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우리나라 동천구곡의 지형경관 = The Geomorphological Features of Dongcheon-gugok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143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동천구곡은 자연지형과 인간 심성활동의 결합체이다. 본 논문은 동천구곡의 장소성과 경관 이미지를 구성하는 기본요소인 지형경관의 특성에 대하여 조사·확인한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

      동천구곡은 자연지형과 인간 심성활동의 결합체이다. 본 논문은 동천구곡의 장소성과 경관 이미지를 구성하는 기본요소인 지형경관의 특성에 대하여 조사·확인한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우리나라 동천구곡은 주로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의 산지 지역에 주로 입지·분포하며, 이는 인근에 위치한 양반의 계거촌과 관련이 있다. 동천구곡이 자리 잡은 지역의 기반암 특성이 지형경관 특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화강암과 퇴적암 경관이 이를 가장 대표한다. 우리나라 동천구곡은 산지 내부를 흐르는 곡류하도에 주로 입지하여, 곡류하도 주변에 나타나는 다양한 지형요소들이 주요 경관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주요 지형요소로는 봉우리, 소규모 평탄면, 토르, 수직절벽, 폭포, 여울, 소, 포인트바, 그리고 너럭바위, 거력, 암설사력퇴, 마식된 암반하상과 포트홀 등이 있다. 이를 동천 구곡에서는 대(臺)·암(巖)·봉(峰)·벽(璧)·벼리(遷)·학(壑)·반석(盤石)·천(泉)·폭(瀑)·담(潭)·연(淵)·추(湫)·소(沼)·천(川)·탄(灘) 등으로 칭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work is to describe the geomorphological landscapes of of Dongcheon-gugok in Korea, and attempts to develop a basic data for traditional natural heritage. Dongcheon-gugok is a union of natural lanscape and human mind-activity. Therefore the study...

      This work is to describe the geomorphological landscapes of of Dongcheon-gugok in Korea, and attempts to develop a basic data for traditional natural heritage. Dongcheon-gugok is a union of natural lanscape and human mind-activity. Therefore the study of natural landscape, which consists of geomorphological landscapes, provides a basic data for the use and conservation of traditional natural heritage. Dongcheon-gugok in Korea is almost distributed in the valley of mountainous areas of Taeback and Soback Mountain Ranges. The bedrocks of the areas of Dongcheon-gugok are almost granitic rocks and sedimentary rocks. The landscapes of Dongcheon-gugok is characterized by narrow meandering valley, so Gugok means nine-bended river. The elements of the geomorphological features is a broad flat rock with sheeting joints, joint-block seperated large blocks or tor, steep slope and rocky cliffs, pool, ripple, large or small scale waterfall, pot-hole, etc.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화재청, 2008

      2 이민수, "택리지" 평화출판사구글어스 위성영상(Google Earth) 2005

      3 김덕현, "전통명승 동천구곡의 의의와 활성화 방향" 198-215, 2010

      4 최석기, "전통 명승의 인문학적 의미" (29) : 187-232, 2008

      5 송미숙, "소백산지 남동사면 산록대 지역의 지형 특색 - 상주~안동 일대를 중심으로 -" 한국지형학회 14 (14): 43-55, 2007

      6 오경섭, "산지 하곡의 사력퇴 습지 발달 양상" 한국지형학회 15 (15): 1-13, 2008

      7 조헌, "사력퇴를 통해서 본 한국 산지 하천의 지형 특색 : 남한강·금강·낙동강·섬진강 유역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8 기근도, "동천구곡의 분포특성과 자연지리적성격" (29) : 233-247, 2008

      9 오경섭, "구조지형학 관점에서 본 한반도 중부의 지형선구조 체계" 한국지형학회 14 (14): 1-19, 2007

      10 기근도, "경상좌도 동천구곡의 지형적 특성" 한국지형학회 15 (15): 95-109, 2008

      1 문화재청, 2008

      2 이민수, "택리지" 평화출판사구글어스 위성영상(Google Earth) 2005

      3 김덕현, "전통명승 동천구곡의 의의와 활성화 방향" 198-215, 2010

      4 최석기, "전통 명승의 인문학적 의미" (29) : 187-232, 2008

      5 송미숙, "소백산지 남동사면 산록대 지역의 지형 특색 - 상주~안동 일대를 중심으로 -" 한국지형학회 14 (14): 43-55, 2007

      6 오경섭, "산지 하곡의 사력퇴 습지 발달 양상" 한국지형학회 15 (15): 1-13, 2008

      7 조헌, "사력퇴를 통해서 본 한국 산지 하천의 지형 특색 : 남한강·금강·낙동강·섬진강 유역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8 기근도, "동천구곡의 분포특성과 자연지리적성격" (29) : 233-247, 2008

      9 오경섭, "구조지형학 관점에서 본 한반도 중부의 지형선구조 체계" 한국지형학회 14 (14): 1-19, 2007

      10 기근도, "경상좌도 동천구곡의 지형적 특성" 한국지형학회 15 (15): 95-109, 2008

      11 기근도, "경상우도 동천구곡의 지형적 특성" 한국지형학회 14 (14): 123-136, 2007

      12 노재현, "中國 武夷九曲의 場所 美學과 河川形態學的 特性 - 국내 구곡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전통조경학회 26 (26): 1-11, 2008

      13 문화재청, "2008년전통명승동천구곡조사보고서" 2008

      14 문화재청, "2007년전통명승동천구곡조사보고서" 2007

      15 문화재청, "2006년전통명승동천구곡조사보고서" 2007

      16 문화재청, "2006~2008 전통명승 동천구곡 학술조사 종합보고서"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 0.71 0.769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