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심리학 관점에서 바라본 마음챙김 명상과 통찰, 지혜 =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Mindfulness Meditation, Insight, and Wisdo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295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mindfulness meditation has been developed as a standardized program and is being used in various clinical areas. Numerous empirical studies have examined the effectiveness and mechanism of mindfulness meditation. However, empirical studies on mindfulness meditation mainly focus on short-term therapeutic effects such as stress reduction and emotion regulation. Research on mindfulness meditation for insight and wisdom is relatively scar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propose a hypothetical model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fulness meditation, insight, and wisdom from a psychological point of view. The second purpose is to present empirical evidence for the hypothetical model based on previous studies.
      Mindfulness meditation is a series ofinsightsin that it adopts a new perspectiv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egoism as a decentering of inner experience. This mindfulness meditation induces objective introspection through nonjudgmental awareness of experiences. Wisdom, as a result of objective introspection, is a mature personality that understands the essence of life and adapts and copes with it effectively. In this study, empirical studies supporting this hypothetical model were introduced.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promote follow-up research on mindfulness meditation, insight, and wisdom.
      번역하기

      Recently, mindfulness meditation has been developed as a standardized program and is being used in various clinical areas. Numerous empirical studies have examined the effectiveness and mechanism of mindfulness meditation. However, empirical studies o...

      Recently, mindfulness meditation has been developed as a standardized program and is being used in various clinical areas. Numerous empirical studies have examined the effectiveness and mechanism of mindfulness meditation. However, empirical studies on mindfulness meditation mainly focus on short-term therapeutic effects such as stress reduction and emotion regulation. Research on mindfulness meditation for insight and wisdom is relatively scar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propose a hypothetical model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fulness meditation, insight, and wisdom from a psychological point of view. The second purpose is to present empirical evidence for the hypothetical model based on previous studies.
      Mindfulness meditation is a series ofinsightsin that it adopts a new perspectiv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egoism as a decentering of inner experience. This mindfulness meditation induces objective introspection through nonjudgmental awareness of experiences. Wisdom, as a result of objective introspection, is a mature personality that understands the essence of life and adapts and copes with it effectively. In this study, empirical studies supporting this hypothetical model were introduced.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promote follow-up research on mindfulness meditation, insight, and wisdo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마음챙김 명상은 표준화된 프로그램으로 개발되어 여러 임상 영역에서 활용되고있으며, 다수의 실증연구를 통해 효과성 및 기제가 입증되고 있다. 하지만 마음챙김 명상에 대한 실증연구들은 주로 스트레스 감소 및 정서 조절과 같이 단기적인 심신 치유효과에 중점을 두고 있다. 마음챙김 명상의 본래 목적인 통찰과 지혜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표는 첫째, 심리학 관점에서 마음챙김 명상과통찰, 지혜의 관계에 대한 가설적 모형을 제시하는 것이다. 둘째는 선행연구를 토대로가설적 모형에 대한 실증적인 근거를 제시하는 것이다. 마음챙김 명상은 내적경험에 대한 탈중심화로서 기존의 자아중심성과 다른 새로운 관점을 채택한다는 점에서 통찰의연속이다. 이러한 마음챙김 명상은 경험에 대한 비판단적 알아차림을 통해 객관적인 성찰을 유도한다. 지혜는 객관적인 성찰의 결과물로서 삶의 본질을 이해하고 그것에 효과적으로 적응 및 대처하는 성숙한 모습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가설적 모형을 뒷받침하는 실증연구를 소개하였다. 본 연구가 마음챙김 명상과 통찰, 지혜에 대한 후속연구를 이끄는 시발점이 되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최근 마음챙김 명상은 표준화된 프로그램으로 개발되어 여러 임상 영역에서 활용되고있으며, 다수의 실증연구를 통해 효과성 및 기제가 입증되고 있다. 하지만 마음챙김 명상에 대한 실증...

