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소크라테스의 도덕교육론 정립을 위한 기초 연구 = A Preliminary Study for Building Socratic Theory of Moral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490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a preliminary study for building Socratic theory of moral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study tried to find general misunderstandings about Socratic view of education and to find a correct understanding about Socratic view of moral education by analyzing Socratic dialogues in the books Plato’s Dialogues. The representative misunderstandings about Socratic view of education are as follows. The first is that Socrates respects only learners’ point of view regardless of the matters of truth or falsehood of educational contents. The second is that Socrates dialogues with interlocutors toward the idea of goodness which is Plato’s concept. The third is that Socratic thought is based on dualism about human and world. The last is the conflict of reason and religion in Socratic life. All these issues are solved when interpreted in the light of Socratic purpose of education, that is, purification of soul. Socrates himself practices it completely. Socrates’ life itself is a model of admirable moral education which includes educational purpose, content, method and evaluation totally.
      번역하기

      This paper is a preliminary study for building Socratic theory of moral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study tried to find general misunderstandings about Socratic view of education and to find a correct understanding about Socratic view of moral ed...

      This paper is a preliminary study for building Socratic theory of moral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study tried to find general misunderstandings about Socratic view of education and to find a correct understanding about Socratic view of moral education by analyzing Socratic dialogues in the books Plato’s Dialogues. The representative misunderstandings about Socratic view of education are as follows. The first is that Socrates respects only learners’ point of view regardless of the matters of truth or falsehood of educational contents. The second is that Socrates dialogues with interlocutors toward the idea of goodness which is Plato’s concept. The third is that Socratic thought is based on dualism about human and world. The last is the conflict of reason and religion in Socratic life. All these issues are solved when interpreted in the light of Socratic purpose of education, that is, purification of soul. Socrates himself practices it completely. Socrates’ life itself is a model of admirable moral education which includes educational purpose, content, method and evaluation total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플라톤의 대화편들에 나오는 소크라테스의 교육사상을 해석·분석하고 특히, 소크라테스의 교육관에 대한 오해들을 고찰함으로써 소크라테스의 도덕교육론을 정립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수행되었다. 소크라테스의 교육관에 대한 대표적인 오해로는 ① 교화의 문제와 관련한 오해, ② 세상과 인간에 대한 일원론적 사고와 이원론적 사고 간의 불명확성, ③ 이성과 신앙의 문제에 대한 다양한 해석, ④ 좋음의 이데아의 개념에 대한 해석 및 적용상의 문제 등이다. 이 모든 논점들은 소크라테스가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교육의 목적, 즉 영혼의 정화와 그 정화된 영혼에 의해 육체적 욕망을 떠나 진리와 선을 추구하는 삶을 사는 인간을 길러내는 것에 비추어 해석할 때 해결의 실마리가 도출된다. 소크라테스의 도덕교육론의 핵심은 소크라테스의 삶 자체는 도덕교육의 모범적인 내용이 되며 영혼을 깨끗하게 하기 위하여 자신의 삶을 성찰하고 검토하는 방법은 곧바로 훌륭한 도덕교육의 방법인 동시에 평가의 방법이 된다는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플라톤의 대화편들에 나오는 소크라테스의 교육사상을 해석·분석하고 특히, 소크라테스의 교육관에 대한 오해들을 고찰함으로써 소크라테스의 도덕교육론을 정립하기 위한 기�...

      본 연구는 플라톤의 대화편들에 나오는 소크라테스의 교육사상을 해석·분석하고 특히, 소크라테스의 교육관에 대한 오해들을 고찰함으로써 소크라테스의 도덕교육론을 정립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수행되었다. 소크라테스의 교육관에 대한 대표적인 오해로는 ① 교화의 문제와 관련한 오해, ② 세상과 인간에 대한 일원론적 사고와 이원론적 사고 간의 불명확성, ③ 이성과 신앙의 문제에 대한 다양한 해석, ④ 좋음의 이데아의 개념에 대한 해석 및 적용상의 문제 등이다. 이 모든 논점들은 소크라테스가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교육의 목적, 즉 영혼의 정화와 그 정화된 영혼에 의해 육체적 욕망을 떠나 진리와 선을 추구하는 삶을 사는 인간을 길러내는 것에 비추어 해석할 때 해결의 실마리가 도출된다. 소크라테스의 도덕교육론의 핵심은 소크라테스의 삶 자체는 도덕교육의 모범적인 내용이 되며 영혼을 깨끗하게 하기 위하여 자신의 삶을 성찰하고 검토하는 방법은 곧바로 훌륭한 도덕교육의 방법인 동시에 평가의 방법이 된다는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종현, "플라톤의 필레보스" 서광사 2004

      2 박종현, "플라톤의 티마이오스" 서광사 2000

      3 박종현, "플라톤의 네 대화편: 에우티프론, 소크라테스의 변론, 크리톤, 파이돈" 서광사 2003

      4 박종현, "플라톤의 국가·정체" 서광사 1997

      5 장영란, "플라톤의 교육: 영혼을 변화시키는 힘" 살림출판사 2009

      6 Barrow, R., "플라톤과 교육" 문음사 1996

      7 김영균, "플라톤 철학과 그 영향" 서광사 11-37, 2001

      8 박승억, "플라톤 철학과 그 영향" 서광사 417-438, 2001

      9 박종현, "프로타고라스/라케스/메논" 서광사 2010

      10 Bordt, M., "철학자 플라톤" 이학사 2003

      1 박종현, "플라톤의 필레보스" 서광사 2004

      2 박종현, "플라톤의 티마이오스" 서광사 2000

      3 박종현, "플라톤의 네 대화편: 에우티프론, 소크라테스의 변론, 크리톤, 파이돈" 서광사 2003

      4 박종현, "플라톤의 국가·정체" 서광사 1997

      5 장영란, "플라톤의 교육: 영혼을 변화시키는 힘" 살림출판사 2009

      6 Barrow, R., "플라톤과 교육" 문음사 1996

      7 김영균, "플라톤 철학과 그 영향" 서광사 11-37, 2001

      8 박승억, "플라톤 철학과 그 영향" 서광사 417-438, 2001

      9 박종현, "프로타고라스/라케스/메논" 서광사 2010

      10 Bordt, M., "철학자 플라톤" 이학사 2003

      11 한글학회, "우리말 큰 사전" ㈜어문각 1996

      12 박규철, "역사적 소크라테스와 등장인물 소크라테스" 동과서 2003

      13 김태길, "서양철학사" 을유문화사 1988

      14 이영문, "도덕교육의 방법으로서의 일렌쿠스"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창간) : 167-189, 1996

      15 이영문, "도덕과교육" 형설출판사 2001

      16 조무남, "교육학대백과사전" 하우동설 1998

      17 이돈희, "교육철학개론" 박영사 1977

      18 Kierkegaard. S., "The Sickness Unto Death" Penguin Books 1989

      19 Lee, Y., "Socratic Elenchus and Curriculum Development" The Ohio State University Dissertation 1991

      20 Vlastos, G., "Socrates: Ironist and Moral Philosoph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21 Hamilton, E., "Plato: The Collected Dialogu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1

      22 Lamprecht, S. P., "Our philosophical traditions: A brief history of philosophy in Western civilization" Appleton-Century-Crofts 195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10-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Moral Education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도덕교육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moral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6 0.76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6 1.316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