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산화 단층 촬영을 통해 발견된 소아 기관기관지(Tracheal Bronchus)의 임상적 고찰 = The Clinical Consideration of Tracheal Bronchus Detected by Computed Tomography Scan in Childr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592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Tracheal bronchus is an aberrant bronchus arising from tracheal wall above the carina. Most cases of tracheal bronchus are asymptomatic, so they are diagnosed incidentally. Tracheal bronchus may be associated with other anomali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racheal bronchus.
      Methods:This study was conducted on 19 children who were diagnosed as tracheal bronchus by the chest computed tomography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11. Based on the medical record, clinical features, such as symptoms, radiologic findings, combined anomalies were evaluated retrospectively.
      Results:The age at diagnosis was ranged from 2 day to 14 years (mean, 51 months). Among the 19 children, twelve children (63.2%) were boys and seven children (36.8%) were girls. Eighteen children (94.7%) had right-side tracheal bronchus and one child (5.3%) had left-side tracheal bronchus. Displaced type were fourteen children (73.7%), supernumerary type were five children (26.3%). Thirteen children (68.4%) had no respiratory symptoms, but five children (26.3%) had persistent cough and four children (21.1%) had recurrent wheezing. Combined congenital abnormalities were present in seventeen children (89.5%), including congenital cardiovascular anomaly (n=14, 73.7%), trachea-esophageal fistula (n=3, 15.8%), Down syndrome (n=2, 10.5%).
      Conclusion:The patients with tracheal bronchus had not severe respiratory symptoms, but had many combined anomalies. So,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presence of tracheal bronchus in children with respiratory symptom, like recurrent wheezing, and to evaluate clinical significance, like combined anomaly, in tracheal bronchus patient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study group includes many cardiovascular disease patients (84.2%).
      번역하기

      Purpose:Tracheal bronchus is an aberrant bronchus arising from tracheal wall above the carina. Most cases of tracheal bronchus are asymptomatic, so they are diagnosed incidentally. Tracheal bronchus may be associated with other anomalies. The aim of t...

      Purpose:Tracheal bronchus is an aberrant bronchus arising from tracheal wall above the carina. Most cases of tracheal bronchus are asymptomatic, so they are diagnosed incidentally. Tracheal bronchus may be associated with other anomali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racheal bronchus.
      Methods:This study was conducted on 19 children who were diagnosed as tracheal bronchus by the chest computed tomography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11. Based on the medical record, clinical features, such as symptoms, radiologic findings, combined anomalies were evaluated retrospectively.
      Results:The age at diagnosis was ranged from 2 day to 14 years (mean, 51 months). Among the 19 children, twelve children (63.2%) were boys and seven children (36.8%) were girls. Eighteen children (94.7%) had right-side tracheal bronchus and one child (5.3%) had left-side tracheal bronchus. Displaced type were fourteen children (73.7%), supernumerary type were five children (26.3%). Thirteen children (68.4%) had no respiratory symptoms, but five children (26.3%) had persistent cough and four children (21.1%) had recurrent wheezing. Combined congenital abnormalities were present in seventeen children (89.5%), including congenital cardiovascular anomaly (n=14, 73.7%), trachea-esophageal fistula (n=3, 15.8%), Down syndrome (n=2, 10.5%).
      Conclusion:The patients with tracheal bronchus had not severe respiratory symptoms, but had many combined anomalies. So,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presence of tracheal bronchus in children with respiratory symptom, like recurrent wheezing, and to evaluate clinical significance, like combined anomaly, in tracheal bronchus patient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study group includes many cardiovascular disease patients (84.2%).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기관기관지는 기관분기부 상부의 기관의 측벽에서 기원하는 이소성 기관지로, 대개 무증상으로 우연히 발견되며, 다른 기형과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기관기관지의 임상 양상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2000년 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흉부 전산화 단층 촬영 스캔을 실시하여 기관기관지로 진단된 19례를 대상으로 이들의 증상, 방사선학적 소견, 동반 기형의 유무 등 임상 양상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기관기관지로 진단될 때 나이는 2일부터 14세까지(평균 51개월)였으며, 남아가 12명(63.2%), 여아가 7명(36.8%)이었다. 우측 기관기관지가 18명(94.7%), 좌측 기관기관지가 1명(5.3%)으로 대부분 우측에서 기원하였고, 기관지의 수에 따라 전위형이 14명(73.7%), 과다형이 5명(26.3%)으로 전위형이 많았다. 증상은 없는 경우가 13명(68.4%)이었고, 기침 5명(26.3%), 반복적 천명이 4명(21.1%)에서 관찰되었다. 동반기형은 17명(89.5%)에서 확인되었고, 선천 심혈관계 기형이 16명(84.2%), 기관-식도루 3명(15.8%), 다운증후군 2명(10.5%)이었다.
      결론:기관기관지 환자에서 호흡기계 증상은 심하지 않았으나, 다른 동반 기형들이 많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반복되는 천명과 같은 증상이 있는 경우 기관기관지 여부를 확인하고, 기관기관지로 진단된 경우에는 동반 기형 여부 등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겠다. 본 연구는 연구 대상에 심혈관계 기형을 가진 환자의 빈도(84.2%)가 높아 한계를 가진다.
      번역하기

      목적:기관기관지는 기관분기부 상부의 기관의 측벽에서 기원하는 이소성 기관지로, 대개 무증상으로 우연히 발견되며, 다른 기형과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기관기관지의 임...

