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내 항해를 위한 일본 지역위성항법시스템 활용의 적합성 분석 = Analysis of the Suitability of Japan's Region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for Domestic Navig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071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제해사기구는 항해 목적으로 사용 가능한 위성항법시스템의 요구 성능을 명시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2019년 이전까지 국제해사기구는 항해용으로 이용이 가능한 위성항법시스템에 전지구...

      국제해사기구는 항해 목적으로 사용 가능한 위성항법시스템의 요구 성능을 명시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2019년 이전까지 국제해사기구는 항해용으로 이용이 가능한 위성항법시스템에 전지구 서비스가 가능한 시스템만을 인정해 왔으나, 최근 인도 지역위성항법시스템을 승인하면서 지역위성항법시스템도 해양 이용이 가능해졌다. 지금까지 국제해사기구는 GPS를 비롯해 총 5개의 위성항법시스템, GLONASS, Galileo, BeiDou, NavIC 이용을 승인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NavIC을 제외한 4개 위성항법시스템 이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아직 승인을 받지 못한 일본의 지역위성항법시스템, QZSS의 수신도 가능한 상황이다. 일본은 QZSS의 해양이용을 본격화하기 위해 국제해사기구에 QZSS의 WWRNS 승인을 요청하였다. QZSS의 이용범위는 일본 영해에 한정하지 않고, 우리나라 관할해역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해사안전을 위해 QZSS 국내 이용의 적합성 분석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국내 항해를 위한 QZSS 활용에 적합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QZSS 서비스 현황과 계획에 대해 먼저 알아보고, WWRNS로 인정을 받기 위해 국제해사기구가 요구하는 성능에 대해 살펴본다. 그리고 적합성 분석을 위해 본 논문에서 수행한 방법과 환경조건에 대해 설명하고, 측위정확도와 가용성 측면에서 분석된 결과를 제시하며, 분석결과가 갖는 의미에 대해 논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explicitly stipulates the required performance of satellite based radio-navigation systems available for navigational purposes. Until 2019, the IMO had only recognized systems that could be serviced global...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explicitly stipulates the required performance of satellite based radio-navigation systems available for navigational purposes. Until 2019, the IMO had only recognized systems that could be serviced globally for satellite based radio-navigation. However, India's region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has been approved recently, and other region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s have also been made available for maritime navigation. Thus far, the IMO has approved the use of a total of five satellite navigation systems, such as the GPS, GLONASS, Galileo, BeiDou, and NavIC. In Korea, in addition to the four satellite based radio-navigation systems that are used excluding NavIC, Japan's region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that has not yet been approved can be received. Japan has requested the IMO to recognize the QZSS as a WWRNS to formalize its use for ocean navigations. Given that the service coverage of the QZSS is not limited to Japanese territorial waters and also includes Korean waters, the suitability analysis of the QZSS for domestic navigation is important for maritime safety.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uitability of using the QZSS for domestic navigation. Accordingly, this work explores the status and plans of the QZSS as well as the performance required by the IMO for recognition as a WWRNS. The methods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examined in this work are described, and the analyzed results are presented in terms of positioning accuracy and availabil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경호, "서울 도심지에서의 QZSS를 이용한 GPS 확장시스템의 가용도 평가" 한국항공우주학회 36 (36): 761-766, 2008

      2 Kugi, M., "The Latest Status od Quasi-Zenith Satellite System (QZSS) and its Future Expansion" 2019

      3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SN.1/Circ.340 Recognition of the Indian Region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IRNSS) as a Component of the Worldwide Radionavigation System"

      4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Resolution A.915(22) Revised Maritime Policy and Requirements for a Future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5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Resolution A.1046(27) Worldwide Radionavigation System"

      6 Takasu, T., "RTKLIB: Open Source Program Package for RTK-GPS" 2009

      7 Cabinet Office, "Quasi-Zenith Satellite System Performance Standard (PS-QZSS-002)"

      8 황남웅, "QZSS SLAS의 국내 가용성 검토"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7 (27): 168-175, 2021

      9 Kogure, S., "Latest Status of QZSS" 2020

      10 고광섭, "GPS와 QZSS 통합위성항법 성능 분석" 한국정보통신학회 20 (20): 1031-1039, 2016

      1 유경호, "서울 도심지에서의 QZSS를 이용한 GPS 확장시스템의 가용도 평가" 한국항공우주학회 36 (36): 761-766, 2008

      2 Kugi, M., "The Latest Status od Quasi-Zenith Satellite System (QZSS) and its Future Expansion" 2019

      3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SN.1/Circ.340 Recognition of the Indian Region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IRNSS) as a Component of the Worldwide Radionavigation System"

      4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Resolution A.915(22) Revised Maritime Policy and Requirements for a Future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5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Resolution A.1046(27) Worldwide Radionavigation System"

      6 Takasu, T., "RTKLIB: Open Source Program Package for RTK-GPS" 2009

      7 Cabinet Office, "Quasi-Zenith Satellite System Performance Standard (PS-QZSS-002)"

      8 황남웅, "QZSS SLAS의 국내 가용성 검토"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7 (27): 168-175, 2021

      9 Kogure, S., "Latest Status of QZSS" 2020

      10 고광섭, "GPS와 QZSS 통합위성항법 성능 분석" 한국정보통신학회 20 (20): 1031-1039,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3 0.592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