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내 미디어·디지털·정보·ICT 리터러시의 연구동향 분석 = A Literature Review for Exploring Research Trends of Media, Digital, Information, & ICT Literacy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160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rapid advances of digital technologies, the term of literacy has been evolved as various forms of new literacies extending the meanings from ‘reading and writing texts’ to ‘competency and knowledge in a specific domain’. Especially media,...

      With rapid advances of digital technologies, the term of literacy has been evolved as various forms of new literacies extending the meanings from ‘reading and writing texts’ to ‘competency and knowledge in a specific domain’. Especially media, digital, information, and ICT literacy have received attentions and been discussed as core skills necessary for 21st century. However, there were no prior efforts to investigate and compare what kinds of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in these literacy field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research trends of media, digital, information, and ICT literacy in Korea. The total numbers of 203 research articles were selected for the literature reviews through academic journal searches with RISS database. The research findings were presented in four areas such as academic distributions in each literacy studies, research goals and interests, research approaches and methods, and a target group for research.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discusses 1) necessity of research topic characterization responding to conceptual explorations and changes in each literacy field, 2) vital efforts of research convergences crossing the border of four literacy fields, 3) necessity of analytic meta research to integrate accumulated findings of empirical researches., 4) activation of interpretive research and design based research in future research efforts, 5) Escape from the overdependence on specific research methods such as survey and content analysis, and 6) socially responsible research to investigate literacy gaps across various generations and neglected class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급격한 발전과 함께 리터러시는 ‘문자를 읽고 쓰는 능력’에서 ‘특정 분야의 역량과 지식’으로의미를 확장하며 새로운 리터러시의 개념들로 분화되어 왔다. 그 중...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급격한 발전과 함께 리터러시는 ‘문자를 읽고 쓰는 능력’에서 ‘특정 분야의 역량과 지식’으로의미를 확장하며 새로운 리터러시의 개념들로 분화되어 왔다. 그 중에서 미디어·디지털·정보·ICT 리터러시는 21세기필요 역량으로 가장 많이 논의되고 개념화되는 리터러시들이다. 그러나 개념적 탐색 노력에 비해 각 리터러시 분야의실제적인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선행 연구는 부족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의 미디어·디지털·정보·ICT리터러시 학술논문에 대한 체계적인 문헌분석을 통해 연구동향을 비교, 분석하고 향후 연구 방향성을 탐색하였다. 문헌분석을 위해RISS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통해 2010년부터 2019년까지 10년간 발표된 KCI급 이상 학술논문 203편을 분석 대상으로선정하였다. 문헌분석 결과는 미디어·디지털·정보·ICT리터러시 유형별 논문 분포 및 학문 분야, 각 리터러시 분야가추구한 연구목적과 연구관심 주제들, 연구에서 활용된 연구방법, 연구 대상을 중심으로 제시되었다. 문헌분석 결과, 새로운 리터러시 연구의 급격한 증가와 함께 미디어 리터러시와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연구가 가장 활발히 수행되고있었으며 미디어 리터러시는 신문방송학, 디지털 리터러시는 일반 교육학 및 교과 교육학, 정보리터러시는 문헌정보학, ICT 리터러시는 컴퓨터교육 분야에서 연구가 활발했다. 연구목적별로는 경험적 연구의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이론적 연구, 해석적 연구, 설계·개발 연구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리터러시 분야별로 주요 연구관심 주제들을유목화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접근 측면에서는 양적연구, 문헌연구, 질적연구, 혼합연구의 순으로 많았고, 연구대상별로는초등학생, 전체대상, 중·고등학생, 대학생, 일반 성인, 교사, 영·유아의 순이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1) 각리터러시별 개념적 탐색과 변화에 부합하는 연구 특성화의 필요성, 2) 리터러시 간 융합적 연구의 활성화, 3) 각리터러시별 누적된 경험적 연구들에 대한 분석적 메타연구의 필요성, 4) 해석적 연구와 설계·개발 연구의 강화, 5) 연구 접근 측면에서 특정 연구 방법에 대한 편향성 탈피, 6) 다양한 세대와 계층을 대상으로 리터러시 격차 문제에대한 책무성 있는 연구와 같은 연구방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지정훈, "한 특수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발달장애학생을 중심으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8 (58): 431-461, 2019

      2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학생 ICT활용 능력 기준의 표준화 및 교육과정 상세화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2

