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아 전통음악 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태를 조사하고, 교사의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008538
청원군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7
학위논문(석사)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2007. 2
2007
한국어
372.218
충청북도
viii, 109 p. : 삽도 ; 26 cm
지도교수 : 최기영
참고문헌 : p.88-9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 전통음악 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태를 조사하고, 교사의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
본 연구는 유아 전통음악 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태를 조사하고, 교사의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 전통음악 교육의 필요성 및 목적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은 어떠하며, 이는 교사의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유아 전통음악 교육의 내용에 대한 실태는 어떠하며, 이는 교사의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유아 전통음악 교육의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실태는 어떠하며, 이는 교사의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4. 유아 전통음악 교육의 평가에 대한 실태는 어떠하며, 이는 교사의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5. 유아 전통음악 교육의 문제점 및 교사 연수에 대한 실태는 어떠하며, 이는 교사의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남도 소재 공립유치원에 근무하는 유치원 교사 239명이었다.
연구 도구는 유아 전통음악 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태를 조사하기 위한 교사용 설문지로 선행 연구와 문헌 고찰, 예비 조사, 내용 타당도 검증 등의 과정을 거쳐 연구자가 제작한 것이었다.
유아 전통음악 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고, 교사의 경력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X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전통음악 교육의 필요성 및 목적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교사들은 유아 전통음악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고, 그 이유는 유아기부터 우리나라 정서와 문화를 느끼게 하기 위해서라고 인식하였다. 또한 교사들은 유아 전통음악 교육의 주된 목적을 민족적 문화 정체감 형성이라고 인식하였다.
유아 전통음악 교육의 필요성 및 목적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교사의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유아 전통음악 교육의 내용에 대한 실태를 살펴본 결과, 교사들은 대부분의 하위내용들을 어느 정도 실시하였으나, 전통악기 탐색 및 다루기의 하위내용인 전통악기 합주하기와 전통춤 탐색 및 표현하기의 하위내용인 전통 기본 춤사위를 이용하여 창의적 동작 만들기는 거의 실시하지 않았다.
유아 전통음악 교육의 내용에 대한 실태는 전통악기 소리 듣고 구별하기, 기본 장단 연주하기, 전통악기 합주하기, 우리 노래 부르기, 전통 기본 춤사위를 이용하여 창의적 동작 만들기에서 교사의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유아 전통음악 교육의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실태를 살펴본 결과, 유아 전통음악 교육을 위한 연간계획 수립은 38% 정도의 교사들이 실시하였으며, 대부분의 교사들은 생활주제와 통합하여 실시하였다. 교사들은 ‘우리나라와 다른 나라’의 생활주제에서 유아 전통음악 교육을 많이 실시하였으며, 집단구성은 대집단이 많았고, 시연 후 그대로 따라하기의 교수전략을 많이 사용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교사들은 교사 자신이 직접 유아 전통음악 교육을 담당하였고, 유아 전통음악 교육을 위하여 교육인적자원부 지도 자료 및 각종 장학자료를 많이 참고하였으며, 활용하는 교수매체로 실물자료가 가장 많았다.
유아 전통음악 교육의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실태는 유아 전통음악 교육의 실시 방법에서 교사의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유아 전통음악 교육의 평가에 대한 실태를 살펴본 결과, 교사들은 이야기 나누기를 통해 유아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유아 전통음악 교육의 평가결과를 교수-학습 방법 개선자료로 많이 활용하였다. 반면, 많은 교사들은 유아 전통음악 교육활동과 교사 자신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지 않았다.
유아 전통음악 교육의 평가에 대한 실태는 교사의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다섯째, 유아 전통음악 교육의 문제점 및 교사 연수에 대한 실태를 살펴본 결과, 유아 전통음악 교육의 가장 큰 문제점은 교사의 소양 부족이었고 그 다음으로는 교재․교구의 부족과 유아 전통음악 교육활동 및 참고자료 부족 순이었다. 많은 교사들이 전통음악에 대한 연수 경험이 있었으며, 연수 방법으로는 실기 중심의 기능 익히기가 많았으며, 연수 내용으로는 전통악기 다루기가 많은 반면, 전통춤 익히기나 다양한 전통음악 감상하기, 전통음악의 기초지식에 대한 연수 경험은 적었다.
유아 전통음악 교육의 문제점 및 교사 연수에 대한 실태는 전통음악의 연수 경험에서 교사의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