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성장 모티프를 활용한 성장시 교수·학습 방안 연구 = A Study on Teaching-Learning Method of a Initiation Poem focused on the Initiation Motiv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736904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2009. 8

      • 발행연도

        2009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ⅸ, 87 p. ; 26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나은진

      • 소장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문학 작품 속에는 그 작품을 쓴 사람의 생각과 더불어 일반적인 사람들의 가치관이 포함되어 있으며, 또한 글을 쓴 시대의 시대상이 반영하고 있다. 이러한 문학 작품은 우리의 언어로 쓰여 있어서 작가들의 다양한 사상과 문화적 요소를 충분히 담고 있는 언어적 교재이다. 따라서 문학 작품을 통한 언어 수업은 언어 학습과 문화 학습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한꺼번에 잡을 수 있으며 이들의 상호 작용으로 학습 효과는 더욱 뛰어날 수 있다.
      이와 같이 언어를 배우며 해당국의 문화와 사고를 이해할 수 있는 매개체로 문학작품을 활용할 수 있으며, 문학 작품은 수업 시간에 활용할 만한 충분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
      문학의 여러 장르 중에서도 시는 문장이 간결하면서 운율과 리듬이 풍부한 언어로서 강렬한 감정과 풍부한 예술적 형상을 사용하여, 고도로 집중적으로 사회생활을 반영하는 문학 체제이다. 시는 길이가 짧아서 교실에서 활용하기 좋고, 양적 부담이 적기 때문에 쉬운 시는 저학년 학습자에게서부터 교육이 가능하다. 이는 간결하고, 운율적이며,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 아름다운 시적 언어로 표현되어 학습자의 정서 함양과 감수성 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길이가 짧고 학습자가 이해 가능한 상징들로 이루어진 시는 학생들이 흥미를 갖고 학습할 수 있다.
      시를 배운다는 것은 말하고 듣고 쓰고 읽는 활동이 기본이 되어 교사와 학습자의 의사소통을 의미하는 것이겠지만, 지금까지 시를 경험하게 되는 교실 현장에서는 아직도 교사중심의 학습이 이루어져 일방적인 교사의 발화에만 초점을 맞추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점에 학습자를 고려한 교육과정에 반성적인 의식을 가지고, 교수가 아닌 교수․학습의 강조와 함께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의 위치와 역할을 크게 확대하여 학습자 중심의 교육 실현을 목표로 삼아야 할 것이다.
      이전의 교육과정 및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이 강조하고 있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방법을 고려할 때 학습자의 참여 여지가 크고 학습동기가 높은 성장시의 학습만큼 효과가 극대화되는 장르는 없을 것이다. 물론 주 4~5회의 국어교과 수업 중, 낮은 빈도 속에 성장시를 접하는 것과 입시 위주의 교육 현실의 영향으로 시 수업이 그 목표를 다하지 못하고 있다는 현실이지만, 성장시 작품을 읽음으로써 우리나라의 역사나 문화에 대해서도 알 수 있고 시 작품 속에서의 화자의 생각과 가치관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본고는, 학습자의 내면적 성장에 도움이 되는 작품들이 교실현장에서 중요한 가치성으로 활용되어야 하다는 전제 하에, 학습자의 내면적 성장을 위한 시 장르를 성장시로 규정하고, 그러한 작품들의 유형과 문학교육적 의미를 논하였다. 성장 결과로서의 성장시와 성장 과정으로서의 성장시로 두 가지의 유형이 있다고 보았으며 그것으로 성장시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성장시는 유대감이 미흡하게 형성된 미성숙한 자아로 출발하여 헤아릴 만큼 성숙하지 못한 철없는 상태의 불안한 내면을 젊음과 고뇌를 통해 각성하고 깨달으며 내면적 성장을 경험하게 되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즉 미성숙한 자아가 성숙과 각성의 순간을 느끼며 그것을 형상화하고 있는 것이 성장시이다.
      성장시는 무엇보다도 성장기를 거치고 있는 학습자와 심리적으로 비슷한 내면을 보여주고 있는 대상이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성장시 안에서의 대상은 거울처럼 학습자의 내면을 투영하기 때문에 학습자는 성장시에 나오는 대상에 자신을 빗대어 형상화 해 볼 수 있고 그 대상의 심리를 학습자 자신의 것으로 심리적 공감을 하게 된다.
      이러한 성장시는 문학교육 과정에서 시를 이해하는 데에 어려워하고 두려워하는 학습자의 흥미유발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성장시를 통한 학습자의 내면적 성장에 중요한 가치성을 부여하는 효과적인 작품군이라 하겠다.
      번역하기

      문학 작품 속에는 그 작품을 쓴 사람의 생각과 더불어 일반적인 사람들의 가치관이 포함되어 있으며, 또한 글을 쓴 시대의 시대상이 반영하고 있다. 이러한 문학 작품은 우리의 언어로 쓰여 ...