      3 조남억, "청소년의 소셜미디어 리터러시에 관한 탐색적 고찰"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4 (14): 93-111, 2012

      4 정다교, "청소년의 소셜미디어 리터러시 역량모델 개발" 한국교육공학회 34 (34): 1053-1077, 2018

      5 육명신, "청소년의 미디어 리터러시와 가족건강성, 자기표현, 정서조절전략 및 자기조절학습능력 간의 구조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619-637, 2018

      6 박영원, "중학생의 대인관계능력, 미디어리터러시, 비판적 사고역량이 성지식, 성태도,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39-162, 2019

      7 서수현, "중학생 학습자를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표현 영역 성취기준 연구" 한국작문학회 (41) : 161-190, 2019

      8 김경모, "정파적 수용자의 적대적 매체 지각과 뉴스 미디어 리터러시: 자기범주화와 정교화가능성의 이론적 접점" 한국언론학회 12 (12): 4-48, 2016

      9 신효필, "자연언어처리를 위한 한국어 어휘 자원과 언어 교육에의 응용" 국어교육학회 (39) : 65-89, 2010

      10 허경아, "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진단 도구 개발 및 타당화" 한국유아교육학회 31 (31): 225-252, 2011

      1 지정훈, "한 특수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발달장애학생을 중심으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8 (58): 431-461, 2019

      2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학생 ICT활용 능력 기준의 표준화 및 교육과정 상세화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2

      3 조남억, "청소년의 소셜미디어 리터러시에 관한 탐색적 고찰"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4 (14): 93-111, 2012

      4 정다교, "청소년의 소셜미디어 리터러시 역량모델 개발" 한국교육공학회 34 (34): 1053-1077, 2018

      5 육명신, "청소년의 미디어 리터러시와 가족건강성, 자기표현, 정서조절전략 및 자기조절학습능력 간의 구조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619-637, 2018

      6 박영원, "중학생의 대인관계능력, 미디어리터러시, 비판적 사고역량이 성지식, 성태도,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39-162, 2019

      7 서수현, "중학생 학습자를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표현 영역 성취기준 연구" 한국작문학회 (41) : 161-190, 2019

      8 김경모, "정파적 수용자의 적대적 매체 지각과 뉴스 미디어 리터러시: 자기범주화와 정교화가능성의 이론적 접점" 한국언론학회 12 (12): 4-48, 2016

      9 신효필, "자연언어처리를 위한 한국어 어휘 자원과 언어 교육에의 응용" 국어교육학회 (39) : 65-89, 2010

      10 허경아, "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진단 도구 개발 및 타당화" 한국유아교육학회 31 (31): 225-252, 2011

      11 김보현, "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요인과 교수효능감이 스마트 교육 실행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26 (26): 97-119, 2019

      12 정철, "웹사전과 맞춤법 자동교정기의 논리와 개선" 국어교육학회 (39) : 91-105, 2010

      13 최재황, "영국 SCONUL의 정보리터러시 기준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 49 (49): 5-26, 2015

      14 최인호, "연령, 소득 및 디지털 리터러시가 온라인 개인정보 노출 및 보호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회 63 (63): 233-266, 2019

      15 PARK HEEHYEON, "애니메이션 제작을 통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방향 연구" 한국융합학회 8 (8): 149-155, 2017

      16 황보원주, "아동을 위한 디지털미디어 리터러시 성장성 연구: 라캉의 욕망이론을 중심으로"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 (20): 420-428, 2017

      17 조애영, "스마트패드 기반 수학 수업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와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에 대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교육문제연구소 32 (32): 163-189, 2019

      18 전기옥, "수급자의 생활세계 관점에서 바라본 사회복지정보화: 정보 리터러시 3차원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9 (49): 257-295, 2018

      19 오의경, "소셜미디어 시대의 정보리터러시에 관한 소고 - 재정의, 교육내용, 교육방법을 중심으로 -" 한국문헌정보학회 47 (47): 385-406, 2013

      20 김양은, "소셜미디어 리터러시 교육프로그램 구성 예비연구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종합연구원 12 (12): 23-30, 2018

      21 안정임,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구성요인 검증 : 세대 간의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6 (26): 129-176, 2012

      22 김지현, "비서의 일 주도성 및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와 무형식학습의 관계" 한국비서학회 27 (27): 5-31, 2018

