 삶의 필수적 영역으로서의 평생학습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하고 이를 위한행⋅재정적 지원과 평생교육 담당자들의 전문성과 영역별 세분화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번역하기

      목적 본 연구는 평생교육 담당자들이 코로나19 시대에 직면하게 된 딜레마 상황과 그에 대한 대안모색 과정에서 경험한 역할 및인식의 변화과정을 전환학습 관점을 통해 탐색해 보고자 한다...

      목적 본 연구는 평생교육 담당자들이 코로나19 시대에 직면하게 된 딜레마 상황과 그에 대한 대안모색 과정에서 경험한 역할 및인식의 변화과정을 전환학습 관점을 통해 탐색해 보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해 5년 이상 경험을 가진 평생교육 담당자 6명과 5년 미만의 경험을 가진 담당자 1명 등 경력 및 농촌, 도시, 복합지역등 지역적 요소를 고려하여 총 7명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참여관찰 및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활용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를 주제분석기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최근의 급격한 환경 변화 속에서 평생교육 담당자들은 학습 방법의 변화에 따른 학습 접근성과 기회의 측면에서 시작하여, 주요 영역의 변화와 학습의 질적 측면 등 다양한 영역에서 혼란과 딜레마 상황을 경험하게 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평생교육 담당자들은 대안을 모색하고 실행하는 과정 속에서 자신들의 역할을 다시 재구성하였으며, 기존의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을 변화및 확장시켜 나갔다.
      결론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들은 삶의 필수적 영역으로서의 평생학습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하고 이를 위한행⋅재정적 지원과 평생교육 담당자들의 전문성과 영역별 세분화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기용, "한국 평생교육사 관련 연구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1105-1128, 2021

      2 한숭희 ; 양은아 ; 이재열, "한국 평생교육 프로그램 공급패턴 분석 : 2008-2010 평생교육통계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평생교육학회 17 (17): 83-119, 2011

      3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 "평생학습 운영매뉴얼"

      4 윤창국, "평생교육연구에 있어서의 질적연구방법선택 기준 정립에 대한 소고" 한국평생교육학회 19 (19): 1-26, 2013

      5 김진화, "평생교육사의 직업적 전문성과 직무의 탐구" 한국평생교육학회 9 (9): 219-247, 2003

      6 김진화 ; 신다은, "평생교육사의 직무중요도 변화에 관한 연구 : 2007년과 2017년 비교분석과 논의" 한국평생교육학회 23 (23): 55-84, 2017

      7 김경희, "평생교육사의 전문적 역량 성격과 특성 탐색" 한국평생교육학회 15 (15): 357-386, 2009

      8 김진화 ; 김한별 ; 고영화 ; 김소현 ; 성수현 ; 박새봄, "평생교육사 직무모델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평생교육학회 14 (14): 1-31, 2008

      9 이경화, "평생교육기관 유형별 성인학습자의 참여요인 및 기관특성 인식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10 유수란 ; 배을규 ; 이민영, "평생교육강사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주관적경력성공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한국직업교육학회 37 (37): 85-104, 2018

      1 이기용, "한국 평생교육사 관련 연구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1105-1128, 2021

      2 한숭희 ; 양은아 ; 이재열, "한국 평생교육 프로그램 공급패턴 분석 : 2008-2010 평생교육통계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평생교육학회 17 (17): 83-119, 2011

      3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 "평생학습 운영매뉴얼"

      4 윤창국, "평생교육연구에 있어서의 질적연구방법선택 기준 정립에 대한 소고" 한국평생교육학회 19 (19): 1-26, 2013

      5 김진화, "평생교육사의 직업적 전문성과 직무의 탐구" 한국평생교육학회 9 (9): 219-247, 2003

      6 김진화 ; 신다은, "평생교육사의 직무중요도 변화에 관한 연구 : 2007년과 2017년 비교분석과 논의" 한국평생교육학회 23 (23): 55-84, 2017

      7 김경희, "평생교육사의 전문적 역량 성격과 특성 탐색" 한국평생교육학회 15 (15): 357-386, 2009

      8 김진화 ; 김한별 ; 고영화 ; 김소현 ; 성수현 ; 박새봄, "평생교육사 직무모델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평생교육학회 14 (14): 1-31, 2008

      9 이경화, "평생교육기관 유형별 성인학습자의 참여요인 및 기관특성 인식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10 유수란 ; 배을규 ; 이민영, "평생교육강사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주관적경력성공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한국직업교육학회 37 (37): 85-104, 2018

      11 유민희, "평생교육강사의 관계지향성과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조절효과" 한국평생교육학회 20 (20): 1-31, 2014

      12 문이슬 ; 윤창국, "평생교육 환경변화에 따른 평생교육기관장의 기관 기능 및 역할에 대한 인식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2 (22): 475-496, 2022

      13 김진화, "평생교육 프로그램개발론" 교육과학사 2001

      14 김미예, "평생교육 종사자에 관한 연구동향: 2001~2021년 국내 학술지 게재 논문을 대상으로" 대한산업경영학회 19 (19): 67-74, 2021

      15 현영섭, "평생교육 담당자 연구동향: 1998년-2016년 국내 학술지 게재 논문을 대상으로" 한국성인교육학회 20 (20): 65-93, 2017

      16 박경희 ; 한상훈, "평생교육 강사의 핵심 교수역량모델 분석"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6 (6): 373-381, 2016

      17 권두승, "성인교육자의 교수동기, 몰입 및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 한국평생교육학회 13 (13): 161-185, 2007

      18 권두승, "성인교육자론" 교육과학사 2006

      19 권두승, "사회교육 담당자 효능감 척도개발과 그 시사점" 5 (5): 57-76, 1999

      20 Braun, V., "Using thematic analysis in psychology" 3 (3): 77-101, 2006

      21 Mezirow, J., "Understanding transformaion theory" 44 (44): 222-232, 1994

      22 Kowalski, T. J., "The organization and planning of adult Educ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88

      23 Mezirow, J., "The handbook of transformative learning:Theory, research and practice" Jossey-Bass 73-95, 2012

      24 Baumgartner, L. M., "The Handbook of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Research and Practise" Jossey-Bass 99-115, 2012

      25 Cranton, P., "The Handbook of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Research and Practise" Jossey-Bass 3-20, 2012

      26 Rocco, T. S., "The Handbook of Adult and Continuing Education" Stylus Publishing 2020

      27 Mezirow, J., "Self-directed learning:From theory to practice" Jossey-Bass 17-30, 1985

      28 Creswell, J. W., "Research Design :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Mixed Methods" Sage 2013

      29 Mezirow, J., "Learning as transformation : Critical perspectives on a theory in progress" Jossey-Bass 2000

      30 Mezirow, J., "Education for perspective transformation:Women’s re-entry programs in community colleges"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1975

      31 Corbin, J. M.,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Sage 2014

      32 Galbraith, M. W., "Adult learning methods; Aguide for effective instruction" Krieger Publishing company 3-22, 1990

      33 교육부, "2020 한국 성인의 평생학습실태" 한국교육개발원 2020

      34 교육부, "2020 평생교육통계 자료집" 한국교육개발원 2020

      35 교육부, "2020 교육통계분석자료집" 한국교육개발원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