      문학 작품 속에는 그 작품을 쓴 사람의 생각과 더불어 일반적인 사람들의 가치관이 포함되어 있으며, 또한 글을 쓴 시대의 시대상이 반영하고 있다. 이러한 문학 작품은 우리의 언어로 쓰여 있어서 작가들의 다양한 사상과 문화적 요소를 충분히 담고 있는 언어적 교재이다. 따라서 문학 작품을 통한 언어 수업은 언어 학습과 문화 학습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한꺼번에 잡을 수 있으며 이들의 상호 작용으로 학습 효과는 더욱 뛰어날 수 있다.
      이와 같이 언어를 배우며 해당국의 문화와 사고를 이해할 수 있는 매개체로 문학작품을 활용할 수 있으며, 문학 작품은 수업 시간에 활용할 만한 충분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
      문학의 여러 장르 중에서도 시는 문장이 간결하면서 운율과 리듬이 풍부한 언어로서 강렬한 감정과 풍부한 예술적 형상을 사용하여, 고도로 집중적으로 사회생활을 반영하는 문학 체제이다. 시는 길이가 짧아서 교실에서 활용하기 좋고, 양적 부담이 적기 때문에 쉬운 시는 저학년 학습자에게서부터 교육이 가능하다. 이는 간결하고, 운율적이며,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 아름다운 시적 언어로 표현되어 학습자의 정서 함양과 감수성 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길이가 짧고 학습자가 이해 가능한 상징들로 이루어진 시는 학생들이 흥미를 갖고 학습할 수 있다.
      시를 배운다는 것은 말하고 듣고 쓰고 읽는 활동이 기본이 되어 교사와 학습자의 의사소통을 의미하는 것이겠지만, 지금까지 시를 경험하게 되는 교실 현장에서는 아직도 교사중심의 학습이 이루어져 일방적인 교사의 발화에만 초점을 맞추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점에 학습자를 고려한 교육과정에 반성적인 의식을 가지고, 교수가 아닌 교수․학습의 강조와 함께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의 위치와 역할을 크게 확대하여 학습자 중심의 교육 실현을 목표로 삼아야 할 것이다.
      이전의 교육과정 및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이 강조하고 있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방법을 고려할 때 학습자의 참여 여지가 크고 학습동기가 높은 성장시의 학습만큼 효과가 극대화되는 장르는 없을 것이다. 물론 주 4~5회의 국어교과 수업 중, 낮은 빈도 속에 성장시를 접하는 것과 입시 위주의 교육 현실의 영향으로 시 수업이 그 목표를 다하지 못하고 있다는 현실이지만, 성장시 작품을 읽음으로써 우리나라의 역사나 문화에 대해서도 알 수 있고 시 작품 속에서의 화자의 생각과 가치관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본고는, 학습자의 내면적 성장에 도움이 되는 작품들이 교실현장에서 중요한 가치성으로 활용되어야 하다는 전제 하에, 학습자의 내면적 성장을 위한 시 장르를 성장시로 규정하고, 그러한 작품들의 유형과 문학교육적 의미를 논하였다. 성장 결과로서의 성장시와 성장 과정으로서의 성장시로 두 가지의 유형이 있다고 보았으며 그것으로 성장시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성장시는 유대감이 미흡하게 형성된 미성숙한 자아로 출발하여 헤아릴 만큼 성숙하지 못한 철없는 상태의 불안한 내면을 젊음과 고뇌를 통해 각성하고 깨달으며 내면적 성장을 경험하게 되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즉 미성숙한 자아가 성숙과 각성의 순간을 느끼며 그것을 형상화하고 있는 것이 성장시이다.
      성장시는 무엇보다도 성장기를 거치고 있는 학습자와 심리적으로 비슷한 내면을 보여주고 있는 대상이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성장시 안에서의 대상은 거울처럼 학습자의 내면을 투영하기 때문에 학습자는 성장시에 나오는 대상에 자신을 빗대어 형상화 해 볼 수 있고 그 대상의 심리를 학습자 자신의 것으로 심리적 공감을 하게 된다.
      이러한 성장시는 문학교육 과정에서 시를 이해하는 데에 어려워하고 두려워하는 학습자의 흥미유발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성장시를 통한 학습자의 내면적 성장에 중요한 가치성을 부여하는 효과적인 작품군이라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iterary works are verbal teaching materials that carry enough various thought of writers and cultural elements because those written by our language, language study by literary works has it both ways that language and culture learning, and learning effectiveness could more surpass by their interaction.
      Poem among many literary genres is a literary system, its sentence is concise, is a language that has abundant beat and rhythm, uses strong feeling and artistic shape, is expressed a beautiful poetical language that has a symbolic meaning, and could help a learner's emotion cultivation and sensibility development.
      This study provides poem genre, that is a initiation Poem, for a learner's internal grown-up that immature ego feels a moment of maturity and awakening and forms it, on the assumption that works of help to a learner's internal grown-up have to be used a important value in classroom, the field.
      Because characteristic of the initiation poem has a object that shows similar inside with a learner who has been a growth period psychologically, this study considers initiation poem as growth result and process on type of works, and discusses literary-educational meaning on the initiation poem.
      For the object in a initiation poem projects a learner's inside like mirror, it can give to help sparking off a learner's interest who have scruples and fears about understanding a poem, it is a effective group of works that gives a important value to a learner's internal grown-up by a initiation poem.
      번역하기

