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인의 주택개조 의지 측정도구 개발 = The Development of the Scale for the Elderly’s Intention on Home Renov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391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cale to measure the elderly’s intention on home renovation and to verify its validity. As a methodological study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is study provides 26 preliminary items in the pre-test. The first main test, performed to verify the content validity of the developed items, was followed by a second test of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As the result of the content validity test targeting experts, some of the original 26 items were excluded, while others were combined for a total of 22. As the result of the construct validity test of the scale, targeting the elderly aged 65 and over, the 22 items were narrowed down to 14 items, excluding the items that were unsuitable for communality and Eigen value. After once more conducting a factor analysis, the items were classified into five factors with a total cumulative variance of 72.5% and a Cronbach's α of 0.75.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iscussion of housing for the elderly by giving force to environmental regeneration activities through facilitating the identification of the home owners’ intentions to renovate in order to improve the physical environment in decayed areas at a public level.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cale to measure the elderly’s intention on home renovation and to verify its validity. As a methodological study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is study provides 26 preliminary items in the pre-test. The fir...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cale to measure the elderly’s intention on home renovation and to verify its validity. As a methodological study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is study provides 26 preliminary items in the pre-test. The first main test, performed to verify the content validity of the developed items, was followed by a second test of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As the result of the content validity test targeting experts, some of the original 26 items were excluded, while others were combined for a total of 22. As the result of the construct validity test of the scale, targeting the elderly aged 65 and over, the 22 items were narrowed down to 14 items, excluding the items that were unsuitable for communality and Eigen value. After once more conducting a factor analysis, the items were classified into five factors with a total cumulative variance of 72.5% and a Cronbach's α of 0.75.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iscussion of housing for the elderly by giving force to environmental regeneration activities through facilitating the identification of the home owners’ intentions to renovate in order to improve the physical environment in decayed areas at a public leve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노인들의 주택개조 의지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계획적 행위이론 모형을 토대로 한 방법론적 연구로, 사전조사를 실시하여 26개의 예비항목을 마련하였다. 개발된 항목의 내용타당도 검정을 위한 1차 조사와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한 구성타당도 검정 및 내적신뢰도 검정을 위한 2차 조사를 순차적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가를 대상으로 내용타당도 검정을 통해 사전조사에서 개발된 26개 항목 중 일부가 제외되거나 병합되어 총 22개의 항목으로 재조정되었다. 둘째, 쇠퇴지역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 여성 노인을 대상으로 도구의 구성타당도 검정하여 공통성이나 고유값이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된 항목들을 제외하고 총 14개의 항목이 5개의 요인으로 재구성되었다. 이는 총 72.5% 수준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내적신뢰도 또한 0.75로 신뢰할만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는 공공차원에서 쇠퇴지역의 물리적 환경을 개선함에 있어 주택 소유자의 개조의지를 정량화하여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함으로써 지역의 원활한 환경 재생을 도모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노인들의 주택개조 의지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계획적 행위이론 모형을 토대로 한 방법론적 연구로, 사전조사...

      본 연구는 노인들의 주택개조 의지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계획적 행위이론 모형을 토대로 한 방법론적 연구로, 사전조사를 실시하여 26개의 예비항목을 마련하였다. 개발된 항목의 내용타당도 검정을 위한 1차 조사와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한 구성타당도 검정 및 내적신뢰도 검정을 위한 2차 조사를 순차적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가를 대상으로 내용타당도 검정을 통해 사전조사에서 개발된 26개 항목 중 일부가 제외되거나 병합되어 총 22개의 항목으로 재조정되었다. 둘째, 쇠퇴지역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 여성 노인을 대상으로 도구의 구성타당도 검정하여 공통성이나 고유값이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된 항목들을 제외하고 총 14개의 항목이 5개의 요인으로 재구성되었다. 이는 총 72.5% 수준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내적신뢰도 또한 0.75로 신뢰할만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는 공공차원에서 쇠퇴지역의 물리적 환경을 개선함에 있어 주택 소유자의 개조의지를 정량화하여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함으로써 지역의 원활한 환경 재생을 도모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훈영, "연구조사방법론" 도서출판청람 2012

      2 이은남, "억제대 적용에 대한 가족의 정서적 반응 측정 도구개발" 한국간호과학회 38 (38): 629-638, 2008

      3 안소미, "쇠퇴지역 옥외환경 특성과 노인건강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4 장미선, "쇠퇴지역 거주 노인의 주택개조를 위한 주거실태조사연구" 11 (11): 435-440, 2011

      5 함명일, "병원건강증진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이용의도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6 이연숙, "노인주택 디자인"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7

      7 심영, "노인복지측면에서 본충청북도 지역 노인단독가구의 생활환경 분석 및 개선방안 : 경제 및 주거환경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 14 (14): 1-20, 1996

      8 김영주, "노인가구의 자립생활증진을 위한 주택개조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 노인가구의 주택개조실태와 요구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 24 (24): 79-94, 2006

      9 박인혜, "남성 직장인의 절주행위 측정도구 개발 -Ajzen의 계획적 행위 이론 적용-"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1 (21): 156-168, 2010

      10 김태욱, "군 흡연자의 금연행위 및 금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계획적 행위 이론에 근거하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1 이훈영, "연구조사방법론" 도서출판청람 2012

      2 이은남, "억제대 적용에 대한 가족의 정서적 반응 측정 도구개발" 한국간호과학회 38 (38): 629-638, 2008

      3 안소미, "쇠퇴지역 옥외환경 특성과 노인건강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4 장미선, "쇠퇴지역 거주 노인의 주택개조를 위한 주거실태조사연구" 11 (11): 435-440, 2011

      5 함명일, "병원건강증진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이용의도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6 이연숙, "노인주택 디자인"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7

      7 심영, "노인복지측면에서 본충청북도 지역 노인단독가구의 생활환경 분석 및 개선방안 : 경제 및 주거환경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 14 (14): 1-20, 1996

      8 김영주, "노인가구의 자립생활증진을 위한 주택개조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 노인가구의 주택개조실태와 요구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 24 (24): 79-94, 2006

      9 박인혜, "남성 직장인의 절주행위 측정도구 개발 -Ajzen의 계획적 행위 이론 적용-"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1 (21): 156-168, 2010

      10 김태욱, "군 흡연자의 금연행위 및 금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계획적 행위 이론에 근거하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11 통계청, "고령자 통계"

      12 권인수,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 측정도구 개발" 한국간호과학회 36 (36): 950-958, 2006

      13 Mutchler, P, "Where elders live" 16 : 7-14, 1994

      14 Ajzen, I,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50 : 179-211, 1991

      15 Madden,TJ, "Predictionof goal-directed behavior : Attitudes, intention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22 : 453-474, 1986

      16 Glanz, K, "Health Behavior andHealth Education" Jossey-Bass 2008

      17 Ajzen, I, "ConstructingaTPB questionnaire: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considerations"

      18 Francis, J, "Constructing questionnaires basedon thetheoryofplannedbehavior"

      19 Centre for Health Services Research, "Constructing questionnaires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20 지연옥, "Ajzen의 계획적 행위이론을 적용한 도구개발" 2 (2): 102-115, 199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4 1.34 1.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4 2.08 2.242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