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百濟 泗沘期 木塔 築造技術의 對外傳播 = Foreign spread of wooden pagoda construction technique during Baekje’s Sabi Peri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400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remain several sites in Buyeo and Iksan where wooden pagodas stood that were built during Baekje’s Sabi Period. They were built after Baekje’s capital was moved to Sabi and are located in the center of temple site along with Geumdangji(the m...

      There remain several sites in Buyeo and Iksan where wooden pagodas stood that were built during Baekje’s Sabi Period. They were built after Baekje’s capital was moved to Sabi and are located in the center of temple site along with Geumdangji(the main building). Unlike stone pagoda, wooden pagoda has Simchoseok(central cornerstone) and Gongyangseok (meaning stone for a service) in the central part and on them large and long pillar called Simju (central pillar) is placed.
      Simchoseok and Gongyangseok vary in location depending on period. For example, Simchoseok and Gongyangseok in Buyeo Gunsuri temple site and Neungsanri temple site built in the mid 6th century are found underground and such construction technique is also found at Askadera temple site in Japan built by a person from Baekje who was engaged in building pagoda around 588. Sloped way called Sado(斜道) is found in cases which Simchoseok or Gongyangseok is placed underground.
      On the other hand, when seeing Wangheung temple site where there stood wooden pagoda built around, it is found that Simchoseok and Gongyangseok are placed above ground and under the ground respectively with them separated. When seeing Busosan temple site in Boyeo and Jeseok temple site in Iksan built after 7th century, it is found that Simchoseok and Gongyangseok are placed on the ground. All things considered, it seems that Simchoseok and Gongyangseok in wooden pagoda moved from underground to over the ground gradually. Wooden pagoda site at Wangheung temple site in Buyeo seems to be transient style.
      Wooden pagoda that used to stand in Hwangryong temple site in Gyeongju was built by Abiji who worked in making pagoda, which is suggested by rectangular Sarigong(舍利孔) which is placed in the middle of Simchoseok and Gongyangseok and a hole to drain water, podium and rectangular stone which is also called Tabgu(塔區). Podium in wooden pagoda site was classified into three forms but simple podium without Taengju(pillar supporting pagoda) hole or molding is early form of podium. Podium with Taengju and molding seems to have been reinforced in 720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gdeok.
      Archaeological studies show that Baekje’s technique was used in various parts including construction of pagoda, podium and podium soil in temple site by investigating temple site built during ancient Japan and Hwangryong temple site. Further research will help reveal relationships between Baekje culture and Japanese culture bett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부여 및 익산지역에는 백제 사비기에 조성된 여러 목탑지가 남아 있다. 이들은 모두 사비천도후 축조되었으며, 금당지와 더불어 사지의 중심부에 자리하고 있다. 목탑은 석탑과 달리 중심부...

