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인근로자의 인권침해 실태에 관한 사례연구 = Case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Senior Workers’ Human Rights Abus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366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case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senior workers’working rights as well as human rights and provide foundational material to enhance socialrecognition of the elderly’s human right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case study, there existvarious human rights abuses cases such as threatening senior workers’ health rights, damageresulted from the application of the inclusive wage system, verbal violence from customers,matters associated with their physiological basic rights, and damage caused by the non-applicationof the non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Based on the result of this case study asthe ground, the researcher is going to make political suggestions as follows. It is needed tosupport senior workers to protect their health rights at earlier stages in a preventive dimension,build a preventive and remedial system to reduce violence over senior workers, give seniorworkers education on human rights as well as labor law, and conduct diverse and aggressivepublicity activities to change recognition over the image of the elderl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case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senior workers’working rights as well as human rights and provide foundational material to enhance socialrecognition of the elderly’s human rights. According to the resul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case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senior workers’working rights as well as human rights and provide foundational material to enhance socialrecognition of the elderly’s human right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case study, there existvarious human rights abuses cases such as threatening senior workers’ health rights, damageresulted from the application of the inclusive wage system, verbal violence from customers,matters associated with their physiological basic rights, and damage caused by the non-applicationof the non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Based on the result of this case study asthe ground, the researcher is going to make political suggestions as follows. It is needed tosupport senior workers to protect their health rights at earlier stages in a preventive dimension,build a preventive and remedial system to reduce violence over senior workers, give seniorworkers education on human rights as well as labor law, and conduct diverse and aggressivepublicity activities to change recognition over the image of the elder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근로자들의 노동권과 인권실태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노인인권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노인근로자들의 인권침해에 대한 다각적으로 분석을 위해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채택하였다. 본 사례연구 결과, 노인근로자에 대한 건강권 위협, 포괄임금제 적용으로 인한 피해, 고객에 의한 언어적 폭력, 생리적 기본권에 대한 문제, 산업재해보상보험의 미적용으로 인한 피해 등 다양한 인권침해사례가 조사되었다. 이러한 사례연구결과를 근거로 정책제언을 하면, 노인근로자의 건강권보호를 위한 예방적 차원의 조기지원, 노인집중취업분야의 포괄임금제 미적용, 노인근로자에대한 폭력예방 및 구제 시스템 구축, 노인근로자들을 산업재해보상보험에 가입시키기 위한홍보와 지원, 노인근로자들에 대한 인권ㆍ노동법교육, 노인 이미지 개선을 위한 다양하고 적극적인 홍보활동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근로자들의 노동권과 인권실태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노인인권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노인근로자들의 인권침해에 대한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근로자들의 노동권과 인권실태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노인인권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노인근로자들의 인권침해에 대한 다각적으로 분석을 위해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채택하였다. 본 사례연구 결과, 노인근로자에 대한 건강권 위협, 포괄임금제 적용으로 인한 피해, 고객에 의한 언어적 폭력, 생리적 기본권에 대한 문제, 산업재해보상보험의 미적용으로 인한 피해 등 다양한 인권침해사례가 조사되었다. 이러한 사례연구결과를 근거로 정책제언을 하면, 노인근로자의 건강권보호를 위한 예방적 차원의 조기지원, 노인집중취업분야의 포괄임금제 미적용, 노인근로자에대한 폭력예방 및 구제 시스템 구축, 노인근로자들을 산업재해보상보험에 가입시키기 위한홍보와 지원, 노인근로자들에 대한 인권ㆍ노동법교육, 노인 이미지 개선을 위한 다양하고 적극적인 홍보활동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가인권위원회 광주인권사무소, "인권관점에서 본 분야별 조례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2010

      2 권중돈, "인권과 노인복지실천" 학지사 2012

      3 김진숙, "신빈곤층 개인의 빈곤고착경험에 대한 질적사례연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6 (6): 35-65, 2012

      4 원영희, "노인차별 피해경험이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1) : 297-322, 2005

      5 국가인권위원회, "노인인권논문집"

      6 임춘식, "노인의 노인인권개념 인식과 침해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56) : 275-298, 2012

      7 한국노인복지학회, "노인복지학 사전" 학현사 2006

      8 국가인권위원회, "노인복지시설 방문조사 보고서" 2005

      9 고용노동부, "노동시장동향분석" 2013

      10 하갑래, "근로기준법(전면개정22판)" (주)중앙경제 2010

      1 국가인권위원회 광주인권사무소, "인권관점에서 본 분야별 조례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2010

      2 권중돈, "인권과 노인복지실천" 학지사 2012

      3 김진숙, "신빈곤층 개인의 빈곤고착경험에 대한 질적사례연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6 (6): 35-65, 2012

      4 원영희, "노인차별 피해경험이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1) : 297-322, 2005

      5 국가인권위원회, "노인인권논문집"

      6 임춘식, "노인의 노인인권개념 인식과 침해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56) : 275-298, 2012

      7 한국노인복지학회, "노인복지학 사전" 학현사 2006

      8 국가인권위원회, "노인복지시설 방문조사 보고서" 2005

      9 고용노동부, "노동시장동향분석" 2013

      10 하갑래, "근로기준법(전면개정22판)" (주)중앙경제 2010

      11 김동선, "국가인권위원회 판정 사례를 통해 살펴본 고용상 연령차별의 요인탐구" 한국노인복지학회 (51) : 145-164, 2011

      12 Creswell. J. W.,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2E" Sage Publications 2007

      13 국가인권위원회, "NGO를 위한 건강권 매뉴얼"

      14 Ife. J., "Human Right sand Social Work" Cambridge Univ:Press 2000

      15 Pillemer. K, "Elder Abuse In:Vincent, B Handbook of Family Violence" Plenum Press 1988

      16 통계청, "2013년 고령자 통계" 2014

      17 통계청, "2013년 12월 경제활동인구조사-청년층 및 고령층 부가조사 결과" 2014

      18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013 노인일자리 통계 동향"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6-2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KCI등재
      2015-06-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Welfare For The Aged -> Korean Society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4 1.64 2.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4 2.61 2.658 0.3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