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is action research that examines the teacher’s curriculum practice and learners’ perception characteristics in the high school travel geography subject.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ractical knowledge of the teacher’s cur...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494988
202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07-124(1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ction research that examines the teacher’s curriculum practice and learners’ perception characteristics in the high school travel geography subject.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ractical knowledge of the teacher’s cur...
This study is action research that examines the teacher’s curriculum practice and learners’ perception characteristics in the high school travel geography subject.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ractical knowledge of the teacher’s curriculum was planned with the goal of “classes that are helpful for students’ careers.” The principles of practical knowledge for this were designed and implemented in classes that help record student records, classes where geography can be used in daily life, classes that can form a positive sense of place, and classes aimed at travelers and activists with global citizenship. Second, students’ perceptions of travel geography classes appeared in five categories.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o be an interesting class, a class to experience travel, a subject to learn practical travel knowledge, a subject to learn geography through travel, and a useful subject for careers. The four concepts of interest, travel, practicality, and geography showed a high frequency of appearance as key categories of an “interesting class,” but the frequency of career-related was relatively low. In addition, the proportion of “silent and non-responsive” to the questionnaire response was also high. This disproves that many students did not experience meaningful learning in travel geography class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 focused on “geography” the identity of the travel geography subject, but the learner focused on “travel.”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고등학교 여행지리 과목 교사 교육과정을 실천하고, 이에 대한 학습자 인식 특성을 탐구한 실행연구이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교사 교육과정의 실천적 지식은 ‘...
본 연구는 고등학교 여행지리 과목 교사 교육과정을 실천하고, 이에 대한 학습자 인식 특성을 탐구한 실행연구이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교사 교육과정의 실천적 지식은 ‘학생들의 진로에 도움이 되는 수업’을 목표로 생활기록부 기록에 도움이되는 수업, 지리를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수업, 긍정적인 장소감을 형성할 수 있는 수업, 세계시민의식을 가진 여행자와 활동가를지향하는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하였다. 둘째, 학생들의 여행지리 수업에 대한 인식은 재미있는 수업, 여행을 체험하는 수업, 실용적인여행 지식을 학습하는 과목, 지리를 여행으로 학습하는 과목, 진로에 유용한 과목의 5개 범주로 나타났다. 재미, 여행, 실용성, 지리의4개 개념은 ‘재미있는 수업’을 핵심 범주로 출현 빈도가 높게 나타났지만, 진로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밖에 설문지 응답에‘침묵하고 무응답’하는 비중도 높게 나타났다. 이는 상당수 학생이 여행지리 수업 활동에서 유의미한 학습을 경험하지 못했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를 통해서 교사는 여행지리 과목의 정체성을 ‘지리’에 두었지만, 학습자는 ‘여행’에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창숙, "한국의 여행지리와 중국의 관광지리 교육과정 비교" 한국지역지리학회 22 (22): 267-285, 2016
2 김지범 ; 최문희 ; 강정한 ; 한수진 ; 김석호, "한국에서의 무응답과 조사하기 어려운 응답자" 한국조사연구학회 15 (15): 85-107, 2014
3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학교알리미, 학교별 공시정보"
4 교육부, "포용과 성장의 고교교육 구현을 위한 고교학점제 종합 추진계획" 2021
5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
6 Irving Seidman, "질적 연구방법으로서의 면담" 학지사 2009
7 Strauss, A., "질적 연구: 근거 이론의 단계" 현문사 2001
