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교육과정의 실행을 파악하는 여러 가지 방법 중 실행 형태를 중심으로 과학과 탐구 교육과정의 실행이 어떠한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784214
대전 : 忠南大學校 大學院, 2009
학위논문(박사) -- 忠南大學校 大學院 , 敎育學科 敎育心理 및 敎育課程 專攻 , 2009. 8
2009
한국어
370 판사항(22)
대전
(A) Study on Variations of Implementation in the Elementary Science Inquiry Curriculum in Korea
viii, 150p. ; 26cm.
충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金斗楨
부록: 1, 구성요소 및 변이 파악을 위한 인터뷰 및 수업 전사 자료. -- 2, 탐구 교육과정 체크리스트 설문지. -- 3, A교사의 수업전사기록. -- 4, B교사의 수업전사기록. -- 5, C교사의 수업전사기록. --
참고문헌: p.99-10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교육과정의 실행을 파악하는 여러 가지 방법 중 실행 형태를 중심으로 과학과 탐구 교육과정의 실행이 어떠한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
본 연구는 교육과정의 실행을 파악하는 여러 가지 방법 중 실행 형태를 중심으로 과학과 탐구 교육과정의 실행이 어떠한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초등학교 과학과 탐구 교육과정 실행 형태는 무엇인가?
1-1. 과학과 탐구 교육과정 실행 형태의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1-2. 과학과 탐구 교육과정 실행 형태의 변이는 어떠한가?
2. 초등학교 교사의 과학과 탐구 교육과정 실행 형태는 어떠한가?
2-1. 교사들의 과학과 탐구교육과정 실행 형태는 무엇인가?
2-2. 교사들의 과학과 탐구 교육과정 실행 형태는 교사들의 특성에 따라 다른가?
2-3. 과학과 탐구 교육과정의 실행 형태는 실제 수업에서 어떻게 나타나는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관련문헌과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개발에 참가한 전문가와의 인터뷰를 실시하여 구성요소를 파악하였으며, 교사들의 수업과 인터뷰를 통해 구성요소를 검증하면서, 이에 따른 변이를 탐색하였다. 과학과 탐구 교육과정 실행 형태의 구성요소와 변이를 파악한 결과에 따라 체크리스트를 구성하고, 이를 통하여 교사들의 실행 형태를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에 응답한 교사들의 결과에 따라 교사들의 과학과 탐구 교육과정 실행 형태를 파악하고, 교사들의 특성에 따른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탐구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교사들의 수업을 관찰하여, 탐구 교육과정 실행 형태와 비교하여 의미를 탐색해 보았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과학과 탐구 교육과정 실행 형태의 구성요소는 13가지로 파악될 수 있다. 동기유발 및 학습문제 인식, 교사-학생의 상호작용, 실험방법 탐색 및 실험, 실험결과 확인, 학습정리, 실생활 관련성, 실험시 안전지도, 평가, 학생들간의 협동, 조사․토의학습, 실험시 학생모둠 편성 등이 필수요소이고, 자료의 활용이나 교과서 내용의 재구성은 관련요소로서 포함된다. 이들은 탐구 교육과정을 실행할 때 가장 중점을 두고 실행해야 하는 부분으로서, 탐구 교육과정을 설명하는 것뿐만 아니라 관찰할 때에도 그 기준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둘째, 탐구 교육과정 실행 형태의 구성요소별 변이는 개발자가 의도한 모습과 비교해서 일치하거나 일치하지 않는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낼 수 있다. 구성요소별로 변이는 3가지에서 5가지로 구성되며, 이들은 이상적 실행, 수용 가능한 실행, 수용 불가능한 실행으로 구분될 수 있다. 구성요소별 다양한 변이들로 구성된 체크리스트를 작성하여 교사들의 교육과정 실행 형태를 파악하고 설명할 수 있다.