      23 황치성, "미디어리터러시가 창의적 사고 및 21세기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9 (9): 23-31, 2015

      24 이규영, "미디어리터러시, 자아존중감이 고등학생의 성개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6 (16): 740-749, 2016

      25 김건희, "미디어리터러시, 그릿과 메타인지전략의 차이 -성격유형별 비교-"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2 (22): 169-178, 2019

      26 전경란, "미디어 컨버전스 시대의 청소년 미디어 리터러시와 웰니스" 한국웰니스학회 11 (11): 75-87, 2016

      27 변정현, "미디어 리터러시 활동이 학습자의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남녀 학생의 변화 양상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9 (19): 419-446, 2013

      28 안정임, "미디어 리터러시 구성요인과 부모의 중재 행위, 아동의 이용조절 인식간의 상관관계" 한국지역언론학회 13 (13): 161-192, 2013

      29 안정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관점에서 본 청소년의 인터넷 위험행동에 영향을미치는 요인 탐색" 한국청소년학회 22 (22): 101-129, 2015

      30 이원섭, "미디어 교육 경험과 미디어 리터러시가 비판적 사고 성향에 미치는 영향 : 중고등학생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4 (14): 795-809, 2014

      31 김창화, "미국의 가짜 뉴스 대응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대한교육법학회 30 (30): 1-22, 2018

      32 강인수, "문서 자동 요약의 현황과 과제" 국어교육학회 (39) : 5-29, 2010

      33 서혁, "문서 자동 요약 기술의 발전을 위한 학제적 접근의 필요성과 과제" 국어교육학회 (39) : 31-63, 2010

      34 김경희, "모바일 환경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구성 요소와 세대 간 미디어 리터러시 격차" 한국방송학회 33 (33): 5-36, 2019

      35 정세훈, "메타분석" 나남 2012

      36 박주연, "디지털 시대 청소년의 미디어 리터러시에 관한 탐색적 연구: Jenkins의 참여문화 향상을 위한 ‘리터러시 핵심능력’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1 (21): 69-87, 2013

      37 김지연, "디지털 리터러시의 정의적 영역 평가 도구 개발 방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국어교육학회 50 (50): 205-230, 2015

      38 옥현진, "디지털 리터러시 표현 영역의 인지적 특성 탐색" 한국작문학회 (33) : 31-63, 2017

      39 김종윤,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의 개념에 대한 이론적 탐색" 한국어교육학회 (150) : 263-294, 2015

      40 신소영, "디지털 리터러시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749-768, 2019

      41 김종윤, "디지털 리터러시 인지적 영역의 평가 요소 개발" 청람어문교육학회 (66) : 133-166, 2018

      42 이애화,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디지털 역량의 개념적 특성과 한계" 교육연구소 21 (21): 179-200, 2015

      43 박신욱, "독일의 가짜정보 대응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대한교육법학회 30 (30): 55-80, 2018

      44 박주현, "독서・정보・ICT・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화 모델 개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9 (49): 267-300, 2018

      45 이정미, "데이터 리터러시 개념에 대한 재접근 및 도서관 정보서비스에의 적용" 한국문헌정보학회 53 (53): 159-179, 2019

      46 김연종, "대학생들의 인터넷 미디어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고찰 -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9 (19): 438-449, 2019

      47 이수상, "다문화사회의 이주노동자의 정보리터러시 격차"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1 (41): 391-419, 2010

      48 정영애, "다문화 가정 유아들의 정보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모델에 관한 연구" 2 (2): 15-20, 2011

      49 유기상, "뉴미디어 활용이 진로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리터러시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9 (19): 206-216, 2019

      50 유기상, "노인 학습자 대상의 미디어 리터러시교육 사례 연구 -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중심으로 -" 현대사진영상학회 17 (17): 4-18, 2014

      51 최숙, "국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개발 협력에 관한 연구: 베트남 청소년 대상 프로그램 개발 전략을 중심으로"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6 (26): 315-345, 2018

      52 손예희, "국어교육에서의 소셜 미디어 리터러시 연구" 한국독서학회 (51) : 43-64, 2019

      53 조용완,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정보리터러시 현황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 44 (44): 75-99, 2010

      54 조순정,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소셜미디어 리터러시 유형 연구: 유튜브 영상물을 중심으로"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7 (27): 41-74, 2019