      부여 및 익산지역에는 백제 사비기에 조성된 여러 목탑지가 남아 있다. 이들은 모두 사비천도후 축조되었으며, 금당지와 더불어 사지의 중심부에 자리하고 있다. 목탑은 석탑과 달리 중심부에 심초석 겸 공양석이 놓여 있으며, 이 위에는 심주라 불리는 기둥이 올려있다.
      심초석 겸 공양석은 시기에 따라 그 위치가 달라지고 있다. 즉, 6세기 중엽에 조성된 부여 군수리사지 및 능산리사지에서는 심초석 겸 공양석을 지하에서 볼 수 있고, 이러한 축조기법은 588 년 이후 백제 조탑공에 의해 비조지역에 축조된 일본 비조사 목탑지에서도 동일하게 찾아볼 수 있다. 이처럼 지하에 심초석이나 공양석 등이 설치된 경우에는 사도라 불리는 경사진 길을 살필 수있다.
      이에 반해 577년경의 부여 왕흥사지 목탑지를 보면 심초석과 공양석이 지상과 지하에 별도 분리·조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7세기 이후의 부여 부소산사지 및 익산 제석사지 목탑지를 보면 심초석 겸 공양석이 지상에 올라와 있음도 살필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백제 목탑지의심초석 겸 공양석은 지하에서 지상으로 점차 이동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의 과도기적인 형태로 부여 왕흥사지 목탑지의 사례도 찾아볼 수 있다.
      경주 황룡사지 목탑은 백제 조탑공이었던 아비지에 의해 완성되었다. 이는 심초석 겸 공양석의 중앙에 설치된 방형 사리공과 주변의 배수 홈, 그리고 기단석과 일명 탑구로 불리는 장대석을통해 엿볼 수 있다. 목탑지의 기단석은 크게 3가지 형식으로 구분되었으나 탱주 홈이나 모접이가없는 단순 장대석이 초기의 것으로 추정되었다. 아울러 탱주 홈과 모접이가 있는 기단석은 성덕왕대인 720년에 후보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현재 고고학적으로 드러난 고대 일본 사지와 신라 황룡사지에서는 조탑기술 뿐만 아니라 건물지 기단, 기단토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백제의 건축·토목기술이 확인되고 있다. 향후 조사 사례의증가에 따라 이들 기술의 상관성 또한 상대적으로 늘어날 것이라 생각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扶餘文化財硏究所, "龍井里寺址" 1993

      2 國立扶餘博物館, "陵寺" 2000

      3 國立博物館, "金剛寺" 1969

      4 국립문화재연구소, "한국 고대건축의 기단 경북·경남·대구·울산편" 2012

      5 권종남, "한국 고대 목탑의 구조와 의장 皇龍寺 九層塔" 2006

      6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한·중·일 고대사지 비교연구(1) -목탑지편-" 2009

      7 이병호, "특집 : 백제의 불교문화 ; 부여(扶餘) 구아리(舊衙里) 출토(出土) 소조상(塑造像)과 그 유적(遺蹟)의 성격(性格)" 백제문화연구소 (36) : 67-100, 2007

      8 탁경백, "정림사지 창건시기 재고" 한국건축역사학회 25 (25): 57-64, 2016

      9 이수경, "월남사지 조사 성과와 고대 기와" 한국고대학회·민족문화유산연구원 2013

      10 건축도시공간연구소 국가한옥센타, "와본 김동현 구술집" 2015

      1 扶餘文化財硏究所, "龍井里寺址" 1993

      2 國立扶餘博物館, "陵寺" 2000

      3 國立博物館, "金剛寺" 1969

      4 국립문화재연구소, "한국 고대건축의 기단 경북·경남·대구·울산편" 2012

      5 권종남, "한국 고대 목탑의 구조와 의장 皇龍寺 九層塔" 2006

      6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한·중·일 고대사지 비교연구(1) -목탑지편-" 2009

      7 이병호, "특집 : 백제의 불교문화 ; 부여(扶餘) 구아리(舊衙里) 출토(出土) 소조상(塑造像)과 그 유적(遺蹟)의 성격(性格)" 백제문화연구소 (36) : 67-100, 2007

      8 탁경백, "정림사지 창건시기 재고" 한국건축역사학회 25 (25): 57-64, 2016

      9 이수경, "월남사지 조사 성과와 고대 기와" 한국고대학회·민족문화유산연구원 2013

      10 건축도시공간연구소 국가한옥센타, "와본 김동현 구술집" 2015

      11 趙源昌, "수수께끼의 대통사를 찾아서" 공주시·공주대학교백제문화연구소 2014

      12 趙源昌, "백제사지 연구" 서경문화사 2013

      13 조원창, "백제 판단첨형식 연화문의 형식과 편년" 국립문화재연구소 42 (42): 132-153, 2009

      14 趙源昌, "백제 사원유적 탐색" 서경문화사 2014

      15 崔孟植, "발굴사례로 본 백제 건물지의 몇가지 특징" 2008

      16 전라북도익산지구문화유적지관리사업소, "미륵사지석탑" 2001

      17 趙源昌, "고려사지와 건축고고" 서경문화사 2016

      18 奈良國立文化財硏究所飛鳥資料館, "飛鳥資料館 案內"