셋째, 교사들의 과학과 탐구 교육과정의 실행 형태를 파악한 결과, 초등학교 교사들은 과학과 교육과정 개발 당시 의도하고 계획한 이상적 실행과 수용 가능한 실행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있다. 이상적 실행이라고 파악한 내용은 국가 수준 교육과정을 전제하고 있는 우리의 교육 현실에서 교육과정 계획에 의거하여 개발자가 파악한 내용이며, 교사들이 이상적 실행에 가깝게 수업을 하고 있다는 것은 교사들이 교육과정 계획을 중요하게 여기고 이에 벗어나지 않게 실행하고자 한다는 것이다.
넷째, 교육과정 실행 형태는 교사의 특성과 관련이 있다. 이상적 실행과 변이로서 나타나는 실행과의 구분이 명확한 학습정리나 조사․토의 학습의 경우에는 여자 교사가 남자교사보다, 고경력의 교사가 저경력의 교사보다 더 이상적으로 실행하고 있다. 그리고 학생협동에 대해서는 남자교사와 여자교사들의 실행 형태의 차이가 있으며, 평가에 대해서는 남자교사들이, 고경력의 교사일수록, 그리고 중소도시에 소재하는 교사일수록 결과보다는 과정평가를 많이 한다.
다섯째, 실제 수업관찰을 통해서 과학과 탐구 교육과정 실행 형태를 비교해 본 결과, 다양한 변이로서 파악된다. 다양한 변이는 실행 형태 파악에서 개발자가 의도하지 못한 상황이나 학생별 상이한 경험으로 인한 것이다. 동일한 학습주제에 대해 학습목표를 다르게 인식하기도 하며, 교사가 주도하는 수업이나 형식을 강조하는 수업 속에서 학생들의 탐구활동이 경시될 수도 있다. 이는 교육과정 실행 형태의 파악을 위해 내용을 관련시킬 필요와 함께, 학생 경험을 포함한 교실 맥락이 중요함을 알 수 있게 해 준다.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교육과정 실행 형태는 학생들 전체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경향성이라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실제 수업을 관찰해보면, 학생들의 경험은 동일하지 않다. 수업의 흐름에서 소외되는 학생들이 있으며, 이들에 의해 교육과정 실행 형태는 더욱 다양한 변이로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결론을 통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할 수 있다.
첫째, 교육과정 실행 형태는 여러 가지 변이의 형태로서 파악이 된다. 국가수준에서 기대하고 계획한 이상적 실행모습이 있지만, 실제 관찰되는 변이가 이와 일치하지 않을 때, 이를 극복대상으로 여길 것이 아니라 변이가 나타날 수 밖에 없는 상황과 맥락을 고려한 이해 대상으로 파악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육과정 실행 형태에 대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교과서를 포함한 교육과정 계획에 대한 환원자료로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실행 형태의 변이로서 파악한 결과에 따라 교과서 내용에 대해 문제가 발견되거나, 계획에서 예상하지 못한 결과를 토대로 이후에 이루어지는 개발과정에 환원되어 유용한 자료로서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교사의 개인 특성에 따라 차이 나는 교육과정 실행 형태의 결과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교사의 특성에 관한 교육과정 실행 형태의 차이를 규명함으로써, 그 결과에 따라 교사의 특성별로 요구되는 지원 및 연수대책을 강구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교육과정 계획과 실행의 발전을 위해, 문서상의 기준을 넘어서 개발에 참여한 전문가와 수업자간의 의사소통의 장을 확대해야 한다. 실행을 하는 교사들의 입장에서 의문이 생기거나 문제가 있는 경우, 또 개발자의 입장에서 실행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하는 경우를 위하여,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통로가 제도적으로 마련될 때, 누구나 실행과 개발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면서, 교육과정이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ariations of implementation on the science inquiry curriculum in the elementary schools.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dissertation focuses on the teachersvariationsofimplementationonitsscienceinq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ariations of
implementation on the science inquiry curriculum in the elementary
schools.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dissertation focuses on the
teachersvariationsofimplementationonitsscienceinquirycurriculum.
1. What is the implementation of elementary science inquiry
curriculum?
1-1. What are the components of implementation in the elementary
scienceinquirycurriculum?
1-2.How arethevariationsimplementedintheelementaryschool?
2. How are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variations of
implementationonthescienceinquirycurriculum?
2-1. What are teachers' variations of components in the science
inquirycurriculum?
2-2. Are teachers' variations of implementation different according
totheirbackgrounds?