      Literary works are verbal teaching materials that carry enough various thought of writers and cultural elements because those written by our language, language study by literary works has it both ways that language and culture learning, and learning e...

      Literary works are verbal teaching materials that carry enough various thought of writers and cultural elements because those written by our language, language study by literary works has it both ways that language and culture learning, and learning effectiveness could more surpass by their interaction.
      Poem among many literary genres is a literary system, its sentence is concise, is a language that has abundant beat and rhythm, uses strong feeling and artistic shape, is expressed a beautiful poetical language that has a symbolic meaning, and could help a learner's emotion cultivation and sensibility development.
      This study provides poem genre, that is a initiation Poem, for a learner's internal grown-up that immature ego feels a moment of maturity and awakening and forms it, on the assumption that works of help to a learner's internal grown-up have to be used a important value in classroom, the field.
      Because characteristic of the initiation poem has a object that shows similar inside with a learner who has been a growth period psychologically, this study considers initiation poem as growth result and process on type of works, and discusses literary-educational meaning on the initiation poem.
      For the object in a initiation poem projects a learner's inside like mirror, it can give to help sparking off a learner's interest who have scruples and fears about understanding a poem, it is a effective group of works that gives a important value to a learner's internal grown-up by a initiation poe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A. 연구의 목적 = 1
      • B. 선행 연구사 검토 = 5
      • C.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10
      • Ⅱ. 성장 모티프와 성장시의 범주 설정 = 13
      • Ⅰ. 서론 = 1
      • A. 연구의 목적 = 1
      • B. 선행 연구사 검토 = 5
      • C.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 10
      • Ⅱ. 성장 모티프와 성장시의 범주 설정 = 13
      • A. 성장 모티프의 개념과 특성 = 13
      • 1. 성장시의 범주 설정 필요성 = 13
      • 2. 성장시의 교육적 가치 = 16
      • B. 성장시의 문학 교육적 의의 = 18
      • 1. 성장시의 개념과 필요성 = 19
      • 2. 성장 모티프 활용시 성장시의 교육 효과 = 21
      • Ⅲ. 성장시의 교수·학습 방법과 교수·학습 설계 = 34
      • A. 성장 과정으로서의 성장시 = 35
      • 1. 교과서 수록 작품 분석 = 36
      • 2. 문제점 및 학습방법 제안 = 38
      • B. 성장 결과로서의 성장시 = 42
      • 1. 교과서 수록 작품 분석 = 42
      • 2. 문제점 및 학습방법 제안 = 45
      • Ⅵ. 성장시 교수·학습의 실제 = 49
      • A. <낙화>에 적용한 교수·학습 모형 = 49
      • 1. 단원의 개관 및 지도 계획 = 51
      • 2. 차시별 지도 계획 = 57
      • B. 성장시의 교수·학습 연구 결과 및 효과 = 69
      • 1. 성장시의 교수·학습 결과 분석 = 69
      • 2. 성장시의 교수·학습의 효과 및 의의 = 74
      • Ⅴ. 결론 = 77
      • 참고문헌 = 79
      • 부록 설문지 = 82
      • ABSTRACT = 8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