      최근 마음챙김 명상은 표준화된 프로그램으로 개발되어 여러 임상 영역에서 활용되고있으며, 다수의 실증연구를 통해 효과성 및 기제가 입증되고 있다. 하지만 마음챙김 명상에 대한 실증연구들은 주로 스트레스 감소 및 정서 조절과 같이 단기적인 심신 치유효과에 중점을 두고 있다. 마음챙김 명상의 본래 목적인 통찰과 지혜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표는 첫째, 심리학 관점에서 마음챙김 명상과통찰, 지혜의 관계에 대한 가설적 모형을 제시하는 것이다. 둘째는 선행연구를 토대로가설적 모형에 대한 실증적인 근거를 제시하는 것이다. 마음챙김 명상은 내적경험에 대한 탈중심화로서 기존의 자아중심성과 다른 새로운 관점을 채택한다는 점에서 통찰의연속이다. 이러한 마음챙김 명상은 경험에 대한 비판단적 알아차림을 통해 객관적인 성찰을 유도한다. 지혜는 객관적인 성찰의 결과물로서 삶의 본질을 이해하고 그것에 효과적으로 적응 및 대처하는 성숙한 모습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가설적 모형을 뒷받침하는 실증연구를 소개하였다. 본 연구가 마음챙김 명상과 통찰, 지혜에 대한 후속연구를 이끄는 시발점이 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민희 ; 민경환, "한국판 지혜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 30 (30): 1231-1253, 2011

      2 각묵, "초기불교의 이해" 초기불전연구원 2010

      3 정준영 ; 박성현, "초기불교의 사띠(sati)와 현대심리학의 마음챙김(mindfulness): 마음챙김 구성개념 정립을 위한 제언" 한국상담심리학회 22 (22): 1-32, 2010

      4 대림스님, "청정도론 2-3" 초기불전연구원 2004

      5 윤석인 ; 김완석, "짧은 마음챙김 유도가 위협에 대한 주의편향에 미치는 효과: 자극제시시간에 따른 차이" 한국건강심리학회 24 (24): 311-329, 2019

      6 조현주, "자비 및 자애명상의 심리치료적 함의"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14 (14): 123-143, 2014

      7 허버트 벤슨, "이완반응 : 명상은 어떻게 과학적인가" 페이퍼로드 2020

      8 김재성, "위빠사나 수행의 현대적 위상" 한국선학회 (26) : 299-359, 2010

      9 강희주, "외상에 대한 자기노출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마음챙김과 의도적 반추의 이중매개 효과"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8

      10 양귀화 ; 김종남, "외상 후 성장 과정에 대한 분석: 정서조절곤란, 침습적 반추, 의도적 반추의 삼중매개효과와 낙관성의 조절효과" 한국건강심리학회 19 (19): 1041-1062, 2014

      1 김민희 ; 민경환, "한국판 지혜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 30 (30): 1231-1253, 2011

      2 각묵, "초기불교의 이해" 초기불전연구원 2010

      3 정준영 ; 박성현, "초기불교의 사띠(sati)와 현대심리학의 마음챙김(mindfulness): 마음챙김 구성개념 정립을 위한 제언" 한국상담심리학회 22 (22): 1-32, 2010

      4 대림스님, "청정도론 2-3" 초기불전연구원 2004

      5 윤석인 ; 김완석, "짧은 마음챙김 유도가 위협에 대한 주의편향에 미치는 효과: 자극제시시간에 따른 차이" 한국건강심리학회 24 (24): 311-329, 2019

      6 조현주, "자비 및 자애명상의 심리치료적 함의"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14 (14): 123-143, 2014

      7 허버트 벤슨, "이완반응 : 명상은 어떻게 과학적인가" 페이퍼로드 2020

      8 김재성, "위빠사나 수행의 현대적 위상" 한국선학회 (26) : 299-359, 2010

      9 강희주, "외상에 대한 자기노출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마음챙김과 의도적 반추의 이중매개 효과"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8

      10 양귀화 ; 김종남, "외상 후 성장 과정에 대한 분석: 정서조절곤란, 침습적 반추, 의도적 반추의 삼중매개효과와 낙관성의 조절효과" 한국건강심리학회 19 (19): 1041-1062, 2014