      목적:기관기관지는 기관분기부 상부의 기관의 측벽에서 기원하는 이소성 기관지로, 대개 무증상으로 우연히 발견되며, 다른 기형과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기관기관지의 임상 양상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2000년 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흉부 전산화 단층 촬영 스캔을 실시하여 기관기관지로 진단된 19례를 대상으로 이들의 증상, 방사선학적 소견, 동반 기형의 유무 등 임상 양상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기관기관지로 진단될 때 나이는 2일부터 14세까지(평균 51개월)였으며, 남아가 12명(63.2%), 여아가 7명(36.8%)이었다. 우측 기관기관지가 18명(94.7%), 좌측 기관기관지가 1명(5.3%)으로 대부분 우측에서 기원하였고, 기관지의 수에 따라 전위형이 14명(73.7%), 과다형이 5명(26.3%)으로 전위형이 많았다. 증상은 없는 경우가 13명(68.4%)이었고, 기침 5명(26.3%), 반복적 천명이 4명(21.1%)에서 관찰되었다. 동반기형은 17명(89.5%)에서 확인되었고, 선천 심혈관계 기형이 16명(84.2%), 기관-식도루 3명(15.8%), 다운증후군 2명(10.5%)이었다.
      결론:기관기관지 환자에서 호흡기계 증상은 심하지 않았으나, 다른 동반 기형들이 많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반복되는 천명과 같은 증상이 있는 경우 기관기관지 여부를 확인하고, 기관기관지로 진단된 경우에는 동반 기형 여부 등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겠다. 본 연구는 연구 대상에 심혈관계 기형을 가진 환자의 빈도(84.2%)가 높아 한계를 가진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공병구, "기관지경과 컴퓨터 단층 조영술로 확진한 Tracheal bronchus 1례" 대한소아과학회 43 (43): 1501-1504, 2000

      2 김준철, "기관 및 주기관지에서 발생한 기관지기형의 임상적 고찰"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59 (59): 664-669, 2005

      3 McLaughlin FJ, "Tracheal bronchus: association with respiratory morbidity in childhood" 106 : 751-755, 1985

      4 Vevecka E, "Tracheal bronchus associated with congenital cystic adenomatoid malformation" 20 : 413-416, 1995

      5 Siegel MJ, "Tracheal bronchus" 130 : 353-355, 1979

      6 Barat M, "Tracheal bronchus" 8 : 118-122, 1987

      7 Venkateswarlu T, "The tracheal bronchus: an unusual airway probelm" 55 : 746-747, 1976

      8 Harris JH Jr,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the tracheal bronchus" 79 : 228-234, 1958

      9 Vredevoe LA, "Obstruction of anomalous tracheal bronchus with endotracheal intubation" 55 : 581-583, 1981

      10 Alescio T, "Induction in vitro of tracheal buds by pulmonary mesenchyme grafted on tracheal epithelium" 150 : 83-94, 1962

      1 공병구, "기관지경과 컴퓨터 단층 조영술로 확진한 Tracheal bronchus 1례" 대한소아과학회 43 (43): 1501-1504, 2000

      2 김준철, "기관 및 주기관지에서 발생한 기관지기형의 임상적 고찰"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59 (59): 664-669, 2005

      3 McLaughlin FJ, "Tracheal bronchus: association with respiratory morbidity in childhood" 106 : 751-755, 1985

      4 Vevecka E, "Tracheal bronchus associated with congenital cystic adenomatoid malformation" 20 : 413-416, 1995

      5 Siegel MJ, "Tracheal bronchus" 130 : 353-355, 1979

      6 Barat M, "Tracheal bronchus" 8 : 118-122, 1987

      7 Venkateswarlu T, "The tracheal bronchus: an unusual airway probelm" 55 : 746-747, 1976

      8 Harris JH Jr,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the tracheal bronchus" 79 : 228-234, 1958

      9 Vredevoe LA, "Obstruction of anomalous tracheal bronchus with endotracheal intubation" 55 : 581-583, 1981

      10 Alescio T, "Induction in vitro of tracheal buds by pulmonary mesenchyme grafted on tracheal epithelium" 150 : 83-94, 1962

      11 Ming Z, "Evaluation of tracheal bronchus in Chinese children using multidetector CT" 37 : 1230-1234, 2007

      12 Ritsema GH, "Ectopic right bronchus: indication for bronchography" 140 : 671-674, 1983

      13 Ghaye B, "Congenital bronchial abnormalities revisited" 21 : 105-119, 2001

      14 Shipley RT, "Computed tomography of the tracheal bronchus" 9 : 53-55, 1985

      15 Wong KS, "Clinical and computed tomographic features of tracheal bronchus in children" 98 : 646-648, 1999

      16 Foster-Carter AF, "Broncho-pulmonary abnormalities" 40 : 111-124, 1946

      17 Inada K, "An anomalous tracheal bronchus to the right upper lobe; report of two cases" 31 : 109-112, 1957

      18 Gerson CE, "An anomalous tracheal bronchus to the right upper lobe" 64 : 686-690, 1951

      19 Bertrand P, "Airway anomalies in children with Down syndrome: endoscopic findings" 36 : 137-141, 2003

      20 Keane MP, "Accessory cardiac bronchus presenting with haemoptysis" 52 : 490-491, 1997

      21 Won JH, "A clinical experience of tracheal bronchus" 45 : 583-586, 1998

      22 Choi JA, "A case of tracheal bronchus" 8 : 112-118, 1998

      23 최아름, "A case of recurrent respiratory infection resulting from acongenital anomaly of the bronchial tree tracheal bronchus" 대한소아과학회 51 (51): 660-664,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4-0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소아알레르기및호흡기학회지 ->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s
      외국어명 :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Allergy and Respiratory Disease -> 알레르기 천식 호흡기질환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7-05-30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4 0.34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1 0.971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