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뒤가쪽 이마앞 피질 기능 저하가 정신분열병의 선택적 주의력에 미치는 영향 :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연구 = (The)effects of deficit in 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 on stroop-related selective attentional processing in schizophrenia : functional MRI stud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5351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배경
      Stroop 작업 동안 선택적 주의력은 앞쪽 띠이랑과 뒤가쪽 이마앞 피질의 기능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들 부위의 기능과 정신분열병에서의 선택적 주의력 저하와의 관계는 아직까지 불분명하였다. 정신분열병환자를 대상으로 수행 작업의 이마앞 피질 부담이 상대적으로 많고 적음에 따른 앞쪽 띠이랑과 뒤가쪽 이마앞 피질의 기능을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을 통해 관찰함으로써, 정신분열병의 선택적 주의력 저하 관련 뇌기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정신분열병 환자 10명과 신체 및 정신적으로 건강한 성인 남녀 10명을 대상으로 단기/장기 지연 Stroop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을 촬영하였다. 단기 및 장기 지연 조건 각각에서 뒤가쪽 이마앞 피질 및 앞쪽 띠이랑의 활성을 정신분열병 집단과 정상 대조집단간에 비교하였다.
      결과
      정신분열병 집단은 정상 대조 집단에 비해 단기 및 장기 지연 조건 모두에서 왼쪽 뒤가쪽 이마앞 피질의 같은 위치가 유의미하게 덜 활성화 되었다. 하저만 앞쪽 띠이랑의 경우 정신분열병 집단에서 활성화가 덜 되는 부위가 단기와 장기 지연 조건에 따라 달랐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정신분열병의 선택적 주의력 피하는 앞쪽 띠이랑 보다는 왼쪽 뒤가쪽 이마앞 피질 기능 저하와 관련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왼쪽 뒤가쪽 이마앞 피질 기능 저하가 정신분열병의 전반적 인지 기능 자하와 관련 있음을 암시한다.
      번역하기

      배경 Stroop 작업 동안 선택적 주의력은 앞쪽 띠이랑과 뒤가쪽 이마앞 피질의 기능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들 부위의 기능과 정신분열병에서의 선택적 주의력 저하와의 관계...

      배경
      Stroop 작업 동안 선택적 주의력은 앞쪽 띠이랑과 뒤가쪽 이마앞 피질의 기능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들 부위의 기능과 정신분열병에서의 선택적 주의력 저하와의 관계는 아직까지 불분명하였다. 정신분열병환자를 대상으로 수행 작업의 이마앞 피질 부담이 상대적으로 많고 적음에 따른 앞쪽 띠이랑과 뒤가쪽 이마앞 피질의 기능을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을 통해 관찰함으로써, 정신분열병의 선택적 주의력 저하 관련 뇌기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정신분열병 환자 10명과 신체 및 정신적으로 건강한 성인 남녀 10명을 대상으로 단기/장기 지연 Stroop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을 촬영하였다. 단기 및 장기 지연 조건 각각에서 뒤가쪽 이마앞 피질 및 앞쪽 띠이랑의 활성을 정신분열병 집단과 정상 대조집단간에 비교하였다.
      결과
      정신분열병 집단은 정상 대조 집단에 비해 단기 및 장기 지연 조건 모두에서 왼쪽 뒤가쪽 이마앞 피질의 같은 위치가 유의미하게 덜 활성화 되었다. 하저만 앞쪽 띠이랑의 경우 정신분열병 집단에서 활성화가 덜 되는 부위가 단기와 장기 지연 조건에 따라 달랐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정신분열병의 선택적 주의력 피하는 앞쪽 띠이랑 보다는 왼쪽 뒤가쪽 이마앞 피질 기능 저하와 관련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왼쪽 뒤가쪽 이마앞 피질 기능 저하가 정신분열병의 전반적 인지 기능 자하와 관련 있음을 암시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s
      Deficits in the anterior cingulate (ACC) and 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 (DLPFC) during the performance of the Stroop task in schizophrenia patients in previous functional neuroimaging studies have been inconsistent.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role of the ACC and DLPFC during performing selective attention in schizophrenia.
      Materials and methods
      Ten schizophrenia patients and ten healthy control subjects received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during a Short/Long-term latency Stroop task. This task consisted of two conditions having same Stroop load but different, low or high, prefrontal load. The changes in the neural activity in the DLPFC and ACC were determined and the correctness and response time of the short- and long-term latency Stroop conditions were compared.
      Results
      Compared with the healthy control subjects, the schizophrenia patients showed significantly less activation in the same site of the left DLPFC in both the short- and long-term latency conditions but did less activation in different sites of the ACC according to the condition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neural correlates of the impaired attention processing in schizophrenia is a dysfunction of the DLPFC, and deficits in the ACC arc determined by both the prefrontal load of the task and the subject's prefrontal capacity
      번역하기

      Backgrounds Deficits in the anterior cingulate (ACC) and 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 (DLPFC) during the performance of the Stroop task in schizophrenia patients in previous functional neuroimaging studies have been inconsistent. The aim of the pre...

      Backgrounds
      Deficits in the anterior cingulate (ACC) and 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 (DLPFC) during the performance of the Stroop task in schizophrenia patients in previous functional neuroimaging studies have been inconsistent.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role of the ACC and DLPFC during performing selective attention in schizophrenia.
      Materials and methods
      Ten schizophrenia patients and ten healthy control subjects received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during a Short/Long-term latency Stroop task. This task consisted of two conditions having same Stroop load but different, low or high, prefrontal load. The changes in the neural activity in the DLPFC and ACC were determined and the correctness and response time of the short- and long-term latency Stroop conditions were compared.
      Results
      Compared with the healthy control subjects, the schizophrenia patients showed significantly less activation in the same site of the left DLPFC in both the short- and long-term latency conditions but did less activation in different sites of the ACC according to the condition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neural correlates of the impaired attention processing in schizophrenia is a dysfunction of the DLPFC, and deficits in the ACC arc determined by both the prefrontal load of the task and the subject's prefrontal capac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지 = ⅰ
      • 목차 = ⅲ
      • 표차례 = ⅴ
      • 그림차례 = ⅵ
      • Ⅰ. 서론 = 1
      • 국문요지 = ⅰ
      • 목차 = ⅲ
      • 표차례 = ⅴ
      • 그림차례 = ⅵ
      • Ⅰ. 서론 = 1
      • Ⅱ. 연구 대상 및 방법 = 5
      • 1. 연구대상 = 5
      • 2. 수행 과제 : 단기/장기 지연 Stroop (Short/Long-term Latency Stroop) = 6
      • 3.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획득 = 8
      • 4.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의 전처리 = 8
      • 5. 통계 분석 = 9
      • Ⅲ. 결과 = 11
      • 1. 단기/장기 지연 Stroop 수행 성적 = 11
      • 2.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결과 = 12
      • 1) 집단 별 단기 및 장기지연 효과 관련 활성 영역 (표 3) = 12
      • 2) 뒤가쪽 이마앞 피질 (DLPFC) 및 앞쪽 띠이랑 (ACC) 활성의 두 집단간 비교 (그림 2) = 12
      • Ⅲ. 고찰 = 13
      • Ⅳ. 결론 = 17
      • 참고문헌 = 18
      • 표 = 23
      • 그림설명 = 26
      • 그림 = 27
      • ABSTRACT = 30
      • 감사의 글 = 3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