      11 윤석인 ; 김완석, "무아 통찰의 세 가지 의미와 심리치료적 함의: 현상학적 질적 연구" 한국건강심리학회 25 (25): 861-890, 2020

      12 김완석, "마인드 다이어트 : 명상 기반의 자기조절" 학지사 2019

      13 김정호, "마음챙김이란 무엇인가 : 마음챙김의 임상적 및 일상적 적용을 위한 제언" 한국건강심리학회 9 (9): 511-538, 2004

      14 윤석인 ; 김완석, "마음챙김 명상은 자기관을 변화시키는가?" 한국건강심리학회 27 (27): 333-356, 2022

      15 성기서, "『佛祖直指心體要節』과 위빠사나(Vipassana) 수행법 비교" 서원대학교호서문화연구소 14 : 2000

      16 Baltes, P. B., "Wisdom : A metaheuristic(pragmatic)to orchestrate mind and virtue toward excellence" 55 (55): 122-136, 2000

      17 Mason, M. F., "Wandering minds : The default network and stimulus-independent thought" 315 (315): 393-395, 2007

      18 Palomba, D., "Visual evoked potentials, heart rate responses and memory to emotional pictorial stimuli" 27 (27): 55-67, 1997

      19 Unsworth, S., "The impact of mindful meditation in nature on self-nature interconnectedness" 7 : 1052-1060, 2016

      20 McClintock, A. S., "The effects of mindfulness retreats on the psychological health of non-clinical adults : A meta-analysis" 10 : 1443-1454, 2019

      21 Hofmann, S. G., "The effect of mindfulness-based therapy on anxiety and depression : A meta-analytic review" 78 (78): 169-183, 2010

      22 Sheline, Y. I., "The default mode network and self-referential processes in depression" 106 (106): 1942-1947, 2009

      23 Hartmann, G. W., "The concept and criteria of insight" 38 (38): 242-253, 1931

      24 Buckner, R. L., "The brain's default network : anatomy, function, and relevance to disease" 1124 (1124): 1-38, 2008

      25 Moore, K. E., "The Oxford handbook of hypo-egoic phenomena" 95-105, 2016

      26 Ingram, R. E., "Self-focused attention in clinical disorders : Review and a conceptual model" 107 (107): 156-176, 1990

      27 Bradley, M. M., "Remembering pictures : pleasure and arousal in memory" 18 (18): 379-390, 1992

      28 Jarman, M. S., "Quantifying the qualitative : Measuring the insight experience" 26 : 276288-, 2014

      29 Tedeschi, R. G., "Posttraumatic growth : Conceptual foundations and empirical evidence" 15 (15): 1-18, 2004

      30 Nigro, G., "Point of view in personal memories" 15 (15): 467-482, 1983

      31 Van den Hurk, P. A.,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actice of mindfulness meditation and personality : An exploratory analysis of the mediating role of mindfulness skills" 2 : 194-200, 2011

      32 Ray, T. N., "Nature enhanced meditation : Effects on mindfulness, connectedness to nature, and pro-environmental behavior" 53 (53): 864-890, 2021

      33 Campanella, F., "Mindfulness-oriented meditation improves self-related character scales in healthy individuals" 55 (55): 1269-1278, 2014

      34 Labelle, L. E.,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in oncology : Evaluating mindfulness and rumination as mediators of change in depressive symptoms" 1 : 28-40, 2010

      35 Chiesa, A.,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for stress management in healthy people : A review and meta-analysis" 15 (15): 593-600, 2009

      36 Baer, R. A., "Mindfulness training as a clinical intervention : A conceptual and empirical review" 10 (10): 125-143, 2003

      37 Goldin, P., "Mindfulness meditation training and self-referential processing in social anxiety disorder : Behavioral and neural effects" 23 (23): 242-257, 2009

