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고려 시대부터 조선 전기까지의 효를 주제로 한 서사를 다루었다. 조선초기까지의 역사서인『삼국사기』,『삼국유사』, 『고려사』에는 효를 주제로 한 서사가 포함되어 있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고려 시대부터 조선 전기까지의 효를 주제로 한 서사를 다루었다. 조선초기까지의 역사서인『삼국사기』,『삼국유사』, 『고려사』에는 효를 주제로 한 서사가 포함되어 있다. ...
이 논문은 고려 시대부터 조선 전기까지의 효를 주제로 한 서사를 다루었다.
조선초기까지의 역사서인『삼국사기』,『삼국유사』, 『고려사』에는 효를 주제로 한 서사가 포함되어 있다. 『삼국사기』의 서사들이 상대적으로 균형 잡힌 시각으로 효의 문제에접근하고 있다면 『삼국유사』에서는 희생 효 서사가 더 강렬하게 나타난다는 점이 특징적이다.『고려사』에서는 두 책에서보다 효 문제에 대한 강조가 훨씬 더 강화된 모습으로나타난다. 이는 신유학의 효과일 것이다.
『삼강행실도』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삼강행실도』의 구조는 그림 → 한문 서사→ 찬시의 순서로 이루어져 있다. 둘째, 『삼강행실도』에는 자연스러운 감응보다는 교훈적인 태도가 이전보다 더욱 강조되어 있고, 이로 인해 독서 과정 중에 독자의 숭고한 정서가더욱 강조된다. 셋째, 신체 훼손과 신체 보존이라는 효 가치 체계상 모순이 노정된다.
넷째, 어른과 아동 사이의 이중 규범이 나타나며 이는 가학피학증(sado-majochism)의체계와도 관련된다. 다섯째, 주술적 사고방식이 더 강하게 나타나는데, 이는 유교적 잔혹이 논문은 고려 시대부터 조선 전기까지의 효를 주제로 한 서사를 다루었다.
조선초기까지의 역사서인 『삼국사기』, 『삼국유사』, 『고려사』에는 효를 주제로 한 서사가 포함되어 있다. 『삼국사기』의 서사들이 상대적으로 균형 잡힌 시각으로 효의 문제에접근하고 있다면 『삼국유사』에서는 희생 효 서사가 더 강렬하게 나타난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고려사』에서는 두 책에서보다 효 문제에 대한 강조가 훨씬 더 강화된 모습으로나타난다. 이는 신유학의 효과일 것이다.
『삼강행실도』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삼강행실도』의 구조는 그림 → 한문 서사→ 찬시의 순서로 이루어져 있다. 둘째, 『삼강행실도』에는 자연스러운 감응보다는 교훈적인 태도가 이전보다 더욱 강조되어 있고, 이로 인해 독서 과정 중에 독자의 숭고한 정서가더욱 강조된다. 셋째, 신체 훼손과 신체 보존이라는 효 가치 체계상 모순이 노정된다.
넷째, 어른과 아동 사이의 이중 규범이 나타나며 이는 가학피학증(sado-majochism)의체계와도 관련된다. 다섯째, 주술적 사고방식이 더 강하게 나타나는데, 이는 유교적 잔혹과도 관련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deals with the problem on the Hyo(孝) in the age of the Koryo Dynasty and early Choseon (Morning Calm) Dynasty. The Samguksagi(三國史記), the Samgukyusa(三國遺事) and the Koryeosa (高麗史) contain the various ‘Hyo(孝)’ subj...
This study deals with the problem on the Hyo(孝) in the age of the Koryo Dynasty and early Choseon (Morning Calm) Dynasty.
The Samguksagi(三國史記), the Samgukyusa(三國遺事) and the Koryeosa (高麗史) contain the various ‘Hyo(孝)’ subject narratives. While the narratives in the Samguk Sagi has relatively balanced attitude, the narratives in the Samgukyusa and the Koryeosa is a sort of the tendency narrative. Especially the Koryeosa is so, which probably is the effect of the Neo-Confusionism.
The Samganghaengsildo(三綱行實圖) has the following charateristics:Firstly, its text structure composes of the picture, the narrative itself and the admiration(mostly poetry) in sequence. Secondly, it empasizes the dogmatic rather than natural emotional response. So enthusiasm(the sublime) appeared in the course of reading that narrative. Thirdly, it has the sado-majochism and the magic way of thinking.