2-3. How are the variations of implementation of science inquiry
curriculum indifferentteachers'classroom?
To answer these questions, the researcher examined professional
literatures that related to science inquiry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s. and interviewed the developer of the curriculum. In order to
understand its components and variations, fully in an educational sense,
the framework of the science inquiry curriculum must be observed in
the classroom. With these components and variations, the checklist for
examining the variations of implementation in the science inquiry
curriculum is completed. This checklist is used to collect some data
about teachers' variations of implementation in the elementary science
inquiry curriculum. Major data collection typically involves
administering the checklist to a large sample of teachers. For more
intensive understanding variations of implementation in the elementary
science inquiry curriculum, the implementation of science inquiry
curriculum isobservedagain.
Theresultsofthisresearchareasfollows.
First, the components of implementaion in the science inquiry
curriculum are motivation, teacher-student communication, experiment,
result, conclusion, relation to life experience, safety guard, evaluation,
cooperation, investigation & discussion, grouping, materials and
reconstructionofcontents.
Secondly, each component has the variations in the elementary
science inquiry curriculum, including ideal, acceptable, and unacceptable
implementation.
Thirdly, information from the checklist data states that mo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implement the science inquiry curriculum
within the ideal or acceptable range of variations. This means that
teachers think it is important to practice according to the national
curriculum plan.
Fourth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tions of implementation
and teacher's personnel background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specially, conclusion, investigation & discussion and teachers' sex,
carrier,schoollocation.
Finally, larger ranges of variations are observed on students'
personalexperiences,whilescienceinquirycurriculum isimplemented.
Withtheresultsabove,recommendationsareasfollows:
First, the variations of implementation are understood according to
the schools context, and it's compared with the national curriculum
plan.
Secondly, the variations of implementation will be used as the
feedbacktothenextcurriculum development.
Thirdly, the description of the extent of variations ofimplementation provides subsequent activities for teachers on
components needing the most assistance including consultation, training,
andadditionalresources.
In the end, the chance of communication between developers and
teacherswillbeimproved.
목차 (Table of Contents)
1 교육인적자원부, "과학5-2", 2005
2 Dewey, John, "How we think", [s.n., 1910
3 Goodlad, "Whatschoolsarefor", What schools are for, 1979
4 Lincoln, Yvonna S, "Naturalistic inquiry", Sage Publications, 1985
5 Rogers, "Diffusion of Innovation", 1995
6 Bruner, Jerome S, "The process of education", Vintage Books, The process of education, 1960
7 Pinar, "Understanding Curriculum", Peter Lang, null
8 Parsons, C., "The curriculum change game", The curriculum change game, 1987
9 MacDonald, "Theories of instruction. ASCD", 1965
10 Gratthorn, "Developing a quality curriculum", 1994
1 교육인적자원부, "과학5-2", 2005
2 Dewey, John, "How we think", [s.n., 1910
3 Goodlad, "Whatschoolsarefor", What schools are for, 1979
4 Lincoln, Yvonna S, "Naturalistic inquiry", Sage Publications, 1985
5 Rogers, "Diffusion of Innovation", 1995
6 Bruner, Jerome S, "The process of education", Vintage Books, The process of education, 1960
7 Pinar, "Understanding Curriculum", Peter Lang, null
8 Parsons, C., "The curriculum change game", The curriculum change game, 1987
9 MacDonald, "Theories of instruction. ASCD", 1965
10 Gratthorn, "Developing a quality curriculum", 1994
11 Behar, Ounstein, "Contemporary issues in curriculum", 1995
12 Fullan, Michael, "The meaning of educational change",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1982
13 김두정, "한국 학교교육과정의 탐구", 한국 학교 교육과정의 탐구, 2002
14 강현석, "현대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학지사, 현대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2005