8 어윤경, "진로교육에 활용되는 자기보고식 심리검사의 faking-good 탐지기능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19 (19): 241-264, 2006
9 강창숙, "지리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탐구" 충북대학교 출판부 2021
10 강원연구원, "제5차 강원권 관광개발계획(요약보고서 1)" 2011
1 강창숙, "한국의 여행지리와 중국의 관광지리 교육과정 비교" 한국지역지리학회 22 (22): 267-285, 2016
2 김지범 ; 최문희 ; 강정한 ; 한수진 ; 김석호, "한국에서의 무응답과 조사하기 어려운 응답자" 한국조사연구학회 15 (15): 85-107, 2014
3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학교알리미, 학교별 공시정보"
4 교육부, "포용과 성장의 고교교육 구현을 위한 고교학점제 종합 추진계획" 2021
5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
6 Irving Seidman, "질적 연구방법으로서의 면담" 학지사 2009
7 Strauss, A., "질적 연구: 근거 이론의 단계" 현문사 2001
8 어윤경, "진로교육에 활용되는 자기보고식 심리검사의 faking-good 탐지기능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19 (19): 241-264, 2006
9 강창숙, "지리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탐구" 충북대학교 출판부 2021
10 강원연구원, "제5차 강원권 관광개발계획(요약보고서 1)" 2011
11 고재홍 ; 백수경, "자기고양편향이 행복감과 인기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1 (21): 89-104, 2007
12 김기남, "여행지리 정착을 위한 세 가지 질문과 도전" 한국사진지리학회 31 (31): 90-107, 2021
13 이경한, "세계시민교육의 관점에서 세계지리와 여행지리 교육과정의 비판적 분석"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13 (13): 39-76, 2018
14 김미덕 ; 이경무, "생태 시민성 함양과 「고전과 윤리」의 고전 읽기: 『금강경』을 중심으로" 한국윤리학회 1 (1): 203-231, 2021
15 강창숙, "사회과 예비교사의 수업관찰과 반성적 실천" 충북대학교 출판부 2019
16 Neuman, W. Lawrence, "사회 연구 조사 방법론 : 질적 연구와양적 연구 방법" 이앤비플러스 2011
17 홍경선, "대학교 강의평가에 나타난 일관적 응답 분석"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2 (12): 97-127, 2006
18 Charmaz, Kathy, "근거이론의 구성: 질적 분석의 실천 지침" 학지사 2013
19 이강욱, "관광산업의 지역경제 기여효과 분석"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3
20 손민석 ; 이진희, "고등학교 여행지리에 대한 학생의 인식 조사: 김해시 일반고 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지리학회 11 (11): 29-47, 2022
21 박종관, "고등학교 여행지리" 천재교과서 2020
22 교육부, "고등학교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22-33호, 별책 4)"
23 김지수, "고등학교 「여행지리」 과목의 학교교육 현황 : 교사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8 (28): 17-35, 2020
24 고영빈 ; 지은림, "고교학점제와 성취평가 도입에 따른 진로선택과목 운영 및 이수에 대한 고교생의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2 (22): 1085-1102, 2022
25 강원연구원, "강원도 통합관광진흥기구 설립 타당성 용역 요약보고서" 2019
26 강원도교육청, "강원교육통계연보"
27 김병연, "『고전과 윤리』교육과정 개정 방향 탐색" 25-48, 2021
28 강수정, "「고전과 윤리」의 교수-학습 방향성 제언 - 수용자 중심의 고전읽기 방법과 고전텍스트의 재구성 -" 한국윤리교육학회 (59) : 95-124, 2021
29 김민재, "‘읽기’의 관점에서 바라본 『고전과 윤리』" 155-172, 2017
30 Glaser, B. G., "Theoretical Sensitivity: Advances in the methodology of grounded theory" Sociology Press 1978
31 Glaser, B. G.,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 strategies for qualitative research" Aldine 1967
32 Elbaz, F., "The Teacher’s"Practical Knowledge" : Report of a Case Study" 11 (11): 43-71, 1981
33 Schön, D., "The Reflective Practitioner: How Professionals Think in Action" Basic Books 1983
34 Cohen, L., "Research Method in Education" Routledge 1998
35 Strauss, A., "Qualitative Analysis for Social Scientis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
36 Strauss, A.,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SAGE 1998
37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실시 요강"
38 심승희 ; 김현주,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교 진로선택과목「여행지리」의 개발과 관련 논의"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4 (24): 87-98, 2016
39 오연주, "2015 개정 교육과정 「사회문제 탐구」의 내용체계와 성취기준 비판" 17-23, 2022
40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해설(고등학교)"
41 이동민, "2015 개정 고등학교 여행지리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의미구조 분석" 한국지리학회 5 (5): 1-11, 2016
일제강점기 우리나라 초등 지리 교과서의 특징 - 일제 식민화의 합리화 관점에서 -
실존적 위기 시대 학교지리교육의 방향 탐색 - 세계중심교육의 관점에서 -
디지털 전환의 시대에 대응하는 교육과정의 개발 - 한국지리 탐구 과목을 사례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