      38 Ortner, C. N., "Mindfulness meditation and reduced emotional interference on a cognitive task" 31 : 271-283, 2007

      39 Leary, M. R., "Mindfulness in Social Psychology" Routledge 50-64, 2017

      40 Tirch, D. D., "Mindfulness as a context for the cultivation of compassion" 3 (3): 113-123, 2010

      41 Aspy, D. J., "Mindfulness and loving-kindness meditation : Effects on connectedness to humanity and to the natural world" 120 (120): 102-117, 2017

      42 Bishop, S. R., "Mindfulness : A proposed operational definition" 11 (11): 230-241, 2004

      43 \Martin, J. R., "Mindfulness : A proposed common factor" 7 : 291-312, 1997

      44 Greenberg, J., "Mind the trap : Mindfulness practice reduces cognitive rigidity" 7 (7): e36206-, 2012

      45 Teasdale, J. D., "Metacognitive awareness and prevention of relapse in depression : Empirical evidence" 70 (70): 275-287, 2002

      46 Condon, P., "Meditation increases compassionate responses to suffering" 24 (24): 2125-2127, 2013

      47 Brewer, J. A., "Meditation experience is associated with differences in default mode network activity and connectivity" 108 (108): 20254-20259, 2011

      48 Schutte, N. S., "Meditation and telomere length : A meta-analysis" 35 (35): 901-915, 2020

      49 Gusnard, D. A., "Medial prefrontal cortex and self-referential mental activity : Relation to a default mode of brain function" 98 (98): 4259-4264, 2001

      50 Shapiro, S. L., "Mechanisms of mindfulness" 62 (62): 373-386, 2006

      51 Stanciu, M. M., "Intelligence, personality and schizotypy as predictors of insight" 134 : 43-48, 2018

      52 Taylor, V. A., "Impact of meditation training on the default mode network during a restful state" 8 (8): 4-14, 2013

      53 Frecknall, P., "Good humor : A qualitative study of the uses of humor in everyday life" 31 (31): 1221-, 1994

      54 Topolinski, S., "Gaining insight into the"Aha"experience" 19 (19): 402-405, 2010

      55 Kabat-Zinn. J., "Full catastrophe living" Bantam 2013

      56 Nummenmaa, L., "Eye movement assessment of selective attentional capture by emotional pictures" 6 (6): 257-268, 2006

      57 Van Gordon, W., "Exploring emptiness and its effects on non-attachment, mystical experiences, and psycho-spiritual wellbeing: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y of advanced meditators" 15 (15): 261-272, 2019

      58 Dolcos, F., "Event-related potentials of emotional memory : encoding pleasant, unpleasant, and neutral pictures" 2 (2): 252-263, 2002

      59 Ardelt, M., "Empirical assessment of a three-dimensional wisdom scale" 25 (25): 275-324, 2003

      60 Salovey, P., "Emotional intelligence" 9 (9): 185-211, 1990

      61 Shapiro, S. L., "Effects of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on medical and premedical students" 21 (21): 581-599, 1998

      62 Brown, K. W., "Dispositional mindfulness and the attenuation of neural responses to emotional stimuli" 8 (8): 93-99, 2013

      63 Shen, W., "Defining insight : A study examining implicit theories of insight experience" 12 (12): 317-327, 2018

      64 Peng, K., "Culture, dialectics, and reasoning about contradiction" 54 (54): 741-754, 1999

      65 Carreti , L., "Automatic attention to emotional stimuli : neural correlates" 22 (22): 290-299, 2004

      66 Schupp, H. T., "Attention and emotion : An ERP analysis of facilitated emotional stimulus processing" 14 (14): 1107-1110, 2003

      67 Webster, J. D., "An exploratory analysis of a self-assessed wisdom scale" 10 : 13-22, 2003

      68 Shapiro, D. H., "A preliminary study of long term meditators : Goals, effects, religious orientation, cognitions" 24 (24): 23-39, 1992

      69 Lin, Y., "A mind full of self : Self-referential processing as a mechanism underlying the therapeutic effects of mindfulness training on internalizing disorders" 92 : 172-186, 2018

      70 Raichle, M. E., "A default mode of brain function" 98 (98): 676-682, 20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