15 김명숙, "탐구학습의 연구 경향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2007
16 민용성, "한국 교사의 교수유형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17 Fullan, "The three stories of education reform", 2000
18 T anner D./ T anner L, "Curriculum Development theory intopractice", Curriculum development: Theory into practice, 1980
19 Schwab, Joseph J, "Science, curriculum, and liberal education", Univ. of Chicago Press, "Science, 1978
20 교육인적자원부,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과학 5-2", 2004
21 McNeil, John D, "Contemporary curriculum in thought and action", John Wiley & Sons, 2006
22 손승희, "교육과정 실행과 실행형태의 탐색",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연구논총, 2008
23 Tyler, Ralph W,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Chicago University Press, 1971
24 이명제, "과학 교육과정 개혁 연구의 쟁점들",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04
25 Zumwalt, Snyder, "Curriculum implementation. In P. W. Jackson (Ed.)", Curriculum implementation. In P.W. Jackson(Ed.), 1992
26 Fullan, Pomfret, "Research on curriculum instruction implementation", 1977
27 조호제, "국가 수준 교육과정의 실행 양상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8
28 이명제, "제 7 차 과학과 교육과정의 특성과 과제", 한국지구과학회,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2(3), 2001
29 Fuller, "Concerns of teachers: A development conceptualization", 1969
30 임경희, "중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양상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학교교원대 석사학 위논문, 2007
31 배진호, 장명덕, 신영준, 권난주, 노석구, 이희순, 여상인, "초등과학 탐구수업 지도자료의 활용 실태",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초등과학교육, 2005
32 정희섭, "통합교육 장면에서의 교육과정 실행 방략", 대구대학교 대학원, 대구대 박사학위논문, 2004
33 Hall, Gene E., "Implementing change : patterns, principles, and potholes", Allyn and Bacon, "Implementing change, 2001
34 박승렬, "교사변인과 교육과정 실행 간의 관계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한국교원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008
35 김민환, "교사의 교육과정 인식과 실천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1999
36 Zais, "The research basis for performance-based teacher education", 1976
37 주정흔, "창의성 교육과정의 ‘실천성’에 관한 연구", 2007
38 Corbett, Firetstone, Rossman, "Change and effectiveness in schools: A cultural perspectives", 1988
39 Klein, "A perspective on the gap between curriculum theory andpractice", A Perspective on the gap between curriculum theory and Practice, 1992
40 Roy, Hord, "Innovation configuration chart a measured course toward change", 2004
41 Kliebard, Herbert M, "Changing course : American curriculum reform in the 20th century", Teachers College Press, 2002
42 박재정, "초등학교 체육수업 실제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2006
43 M.W.McLaughlin, Darling-Hammond, "Policies that support professional development in an era of reform", Policies that support professional development in an era of reform, 1995
44 한광래, 문병찬, 류재인, "초등학교 학생들의 어림 및 측정능력에 관한 연구", 朝鮮大學校 師範大學 附設 敎科敎育硏究所, "교과교육연구, 2004
45 박승재, "실험활동중심의 초?중등 과학 탐구 교육 진흥 방안", 2002
46 Willis, Marsh, "Curriculum: Alternative apprpach, ongoing issues. Upper saddle river", "Curriculum: Alternative apprpach, 2003
47 Desimore, "How can comprehensive school reform models be successfullyimplemented?", 2002
48 김이천, "초등학교 재량활동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와 실행분석", 초등학교 재량활동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와 실행 분석, 2005
49 최준호, "초등학교 제7차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50 Short, "Threelevelsofquestionsaddressedinthefieldofcurriculumresearchandpractice", Three levels of questions addressed in the field of curriculum research and practice, 1993
51 이미숙, "제 6 차 '슬기로운 생활' 통합교육과정의 실행형태 분석", 1998
52 Cho, "Rethinking Curriculum implementation: paradigms, models, and teachers' work", "Rethinking curriculum implementation: Paradigms, 1998
53 남창일, "제 7차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시·도 교육청 지원 체제 분석", 제 7차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시?도 교육청 지원 체제 분석, 2002
54 박지연, "7차 초등 국어과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의 실행 형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7차 초등 국어과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의 실행 형태, 2005
55 Maxwell, "Qualitative research design, An interactive approach, 2nd edition. Thousand oaks", "Qualitative research design, 2005