참고문헌 (Reference)
1 사마천, "흉노열전 in: 사기" 까치 1995
2 헤겔, G.W.F., "헤겔 미학" 나남 1996
3 조동일, "한국소설의 이론" 지식산업사 1976
4 문영진, "채만식 소설 <생명>에 대하여" 한국비평문학회 (36) : 81-101, 2010
5 東晋次, "진한제국론 in: 일본의 중국사 논쟁-1954년 이후" 신서원 1996
6 윤진영, "지식의 유통에 있어 <삼강행실도> 판화의 기능과 특징 in: 조선시대 책의 문화사" 휴머니스트 2008
7 스미스, 아더 핸더슨, "중국인의 특성" 경향미디어 2007
8 中村元, "중국인의 사유 방법" 까치 1990
9 寺田隆信, "중국의 역사-대명제국" 혜안 2006
10 엘빈, 마크, "중국 역사의 발전 형태" 신서원 1989
1 사마천, "흉노열전 in: 사기" 까치 1995
2 헤겔, G.W.F., "헤겔 미학" 나남 1996
3 조동일, "한국소설의 이론" 지식산업사 1976
4 문영진, "채만식 소설 <생명>에 대하여" 한국비평문학회 (36) : 81-101, 2010
5 東晋次, "진한제국론 in: 일본의 중국사 논쟁-1954년 이후" 신서원 1996
6 윤진영, "지식의 유통에 있어 <삼강행실도> 판화의 기능과 특징 in: 조선시대 책의 문화사" 휴머니스트 2008
7 스미스, 아더 핸더슨, "중국인의 특성" 경향미디어 2007
8 中村元, "중국인의 사유 방법" 까치 1990
9 寺田隆信, "중국의 역사-대명제국" 혜안 2006
10 엘빈, 마크, "중국 역사의 발전 형태" 신서원 1989
11 이성구, "중국 고대의 주술적 사유와 제왕 통치" 일조각 1997
12 劉澤華, "중국 고대 정치 사상" 예문서원 1994
13 슈워츠, 벤자민, "중국 고대 사상의 세계" 살림 1996
14 뒤르케임, 에밀, "종교 생활의 원초적 형태" 민영사 1992
15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책의 문화사 - <삼강행실도>를 통한 지식의 전파와 관습의 형성" 휴머니스트 2008
16 劉再復, "전통과 중국인" 플래닛 2007
17 김태영, "일연의 생애와 사상 in: 삼국유사의 문예적 가치 해명" 새문사 1982
18 西嶋定生, "일본의 고대사 인식 : 동아시아 세계론과 일본" 역사비평사 2008
19 劉劭, "인물지" 홍익출판사 1999
20 윤성근, "유학자의 소설 배격" 25 : 1971
21 존스, E.L., "유럽 문명의 신화" 나남 1993
22 박희병, "유교와 한국문학의 장르" 돌베개 2008
23 베버, M., "유교와 도교" 문예출판사 1990
24 이혜순, "열녀상의 전통과 변모" 85 : 1997
25 르 고프, 자크, "연옥의 탄생" 문학과지성 1995
26 헤겔, G.W.F., "역사철학강의" 삼성출판사 1990
27 이희환, "선조대 정여립 옥사와 정철" 4 : 2005
28 프랭스, 제랄드, "서사학" 문학과지성사 1988
29 이기백, "삼국유사의 사학사적 의의 in: 한국의 역사인식(상)" 창비 1976
30 김태영, "삼국유사에 보이는 일연의 역사인식에 대하여 in: 한국의 역사인식(상)" 창비 1976
31 일연, "삼국유사" 을유문화사 2002
32 김부식, "삼국사기" 한길사 2000
33 권채, "삼강행실도-효자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82
34 강명관, "삼강행실도-약자에게 가해진 도덕의 폭력" 한국고전여성문학회 (5) : 5-32, 2002
35 김도련, "사마천 <사기>의 구성과 서술 기법에 대하여"
36 班固, "백호통의" 소명출판 2005
37 夏目漱石, "문학론" 소명출판 2004
38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국역 고려사 27 - 열전 8" 민족문화 2005
39 이기백, "고려사 해제 in: 한국의 역사인식(상)" 창비 1976
40 班固, "漢書" 中華書局 1962
41 桑原隲藏, "東洋史說苑" 中華書局 2005
42 董仲舒, "春秋繁露" 자유문고 2005
43 박준석, "戰國時代 法家的 ‘法’개념에 관한 硏究-<韓非子>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1998
44 澤田多喜男, "忠・孝 in: 중국사상문화사전" 민족문화문고 2003
45 楊樹增, "史記藝術硏究" 學苑出版社 2004
46 司馬遷, "史記" 中華書局 1959
47 송윤미, "『太平廣記』 感應類 故事 內 孝 사상의 佛敎的 含意 考察" 한국불교학회 (36) : 343-370, 2004
48 정천구, "『三國遺事』와 『沙石集』의 효에 대한 인식 비교" 영남문화연구원 (14) : 349-380, 2008
49 엄선용, "『三國遺事』 「孝善」篇 分析 硏究"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449-481, 2008
50 Goldstein, J., "Ideas and Foreing Policy: An Analytical Framework in Ideas and Foreing Policy: Beliefs, Instituitions, and Political Change" Cornell University Press 1993
51 임형택, "<삼국사기> 열전의 문학사 in: 한국문학사의 논리와 체계" 창비 2002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6-15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Hanminjok Emunhak | ![]() |
2005-06-15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Hanminjok Emunhak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7 | 0.67 | 0.7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4 | 0.73 | 1.266 | 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