      19 조원창, "飛鳥時代 倭 檜?寺址의 百濟 建築考古文化" 한국상고사학회 58 (58): 107-129, 2007

      20 朱岩石, "鄴城遺跡趙彭城東魏北齊佛寺跡の調査と發掘" 東北學院大學學術硏究會 (40) : 2006

      21 文化財管理局 文化財硏究所, "皇龍寺 遺蹟發掘調査報告書Ⅰ" 1984

      22 黃壽永, "皇龍寺 遺蹟發掘調査報告書Ⅰ" 文化財管理局 文化財硏究所 1984

      23 國立扶餘博物館, "百濟의 瓦塼" 1989

      24 國立扶餘博物館, "百濟寺址出土遺物" 1988

      25 조원창, "百濟 定林寺址 石塔 下部 軸基部 版築土의 性格" 한국고대사탐구학회 (5) : 125-158, 2010

      26 백제문화재연구원, "瑞山 大竹里 貝塚 大田 智足洞 遺蹟 舒川 庇仁 5層石塔 遺蹟" 2010

      27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王興寺址 木塔址 金堂址 發掘調査 報告書 Ⅲ" 2009

      28 "日本書紀"

      29 佐川 正敏, "日本 仏塔의 展開와 構造的 特徵" 백제연구소 (62) : 101-126, 2015

      30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扶餘軍守里寺址 -木塔址·金堂址 發掘調査報告書-Ⅰ" 2010

      31 佐川正敏, "扶餘王興寺址 出土 舍利器의 意味" 2008

      32 李殷昌, "扶餘 舊衙里 寺址心礎石" 5 (5): 1964

      33 김연수, "扶餘 王興寺址 出土 舍利器의 意味" 國立扶餘文化財硏究所 2008

      34 李炳鎬, "扶餘 定林寺址 出土 塑造像의 製作技法과 奉安場所" 72·73 : 2005

      35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扶餘 定林寺址" 2011

      36 國立文化財硏究所, "扶蘇山城" 1996

      37 國立慶州文化財硏究所, "感恩寺" 1997

      38 金正基, "彌勒寺塔과 定林寺塔 -建立時期의 先後에 관하여-" (164) : 1984

      39 文化財管理局 文化財硏究所, "彌勒寺 遺蹟發掘調査報告書Ⅰ" 1987

      40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帝釋寺址 발굴조사보고서Ⅰ" 2011

      41 趙焄哲, "定林寺址의 美術史的 考察" (6·7) : 1997

      42 忠南大學校博物館, "定林寺" 1981

      43 朝日新聞社, "奈良文化財硏究所創立50周年記念 飛鳥·藤原京展"

      44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四天王寺 金堂址 발굴조사보고서Ⅰ" 2012

      45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四天王寺 回廊內廓 발굴조사보고서Ⅱ" 2013

      46 奈良文化財硏究所, "吉備池廢寺發掘調査報告 -百濟大寺跡の調査-" 2003

      47 강현, "古代 三國 문화교류의 양상" 한국고대학회·국립중앙박물관 2016

      48 畿甸文化財硏究院, "元香寺" 2003

      49 조원창, "倭 山田寺址에서 본 百濟의 建築文化" 한국문화사학회 (26) : 49-68, 2006

      50 云岡石窟文物保管所, "中國石窟 云岡石窟 二" 文物出版社 1994

      51 "三國遺事"

      52 "三國史記"

      53 이강근, "7세기 신라 불교건축의 전통과 신조류" 국립문화재연구소·경주시 2009

      54 文物出版社, "2002 中國重要考古發現"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6 1.438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