56 권정국, "제7차 체육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 및 실행 수준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제 7차 체육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 및 실행 수준 연구, 2006
57 Ariav, "Growth in teachers' curriculum knowledge through the process of curriculum analysis", 1988
58 Kern,A., Roehrig,G.H., Kruse,R.A., "Teacher and school characteristics and their influence on curriculum implementation", 2007
59 김금철, "제7차 체육교육과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관심도와 활용도",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제 7차 체육교육과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관심도와 활용도, 2003
60 박명희, 권용주, 박윤복, "초등학생들의 어항 관찰활동에서 나타난 관찰의 유형과 그 변화",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05
61 Dass, "Implementation of instructional in K-8 science classes: Perspectives of inservice teachers", 2001
62 김현희, "수준별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관심 수준과 실행수준의 관계 분 석",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63 조현준, 양일호, 최진복, "초등학교 발견실험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사들의 교수행동 절차 분석", 2007
64 정진우 ( Jin Woo Jeong ), 김진국 ( Jin Kuk Kim ), 이근준 ( Keun June Lee ), "중학교 과학 실험 수업에서 초임 과학 교사들의 탐구 지도 수준 분석", 한국지구과학회, 2006
65 문혜영, "제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에 따른 실행실태 연구",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제 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에 따른 실행실 태 연구, 2007
66 정미령, "유치원 교육과정의 탐구생활영역에 대한 교사의 관심과 실행수준 연구", 2006
67 이동희,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관심도 및 실행형 태 연구", 2001
68 Bernman, McLaughlin, "Federal programs supporting educational change: 7, Factors affecting implementation and continuation", 1977
69 McLaughlin, "Implementation as mutual adaptation: Change in classroom organization, The curriculum studies reader", "Implementation as mutual adaptation: Change in classroom organization, 1976
70 천일석, "일반계 고등학교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실행에 대한 영향요인과 실행수준 분석", 조선대학교 대학원, 일반계 고등학교 선택 중심 교육과정의 실행에 대한 영향요인과 실행수준 분석, 2006
71 최선미, "생물교사의 탐구 수업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지식과 선입관의 구 성주의적 분석", 2007
72 Means, Penuel, "Implementation variation and fidelity in an inquiry science program: Analysis of GLOBE data reporting patterns", 2004
73 김수경, "과학 탐구 과정 요소의 계열성을 고려한 중학교 물리 영역 탐구 모듈의 개발과 적용",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74 진성원, "수준별 수업에 대한 체육교사의 관심도, 실행형태 연구 : 수원소재 중학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수준별 수업에 대한 체육교사의 관심도, 2007
75 권난주,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의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 -탐구수업 지도자료와 과학완구의 활용", 韓國敎員大學校 敎育硏究院, 2005
76 조선경, "중학교 체육교사의 제 7차 교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도, 실행 형태 및 실행주준의 관계", "중학교 체육교사의 제 7차 교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도, 2006
77 이남주, "문제해결형 탐구실험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관련 태도와 언어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78 Penn, Marsh, "Engaging students in innovation instruction: An application of the stages of concern framework to studying student engagement", 1988
79 Hall, Loucks, "Innovation configuration: Analyzing the adaptations of innovations. In Procedures for adapting educational innovations program", 1978
80 이봉우, 김희경, 박보화, "우리나라 과학 교과서에 나타난 기초 탐구 과정 분석: 분류, 예상 및 추리 탐구 요소를 중심으로",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우리나라 과학 교과서에 나타난 기초 탐구 과정 분석: 분류, 2007
81 이근준, "중학교 초임과학교사들의 실험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수행동요소와 탐구요소, 탐구수준에 대한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중학교 초임과학교사들의 실험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수행동 요소 와 탐구요소, 2005
82 박인옥, "사회과 교사의 교과서 활용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제 7차 고등 학교-사회 교과서 구현 방식을 중심으로", 2005
83 O'Donnell, "Defining, conceptualizing, and measuring fidelity of implementation and its relationship to outcomes in K?12 curriculum intervention research", "Defining, 2008
84 Hopkins, "Integrating teacher development and school improvement: A study in teacher personality and school climate. In B. Joyce(Ed.), Changing school culture through staff development", "Integrating teacher development and school improvement: A study in teacher personality and school climate. In B. Joyce(Ed.),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