      55 안정임, "국내 미디어 리터러시 연구 동향 분석 : 연구 특성 및 미디어 역할,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요인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31 (31): 5-49, 2017

      56 교육인적자원부, "교원 ICT 활용능력 기준의 표준화 및 교육과정 상세화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2

      57 박성열, "교사의 컴퓨터 리터러시와 LISREL 구조모형 분석: 실업계 고교를 중심으로"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7 (37): 73-88, 2005

      58 정영애, "결혼이주여성들의 정보리터러시 현황과 과제"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13 (13): 293-312, 2012

      59 이용재, "결혼이주여성 게이트키퍼 분석을 통한 이주여성의 정보리터러시 향상 방안" 한국비블리아학회 21 (21): 57-75, 2010

      60 염정윤, "가짜뉴스 노출과 전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성격, 뉴미디어 리터러시, 그리고 이용 동기" 한국언론학회 63 (63): 7-45, 2019

      61 이동후, "‘리터러시’에 관한 매체 생태학적 고찰" 한글학회 (317) : 41-81, 2017

      62 Sue Thomas, "Transliteracy: Crossing divides" University of Illinois Libraries 2007

      63 Frau-Meigs, D., "Transliteracy as the new research horizon for 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 3 (3): 14-26, 2012

      64 Larr, E., "The relation between 21st-centruy skills and digital skill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72 : 577-588, 2017

      65 Buckingham, D, "The media literacy of children and young people: A review of the research literature on behalf of Ofcom" Centre for the Sturdy of Chilren Youth and Media Institute of Education University of London 2005

      66 Koltay, T., "The media and the literacies: Media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digital literacy" 33 (33): 211-221, 2011

      67 Schwab, K., "The furth industrial revolution: What it means and how to respond"

      68 SCONUL, "The SCONUL seven pillars of information literacy: Core model for higher education"

      69 Zurkowski, P. G., "The Information Service Environment: Relationships and priorities. Related Paper No. 5"

      70 Mackey, T. P., "Reframing information literacy as metalieracy" 72 (72): 62-78, 2011

      71 Md. Asraful Alam, "Predicting Multidimensional News Use Behaviors on Facebook: The Role of Motivations, Media Habits, and Digital Media Literacy" 사회과학연구소 31 (31): 113-146, 2018

      72 OECD, "PISA 2018 Draft Analytical Frameworks"

      73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Dictionaries"

      74 NAMLE, "Media literacy defined"

      75 Buckingham, D., "Media education: Literacy, learning and contemporary culture" Polity 2002

      76 Littlejohn, A., "Learning at the digital frontier: a review of digital literacies in theory and practice" 28 (28): 547-556, 2012

      77 ACRL,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y standard for higher education" ACRL 2000

      78 Rader, H. B., "Information literacy 1973-2002: A selected literature review" 51 (51): 242-259, 2002

      79 최지원, "HR담당자의 직무특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디지털 리터러시의 매개효과 검증" 대한경영학회 32 (32): 1219-1246, 2019

      80 김정연, "HRI 로봇을 활용한 유∙아동 미디어리터러시 정보 콘텐츠의 효과성 연구"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33) : 243-252, 2011

      81 ACRL, "Framework for Information Literacy for Higher Education" ACRL 2016

      82 Battelle for Kids, "Framework for 21st century learning"

      83 Reeves, T. C., "Enhancing the worth of instructional technology research through "design experiments" and other development research strategies" 2000

      84 Gilster, P., "Digital literacy" Wiley Computer Publications 1997

      85 Martin, A., "DigEuLit: concepts and tools for digital literacy development" 5 (5): 246-264, 2006

      86 Livingstone, S., "Children and the internet" Polity Press 2009

      87 NRC, "Being fluent with information technology" The National Academy Press 1998

      88 Livingstone, S., "Adult media literacy: A review of the research literature on behalf of Ofcom" Centre for the Sturdy of Chilren Youth and Media Institute of Education University of London 2005

      89 Ofcom, "About media literacy"

      90 최재황, "AASL(2007)과 ACRL(2015) 정보리터러시 기준에 내재된 정의적 성향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7 (47): 115-137, 2016

      91 Trilling, B., "21st Century Skills: Learning for Life in Our Times" Jossey-Bass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8 1.48 1.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2 1.53 1.481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