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윤동주 시에 내재된 슬픔 의식을 추출하기 위하여 시기별 흐름과 내용별 특징을 고찰하여 그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윤동주의 삶에 비친 슬픔의 서정을 프로이트의 우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437802
청주 : 충북대학교, 2017
학위논문(석사) --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교육) , 2017. 2
2017
한국어
811.609 판사항(5)
충청북도
77 p. ; 26 cm.
충북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됩니다
A Sorrow Consciousness of Yoon, Dong-ju's Poems
지도교수:이미순
참고문헌 : p.68-7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윤동주 시에 내재된 슬픔 의식을 추출하기 위하여 시기별 흐름과 내용별 특징을 고찰하여 그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윤동주의 삶에 비친 슬픔의 서정을 프로이트의 우울...
본 연구에서는 윤동주 시에 내재된 슬픔 의식을 추출하기 위하여 시기별 흐름과 내용별 특징을 고찰하여 그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윤동주의 삶에 비친 슬픔의 서정을 프로이트의 우울증과 키르케고르의 슬픔 의식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프로이트의 이론에서는 회복 불가능한 상실에 대한 무기력과 키르케고르의 이론에서는 슬픔의 지속성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윤동주 시에서의 슬픔의 양상을 연도순으로 분석한 결과 윤동주의 시는 자신의 삶에 관한 고백이며 다짐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시의 주제는 그가 살아온 이야기였으며, 시의 표현은 상징적이기보다는 구체적이고 명확했다. 특히 시의 주제는 시기별로 세 단계의 변화를 보였다. 첫 번째는 울분과 분노의 시기였고, 두 번째는 고뇌와 탐색의 시기였으며, 세 번째는 치유와 소명의 시기였다. 내용별로는 근원적 상실에 대한 슬픔, 우울한 현실주의자의 슬픔, 슬픔의 극복의지와 식민지 현실인식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근원적 상실에 대한 슬픔의 서정을 담고 있는 시를 분석한 결과 근원적 상실감은 꿈의 좌절과 관련되어 있었다. 그 좌절감은 고통과 두려움을 동반했으며, 자신의 인생에 대한 절망감을 안겨주었다. 특히 이러한 절망감은 그가 바라보는 모든 대상들을 서럽고, 쓸쓸하고, 권태롭게 보이게 했음을 알 수 있었다.
우울한 현실주의자의 슬픔의 서정을 담고 있는 시를 분석한 결과 우울 증상을 보이는 세 가지 측면, 즉 자신과 세계와 미래에 대한 지나치게 부정적인 인식이 그의 시에도 그대로 드러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부정적이고 무기력한 일상 속에서도 뚜렷한 의미를 부여한 시들을 찾을 수가 있었다. 특히 시대적 사명감과 식민지 현실인식을 보여주는 시들은 슬픔의 극복 가능성을 암시하는 것이었다.
슬픔의 극복의지와 식민지 현실인식의 서정을 담고 있는 시를 분석한 결과 그는 슬픔을 외면하지 않고 직시했으며, 자기 설움이나 연민을 극복하고 주변 세계를 객관적으로 볼 수 있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자신이 겪고 있는 원인 모를 이 슬픔에서 자신의 존재 이유를 깨닫게 되었다. 위로와 치유가 필요한 시대에 그가 받은 소명은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를 통해 슬픔에 빠진 사람들의 병을 낫게 하는 것이었다.
윤동주 시의 슬픔의 특징을 당시의 시대적 상황과 관련하여 분석한 결과 윤동주는 1930년대 후반 문예가 절정을 이루던 시대에 습작을 시작하여, 1940년대 초반 문예의 암흑기에 첫 시집을 출간해야 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시기 윤동주의 시의 형식은 모더니즘의 전통을 따르고 있었고, 시의 내용은 당시의 부정적인 현실을 담고 있었다. 이 현실에 대해 그는 울분, 분노, 시련, 피로, 현실 부정, 소명, 희생으로 대응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윤동주 시의 슬픔 의식을 살피는 데 목적을 두고 출발하였다. 그의 시의 특징은 ‘슬픔’과 관련된 다양한 서정이 대다수의 시에 내포되어 있다는 것이었다. 특히 윤동주는 자신이 겪고 있는 슬픔을 외면하거나 부끄러워하지 않고, 자신의 실존적 문제로 받아들인 시인이었다. 더욱이 슬픔의 극복 의지를 분명히 보여주고 있으며, 그것을 자신의 시대적 소명으로 받아들인 시인이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